인천항 이용 만족에 따른 경쟁력에 관한 실증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Competitiveness by Satisfaction Measurement of Incheon Port

  • 발행 : 2009.09.30

초록

우리나라 교역 대상국 중에서 중국의 비중이 점차로 증가하여 이제는 중국이 우리나라의 제1 투자국이자 최대의 교역 상대국으로 부상하였으며, 이러한 중국과의 무역의존도 증가는 우리나라 해운 물류의 구조에도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북중국과 인접한 인천항은 중국의 경제성장, 한중간의 교역 증대, 기업의 한중간의 공급사슬 구축으로 인해 경쟁력 제고의 기회를 맞고 있다. 또한 중국의 물량이 크게 증대하고, 중국항만이 대대적으로 개발되고, 중국항만에의 대형선박의 직기항이 증대되면서 동북아 해운항로가 급속히 재편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항만 선택 요인 및 만족도를 one sample T-test, 요인분석, 회귀분석, IPA 방법을 통하여 수도권이라는 광활한 배후시장을 가지고 있으면서 상대적으로 주목을 받지 못했던 인천항에 대하여 항만이 안고 있는 문제점 및 경쟁력 제고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항만 선택 요인을 24개 요인으로 선정하여 항만 선택 요인, 만족도, 항로 적합성 조사를 7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였다. 또 항만의 선택 요인 항목에 대해 요인 분석을 실시하여 5개 항목으로 분류하여 각 요인별로 전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을 통해 실시하였다. 인천항의 개선방안의 우선순위를 IPA분석방법 결과 항만접근성, 항비, 선석가용성, 무료장치 기간 및 비용, 하역비 수준, 기타 화물비용, 접안수심 등의 측면에서는 항만 선택 요인은 매우 중요하나 만족도가 낮기 때문에 인천항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자원을 투여해서 중점적으로 개선해 나가야한다. 인천항의 경쟁력 제고 방안으로서 북미 및 유럽 화물 유치, 선박대형화에 따른 항만시설 인프라 구축, 전용터미널 제공 및 GTO 유치, 항만 배후단지 구축, 물류업체 유치 및 통합네트워크 구축 및 항만 간 협력 강화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new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the competi tiveness of Incheon port. To measure the calling factors and satisfaction of ports, this study developed a list of 24 items using a seven-point Likert scale through the previous literature reviews, pilot test and emerging factors.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one sample T-test, IPA and SPS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determinants choosing ports and customer satisfaction. The result of an empirical study revealed that the cargo volume and information system, etc. in Incheon port was evaluated as satisfied factors and berth availability and port charge, etc. as dissatisfied factors. Based on the outcomes of this study,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Incheon port, several strategies were advised such as the inducement of North American and European cargo, port infrastructure, dedicated terminal and GTO inducement, hinterland construction, logistics companies inducement and cooperation with neighboring port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경진, “중국항만의 물동량 증가에 따른 우리나라 항만의 발전방안”, 순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9, p. 14.
  2. 김정수.신계선, “새만금 신항의 항만경쟁력 결정요인 분석과 발전전략에 관한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5집, 제1호, 2009, p. 126.
  3. 부산발전연구원, “서해안 및 북중국 항만개발 정책과 컨테이너 O/D분석에 따른 대응방안", 2006. 3.
  4. 양창호, “초대형선 출현에 따른 동북아 해상물류의 변화와 과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6.10.20. p. 80.
  5. 여기태, “중국효과에 따른 새만금 항만의 전략적 발전가능성 모색”,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4집, 제4호, 2008, p. 140.
  6. 윤희숙, “글로벌 항만경쟁 환경의 급변에 따른 코피티션 전략 활용 방안”,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3집, 제3호, 2007, p. 90.
  7. 진형인, “글로벌 공급사슬 형성과 인천항의 경쟁력”,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5집, 제1호, 2009, p. 143.
  8. 진형인.정환호.김병철, “해운환경변화에 따른 서해안 항만 발전방안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4집, 제4호, 2008, p. 91.
  9. 한철환.우종균, “북중국 항만발전이 우리나라 환적화물 유치에 미치는 영향”, KMI, 2004.12.
  10. Drewry, Annual Review of Global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2007, p. 41.
  11. Jeffery Martin and Brian J. Thomas, "The container terminal community", Maritime Policy & Management, Vol.28, No.3, 2001, p. 282.
  12. P. W. De Langen, “Governance in Seaport Clusters", Maritime Economics & Logistics, 2004, p. 142.
  13. R.Midoro, E.Musso and F.Parola, "Maritime liner shipping and the stevedoring industry", Maritime Policy & Management, 2005, Vol.32, No.2, pp. 92-99.
  14. Ross Robinson, "Ports as elements in value-driven chain systems", Maritime Policy & Management, 2002, Vol.29, No.3, p. 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