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Railway freight transportation Through forecasting of container volumes on Busan New & North port

신항과 북항의 철도물동량 예측에 따른 철도운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09.10.25
  • Accepted : 2009.11.20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railway cargo volume on Busan new-port and north-port, in order to revitalize railway transport. This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Section 1 presents the description of the objective and methods on this study. Section 2 presents the status of Railway Cargo volumes and Construction plan of railway facilities in Busan New port. Section 3 presents the Forecast Railway Cargo volume using a volume ratio, actual volume records and another predicted datas. Section 4 summarizes our conclusions and further research topics. Especially, korea faces enforcement of green Logistics policy. Modal shift to trail freight transportation is one of ways, but there are no more detail plans. so it need that a cooperation system in government department, a indirect subside policy shift to rail freight transportation from trucking for revitalization of Railway Freight transportation.

본 논문은 부산항의 항만환경 변화에 따른 북항과 신항의 철도물동량을 분석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특히 신항만 건설과 신항만 배후철도 건설계획에 따라 예상되어지는 철송물동량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부산항의 물동량 예측에 대한 국토해양부 및 KMI, KDI의 물동량 예측을 근거로 신항과 북항의 시설능력 및 예측 물동량 배분의 비중을 구하고 이를 현재 북항의 수출입 물동량의 철송물동량 비중을 근거로 신항과 북항의 철송 물동량을 예측하였다. 현재 부산항의 수출입 물동량 대비 철도운송율은 발송(수입) 10.68%, 도착(수출) 12.10%로 분석되었으며 신항과 비교적 유사한 신선대터미널의 경우에는, 수출입 물동량에 대한 철도운송 비율이 발송(수입) 12.11%, 도착(수출) 13.98%로 부산항 전체 물동량 대비 철도물동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KDI의 전국무역항 항만기본계획(2008)에 따르면 국내화물 운송수단별 운송분담율 중, 철도운송의 경우 2009년 기준으로 전체운송화물의 15.5%를 점유하는 것으로 예측하고 있는 바, 이를 적용한다면 부산항에서의 철도운송량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신항만의 철도운송시설 건설계획과 철도운송 효율성을 제고시키면 철도운송 분담율을 더욱 제고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아울러 현재까지는 구체화되지 않은 친환경을 위한 모달시프트 정책의 추진이 가시화되면 실질적인 철도물동량은 더욱 증가할 것이다. 신항만은 철송장의 건설로 해상과 철도운송 연계의 편리성이 확보되나 북측컨테이너 철송장의 경우에는 철도운영자와 철송장 운영자의 이원화로 원활한 철도운송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되는 바, 남측컨테이너철송장은 철도운영자와 철송장운영자를 통합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북항의 경우에는 신선대역의 역할이 중시되며 철도공사의 열차장대화에 맞는 시설의 확보와 부산진역 기능의 보완 기능 확보도 동시에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철도로의 모달시프트에 대한 환경친화적인 정책적 지원방안의 강구도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문진수, "수송수단 전환(Modal Shift) 촉진을 위한 보조금 지원 방안", 국토해양부, 2009.
  2. 방연근, 철도화물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철도학회추계학술대회, 2002.10.
  3. 유재균, "철도중심 복합일관수송체계 강화 방안", 국토해양부, 2009.
  4. 윤동희, "무입환 철도하역 시스템 구축 방안", 국토해양부, 2009.
  5. 이용상, "철도물류활성화를 위한 신물류운송시스템의 도입방안", 한국철도기술연구원, 2001.
  6. 정승주외, 물류경쟁력 강화를 위한 철도화물운송 활성화 전략, KOTI, 2004.
  7. 조삼현, "철도화물 이용요인 분석을 통한 철도물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 제25집, 제2호, 2009.
  8. 조삼현외, "컨테이너 화물열차의 운영효율화 방안 연구", Korail, 철도연구원, 2007.
  9. 해양수산부, "전국무역항 기본계획", 2006.
  10. KDI, "전국무역항 항만기본계획" 2008.
  11. KMI, "수출입물동량 예측" 2004.
  12. KOTI.KRRI.한국철도물류협회, 철도물류경쟁력 강화 세미나, 2009.7.
  13. Third Party Logistics, C. John Langely Jr. Ph.D. and Capegemini U.S. LLC., 2006.
  14. 부산항만공사 홈페이지(http://www.busanpa.com)
  15. 한국철도공사 홈페이지(http://www.korail.com)
  16. 한국철도연구원 홈페이지(http://kori.korail.com)
  17. 한국항만경제학회 홈페이지(http://www.kport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