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election of Inducement Industry in Hinterland of Busan New Port - According to Analysis on the Structure in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among Korea, China and Japan and the Export-Import Structure of Busan Port against China and Japan -

부산 신항 배후단지 유치산업의 선정에 관한 연구 -한.중.일 국제분업구조와 부산항의 대 중.일 수출입구조 분석에 따른-

  • 김정수 (동아대학교 경영대학 국제무역학과)
  • Received : 2009.10.19
  • Accepted : 2009.11.18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Future of Busan New Port may depend even on the efficient use of the port hinterland. Accordingly, selection of which industry according to which standard in the port hinterland is another task.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analyzed the structure in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with China and Japan, which are possessing considerable portion in the trading volume with our country, and the export-import structure of Busan Port against China and Japan, by using RCA index and GL index as well as export-import results. In addition to this, the proper industry was selected on the basis of 10 strategic industries for development in Busan. According to the analytical results, the industries, which will be induced in the hinterland of Busan New Port, include textile clothing, pulp printing matter, jewelry, basic metal nonmetallic product, machine lectric product, automobile, shipbuilding, optics accurate machinery medical treatment musical instrument, nano material, fuel battery, aerospace and intelligent robot.

부산 신항은 현재 개발 중에 있어 항만배후단지의 효유적인 이용이 부산 신항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과제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부산 신항의 항만배후단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우리나라의 교역량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 및 일본과의 국제분업구조와 부산항의 대 중국 및 일본과의 수출입구조를 RCA지수와 GL지수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또한 부산 발전 10대 전략산업 등을 근거로 하여 부산 신항의 항만배후 단지에 유치할 적절한 산업을 선정하려고 한다. 한 중 일 3국의 국제분업구조 분석과 부산항의 대 중국 및 일본의 수출입실적 분석, 그리고 한 중 일 3국의 RCA 및 GL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3국간의 교역에서 한국의 비교우위 품목은 섬유 의류, 귀금속, 펄프 인쇄물, 기계 전기제품 등이며, 한국의 대 중국 및 일본교역에서는 기계 전기제품과 1차금속 비금속제품 등에서 산업내 무역이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에 더하여 광학 정밀기구 의료 악기 등이 높은 수출실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부산의 10대 전략산업인 의료, 섬유 의류 및 기계는 이미 포함되어 있으므로 자동차, 조선, 우주항공, 지능형 로봇, 나노소재, 연료전지 및 수소에너지 등이 추가될 수 있다. 그 결과 부산 신항의 항만배후단지에 유치할 산업은 저위기술분야인 섬유 의류와 펄프 인쇄물, 중저위기술분야인 귀금속과 1차금속 비금속제품은 물론 중고위기술분야인 기계 전기제품, 자동차, 조선, 고위기술분야인 광학 정밀기구 의료 악기, 나노소재, 연료전기, 우주항공, 지능형 로봇 등을 위주로 하고 이와 연관된 산업도 유치하는 것이 합리적이라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광휘, 일본 물류기업의 부산 신항 배후단지의 전략적 활용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 물류동향, 2008, pp. 105-108.
  2. 박필재, 한.중.일 3국의 기술수준별 무역구조 분석,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2008.8, pp. 10-17.
  3. 백종실, 황진희, 동아시아 물류구조 변화와 국제물류 네트워크의 구축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3.
  4. 이성우, 국제분업화와 연계한 부산항 유치대상 선정방안, 동아시아 물류동향, 2008, p. 112-123.
  5. 이성우 외, 국제분업화에 따른 항만배후단지 기업유치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7.
  6. 임종관, 이주호, 우리 기업의 한.중 공급사슬 확대가 해운.항만부문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3.
  7.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3단계 10대 전략산업 개편 공청회 자료, 2009.12.
  8. J.D. Wisner, G.K. Leong & K. C. Tan, Principles of Supply Chain Management : A Balanced Approach South-Western, Thomson Corporation, 2005, pp. 363-396.
  9. Lee, S. W., Kim, C. H., & Jeoung, H. W., " A Study on Port Performance Related to Port Back-Up Area on the ESCAP Region," UNESCAP & KMI, 2005.
  10. T. Notteboom and J. Rodrigue, "Port Regionalization : Toward a New Phase in Port Development", Martime Policy and Management, Vol. 32, 2005, pp. 297-313. https://doi.org/10.1080/03088830500139885
  11. V. Carbone and M. De Martino, "The Changing Role of Ports in Supply Chain Management : An Empirical Analysis", Martime Policy and Management, Vol.20, No.4, 2003, pp. 305-320.
  12. IAPH Spanish State Port Agency, Guide for Developing Logistics Activity Zones in Ports, V.A. IMPRESORES, S.A,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