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es of Salinity Unit in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Textbook and Suggestion for Its Correction

중등 과학교과서에서 사용된 염분 단위 분석 및 단위 개정을 위한 제안

  • Park, Kyung-Ae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Research Institute of Ocean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oi, Ji-Young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박경애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해양연구소) ;
  • 최지영 (서울대학교 과학교육과)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It has long been that the unit of oceanic salinity changed from permil (%o) to other unit. However, the middle-and high- school textbooks of science and earth science have still used %o as salinity unit that was defined a long time ago.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briefly discuss about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hange in salinity unit and measurement techniques, to present differences between the salinity units of psu (practical salinity unit) and %o, and to address the need and validity for the correction of salinity unit in the textbooks. Twenty-seven kinds of textbooks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salinity unit and the definition of salinity.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usage of salinity units in the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from 1967 to 2008. The percentages by the use of %o were 96.3% in the text and 83.8% in the graphs or tables of the textbooks. By contrast, the scientific papers began to use psu from 1994 and then %o has seldom been used since 2004.

해양 염분의 단위가 퍼밀(%o)에서 다른 단위로 바뀐 지 오랜 세월이 지났다. 하지만 우리나라 중학교, 고등학교 과학 및 지구과학 교과서는 여전히 오래 전에 정의한 염분 단위인 퍼밀(%o)을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염분단위의 변화와 측정 기술에 대한 역사적 발달 과정을 개괄적으로 다루고, 염분 단위들 사이의 차이를 제시하며, 그리고 교과서에서의 염분 단위 수정에 대한 필요성과 타당성을 강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제 7차 교육과정에 기초한 27종의 중등 과학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염분 단위의 표현, 염분의 정의들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는 1967년부터 2008년까지 한국해양학회지에 게재된 논문들에서 사용하고 있는 염분 단위 사용의 빈도수와 비교하였다. %o 사용의 백분율은 교과서 본문에서 96.3%, 그림과 표에서 83.8%에 달하였다. 이에 반해 과학적 논문들은 1994년부터 psu를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2004년 이후로는 %o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만식, 정창희, 이원식, 한인섭, 권숙일, 이민호, 박수인, 윤용, 이강석, 이태욱, 정규호, 양영주, 2001, 고등학교과학(강). 교학사, 서울, 387 p
  2. 강만식, 정창희, 이원식, 한인섭, 박은호, 이창진, 김일희, 장병기, 정병훈, 윤용, 이태욱, 한천옥, 2000, 중학교 과학(강)1. 교학사, 서울, 294 p
  3. 경재복, 윤일희, 이경훈, 김기룡, 황원기, 이기영, 2002, 지구과학I. 중앙교육진흥연구소, 서울, 268 p
  4. 김성규, 서승조, 조태호, 백남권, 박강은, 공정선, 2002,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단위에 대한 아동들의 이해도. 초등과학교육, 21, 201-212
  5. 김정률, 고현덕, 김재현, 김남일, 임용우, 동효관, 김선주, 남철주, 김영순, 이준용, 2000, 중학교 과학1. 블랙박스, 서울, 288 p
  6. 김찬종, 김희백, 박시진, 오찬환, 양재철, 장흥식, 정진문, 조현수, 최후남, 한송희, 현종오, 홍경희, 2000, 중학교 과학1. 도서출판디딤돌, 서울, 295 p
  7. 김찬종, 서만석, 김희백, 심재호, 현종오, 한인옥, 권성기, 박성식, 2001, 고등학교 과학. 도서출판 디딤돌, 서울, 359 p
  8. 김희수, 정남식, 신동원, 작정응, 이정식, 한홍열, 박용선, 2002, 지구과학1. 천재교육, 서울, 247 p
  9. 박봉상, 김윤우, 홍달식, 박문수, 정대영, 심국석, 심중섭, 최진복, 장정찬, 최병수, 진만식, 2000, 중학교 과학1. 동화사, 파주, 280 p
  10. 성민웅, 김봉곤, 조성동, 강대훈, 강충호, 구자옥, 노일환, 이용철, 임태훈, 최번선, 한온택, 2001, 고등학교 과학. 문원각, 서울, 307 p
  11. 소현수, 안태인, 최승언, 박건식, 이영만, 목창수, 김종권, 김득호, 구수길, 박완규, 김온섭, 김영산, 2000, 중학교 과학1. 두산동아, 서울, 271 p
  12. 송경은, 1999, 중등수학교재에 나타난 단위에 관한 고찰. 홍익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9 p
  13. 송호봉, 정용순, 유병선, 이윤상, 김여상, 정태연, 이하원, 윤덕열, 2001, 고등학교 과학. 홍진 P&M, 서울, 396 p
  14. 우규환, 이춘우, 오두환, 김영유, 경재복, 이경훈, 박태윤, 이영직, 백수관, 김병인, 김봉래, 이기영, 2001, 고등학교 과학. 중앙교육진흥연구소, 서울, 397 p
  15. 우종옥, 정진우, 위수민, 임청환, 홍성일, 이석형, 2002, 지구과학1. 교학사, 서울, 222 p
  16. 이광만, 허동, 이경운, 정문호, 방태철, 이기성, 안태근, 정상윤, 복완근, 정익현, 박병훈, 박정일, 정수도, 김경수, 박지극, 송양호, 이천기, 2000, 중학교 과학1. 지학사, 서울, 279 p
  17. 이규석, 이창진, 김정률, 이용준, 강진철, 김재현, 2002, 지구과학I, 대한교과서, 서울, 219 p
  18. 이규석, 조희영, 박봉상, 박문수, 심국석, 심중섭, 최진복, 장정찬, 이창진, 이용준, 2001, 고등학교 과학. 대한교과서, 서울, 391 p
  19. 이면우, 장병기, 고재덕, 윤상학, 이진승, 여상인, 김흥석, 임채성, 배진호, 백승용, 이성진, 최변각, 2001, 고등학교 과학. 지학사, 서울, 359 p
  20. 이문원, 전성용, 권석민, 진만식, 신석주, 임부철, 2002, 지구과학I. 금성출판사, 서울, 284 p
  21. 이문원, 전성용, 최병수, 권석민, 노태희, 허성일, 김출배, 강석진, 박희송, 김경호, 김규상, 채광표, 김진만, 정대영, 2001, 고등학교 과학, 금성출판사, 서울, 415 p
  22. 이선양, 2004, 중학생의 과학 단위에 대한 인식과 문제 풀이 활동을 통해 드러난 단위 이해의 요소.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0 p
  23. 이성묵, 채광표, 김기대, 노태희, 정지오, 서인호, 김영수, 김윤택, 이세영, 이문원, 권석민, 손영운, 2000, 중학교과학1, 금성출판사, 서울, 295 p
  24. 이연우, 강석본, 김인석, 김성진, 이진우, 안종제, 배미정, 전화영, 2001, 고등학교 과학. 이젠미디어, 서울, 383 p
  25. 정완호, 권재술, 김대수, 김범기, 신영준, 우종옥, 이길재, 정진우, 최병순, 황원기, 2001, 고등학교 과학(정). 교학사, 서울, 350 p
  26. 정완호, 우종옥, 권재술, 김범기, 최병순, 정진우, 김성하, 백성혜, 이석형, 이봉호, 2000, 중학교 과학(정)1. 교학사, 서울, 299 p
  27. 차동우, 김희수, 이명석, 이현주, 최종한, 이복영, 옥준석, 윤세진, 이원경, 정남식, 신동원, 2001, 고등학교 과학. 천재교육, 서울, 355 p
  28. 최경희, 김숙진, 1996, 과학교과서 선정과 평가에 관련된 교사들의 인식조사와 과학 교과서 평가틀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 303-313
  29. 최돈형, 김동영, 김봉래, 김재영, 노석구, 신영준, 이기영, 이대형, 이면우, 이명제, 이상인, 전영석, 2000, 중학교과학1, 대일도서, 서울, 289 p
  30. 한국지구과학회, 2008, 지구과학올림피아드 기출문제. 북스힐, 서울, 280 p
  31. 한창민, 2006, 교과서 속 과학단위 관련 내용의 분석과 생활 속 과학단위 찾기 활동의 효과.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8 p
  32. 한창민, 송진웅, 2007, 교과서의 과학 단위 관련 내용 분석. 새물리, 54, 1-9
  33. 허창희, 박병훈, 정성표, 김병국, 2002, 지구과학1, 지학사, 서울, 256 p
  34. 현종오, 이진승, 이응신, 이경호, 조광희, 한인옥, 정대흥, 최원호, 이태원, 김희백, 이상인, 김찬종, 박정웅, 서만석, 이태형, 이인선, 2007, 고등학교 과학. 한국과학문화재단, 서울, 580 p
  35. Curry, R. and Mauritzen, C., 2005, Dilution of the northern North Atlantic Ocean in recent decades. Science, 1772-1774 https://doi.org/10.1126/science.1109477
  36. Kim, K., Kim K.-R., Kim Y-G, Cho Y-K., Kang D.-I, Takematsu, M., and Volkov, Y, 2004, Water masses and decadal variability in the East Sea (Sea of Japan) . Progressive in Oceanography, 61, 157-174 https://doi.org/10.1016/j.pocean.2004.06.003
  37. Knauss, lA., 1977, Introduction to Physical Oceanography. Prentice Hall, NJ, USA, 309 p
  38. Min, H.S., 2002, Long-term variations of water properties at the intermediate depth in the East Sea. M.S. Thesi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97 p
  39. Montgomery, R.B., 1958, Water characteristics of Atlantic Ocena and of world ocean. Deep Sea Research, 5, 134-148 https://doi.org/10.1016/0146-6313(58)90004-2
  40. Ovsyanyi, E.I., Zaburdaev, V.I., and Romanov, A.S., 2004, On the application of the units of measurement of the amount and composition of matter in oceanology. Physical Oceanography, 14, 242-254 https://doi.org/10.1007/s11110-004-0005-y
  41. Park, J.J. and Kim, K., 2007, Evaluation of calibrated salinity from profiling floats with high resolution CTD data in the EastlJapan Se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2, C05049, doi:10.1029/2006JC003869
  42. Uda, M., 1934, The results of simultaneous oceanographical investigations in the Japan Sea and its adjacent waters in may and June 1932. Japanese Imperial Fishery Experimental Station, 5, 57-190 (in Japanese)
  43. UNESCO, 1981a, The practical salinity scale 1978 and the international equation of state of seawater 1980. Technical Papers in Marine Science, 36, 25
  44. UNESCO, 1981b, Background papers and supporting data on the practical salinity scale 1978. Unesco technical papers in marine science, 37, 140
  45. UNESCO, 1985, 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SI) in Oceanography. Unesco technical papers in marine science 45, IAPSO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Physical Sciences of the Ocean) Publication Scientifique, 32, 133
  46. 기상청, 2009, 기상청홈페이지: http://web.kma.go.kr/edu/young/sfclh_obserlsfc_02.html(검색일:2009.6.11)
  47. 한국표준과학연구원, 200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홈페이지:http://www.kriss.re.kr/(검색일 : 2009. 7.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