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Development Stages for Domestic Quality Management : Focus on Quality Circles and 6 Sigma Activities

국내 품질경영의 발전단계 분류 : 품질분임조와 6시그마 활동을 중심으로

  • Kim, Chang-Jun (Dept. of Tourism Quality Management, Kangwon Tourism College) ;
  • Shin, Joung-Il (Dept. of Tourism, Graduate School of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 김창준 (강원관광대학 관광품질경영과) ;
  • 신종일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관광학과)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rough literature review, this paper studies the development stages of Quality Circles and 6 sigma which are representative of domestic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Thus, using the judgement guideline of Van der Wiele's classification for fad, fashion, and fit, the development stages for existing researches of Quality Circles and 6 sigma are qualitatively classified by research themes. In addition to, academic and business perspective are examined to grasp a current position of domestic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As a result of the findings of current development stages of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domestic Quality Circles which are not going to move on a fit stage are currently classified as the stage between fashion and fit, and 6 sigma activities are currently classified as the stage of fashion.

본 연구는 국내 기업의 품질경영에서 활용되는 대표적 활동인 품질분임조와 6시그마의 발전단계를 분류하기 위해서 기존연구에 대한 문헌을 고찰한다. 그리고 고찰한 기존연구를 토대로 Van der Wiele(1988)의 fad, fashion, fir 분류체계를 이용해서 현재 국내 품질분임조와 6시그마 활동의 발전단계를 분류해서 현재 위치와 성장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따라서 기존 문헌연구를 통해서 품질경영활동의 발전단계를 연구주제별 분류 및 학문적 관점과 기업적 관점으로 고찰한 결과, 현재 국내 품질분임조활동은 지속적 유행(fashlon) 과 정상적 적합상태(fit)의 중간 단계로 분류해볼 수 있었고 더 이상의 성장이 없는 혼란한 상태라고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6시그마 활동은 지속적 유행(fashion) 상태로 분류되었고 앞으로 계속해서 성장 발전해 나아갈 것으로 볼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