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Strong Wind Occurrence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Korea

한반도 남서지역에서 발생한 강풍의 원인별 특성 분석

  • 김백조 (국립기상연구소 정책연구과) ;
  • 이성로 (국립목포대학교 토목공학과) ;
  • 박길운 (국립기상연구소 정책연구과)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The characteristics of strong wind occurring over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re analyzed by using hourly mean wind data observed in Gusan, Mokpo, Yeosu and Wando from 1970 to 2008. The strong wind here is defined as wind speed of more than 13.9 m/s according t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s strong wind advisory. The causes of strong wind are classified into typhoon, monsoonal (wintertime continent polar air mass) and frontal (cyclone) winds. Typhoon wind is characterized by abrupt change of its speed and direction after and before landfall of typhoon and monsoonal wind by periodicity of wind speed. And frontal wind tend to be changed from southwesterly to northwesterly at observation site with location of frontal surface. Strong winds are mainly occurred in Yeosu by typhoon, Gusan and Mokpo by monsoonal wind, and Mokpo and Yeosu by frontal wind. In particular, in case of frontal wind, the frequency of strong wind in Mokpo decreases while in Yeosu it increases. Monthly frequency of strong wind is high in August in Mokpo and September in Yeosu by typhoon, January in Gusan and December in Mokpo by monsoonal wind, and in April in Mokpo and Yeosu by frontal wind. The duration less than 1 hour of strong wind is prominent in all stations.

본 연구에서는 1970년부터 2008년까지 연중 강풍 발생이 많은 지역인 군산, 목포, 여수, 완도에서 관측된 시간별 평균 바람자료를 이용하여 원인별 강풍발생특성을 분석하였다. 기상청 강풍주의보 기준인 13.9 m/s 이상인 바람을 강풍으로 정의하였다. 강풍 발생 원인을 태풍, 겨울 계절풍, 전선풍으로 구분하였다. 태풍의 경우 관측지점 상륙을 전후로 급격한 풍향 및 풍속의 변화를 나타냈고, 겨울 계절풍의 경우에는 북서풍 계열이 우세하며 풍속의 주기성을 보였다. 전선풍은 전선의 위치에 따라 관측지점의 풍향이 남서풍 계열에서 북서풍 계열로 변화하였다. 강풍의 발생빈도는 군산, 목포, 여수, 완도의 순이었고, 발생 원인별로 겨울 계절풍은 군산과 목포, 완도에 가장 영향이 크고, 태풍의 영향이 가장 적었으며, 여수는 태풍에 의한 영향이 가장 많고 겨울 계절풍의 영향이 가장 적었다. 지구온난화와 연관된 강한 태풍의 발생은 매년 태풍의 수가 일정함에도 불구하고 강풍 발생빈도를 증가시켰으며, 겨울 계절풍과 전선풍에 의한 빈도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강풍의 지속시간의 결과에서는 각 발생원인 모두 1시간 지속시간의 비율이 가장 높고, 시간이 증가할수록 빈도는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각 지점의 지리적 위치에 의한 영향이 크게 반영되어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기상청 (1996) 태풍백서. 기상청, pp. 22
  2. 기상청 (2001) 한국의 기후도. 고려프린테크, pp. 188
  3. 김백조, 심재관, 정효상, 이성로, 김호경 (2006) 한반도 상륙 태풍의 진행에 따른 바람 분포 특성 :태풍 "루사"와 "매미" 사례의 비교 분석. 한국자료학회 논문집, 한국자료학회, 제8권, 제4호, pp. 1625-1643
  4. 김백조, 이성로, 김호경, 유재억 (2006) 한반도 강풍 피해 및 발생 특성 분석. 한국강구조학회지, 한국강구조학회, 제18권, 제3호, pp. 79-86
  5. 김석철, 김윤석, 양영태 (2005) Monte Carlos 태풍 시물레이션과 CFD 모델을 이용한 강풍 발생빈도 추정. 한국풍공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풍공학회, 제8호, pp. 54-60
  6. 박종길, 장은숙, 최효진 (2005) 한반도에서 발생되는 기상재해 분석. 한국환경과학회지, 한국환경과학회, 제14권, 제6호, pp. 613-619 https://doi.org/10.5322/JES.2005.14.6.613
  7. 박종길, 정우식, 최효진 (2008) 태풍시기의 강풍피해 예측을 위한 지상풍 산정에 관한 연구 (1). 한국환경과학회지, 한국환경과학회, 제17권, 제2호, pp. 195-201 https://doi.org/10.5322/JES.2008.17.2.195
  8. 최의수, 문일주 (2008) 56년간 한반도 강수 및 풍속의 극값 변화. 한국기상학회 논문집, 한국기상학회, 제18권, 제4호, pp. 397-416
  9. 하영철 (1998) 바람의 발생원인과 강풍의 종류. 한국풍공학회지, 한국풍공학회, 제2권, 제 1호, pp. 4-12
  10. 하영철, 한진성, 이석종, 이상엽 (1997) 강풍의 발생성인별 설계기본풍속의 추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13권, 제7호, pp. 163-172
  11. 하영철, 황진득 (1995) 강풍시 풍속의 계속시간 추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11권, 제2호, pp. 117-127
  12. Choi, K.S. and Kim, B.J. (2007) Climatological characteristics of tropical cyclones making landfall over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43, No. 2, pp. 97-109
  13. Kim, D.W., Byun, H.R. and Lee Y.I. (2005) The long-term changes of siberian high and winter climate over the northern hemisphere.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41, No. 2-1, pp. 275-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