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erimental Study on Ternary System Concrete Using Blast-furnace Slag and Fly-ash

고로(高爐)슬래그 미분말(微粉末)과 플라이애쉬를 이용(利用)한 3성분계(性分系) 콘크리트의 기초물성(基礎物性)에 관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 Lee, Hwa-Joong (Division of Civil Engineering, Chungju National University) ;
  • Hong, Chang-Woo (Division of Civil Engineering, Chu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Kyeong-Jin (Division of Civil Engineering, Chungju National University)
  • 이화중 (충주대학교 토목공학부) ;
  • 홍창우 (충주대학교 토목공학부) ;
  • 김경진 (충주대학교 토목공학부)
  • Published : 2009.08.27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fly-ash and blast-furnace slag on strength development and durability of ternary blended concrete (TBC) and ordinary portland cement concrete as fly ash and slag contents. Main experimental variables were performed fly ash contents (0%, 10%) and slag contents (0%, 10%, 20%, 30%). The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s, chloride-ion rapid permeability and chemical attacks resistance were measur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the developed TBC on hardened concrete.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 of TBC increased as the slag contents increased from 0% to 30% at the long term of curing. It considers blast furnace slag used when fly ash content was up to 10%. The permeability resistance of TBC(fly ash 10%, blast 30%) was extremely good at the curing time 90 days. Also, the effects of added blast furnace slag on OPC and TBC were increased on the permeability and chemical attacks resistance.

본 연구에서는 고로슬래그 미분말과 플라이애쉬 혼입률에 따른 3성분계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과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플라이애쉬 혼입률 변화(0%, 10%)와 고로슬래그 혼입률 변화(0%, 10%, 20%, 30%)를 실험변수로 하였으며, OPC와 TBC의 특성분석을 위하여 압축강도, 휨강도 그리고 내약품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압축강도와 휨강도에서 플라이애쉬 및 고로슬래그 미분말 혼입이 장기재령에서 강도 증진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플라이애쉬 10%와 고로슬래그 30%의 3성분계 콘크리트 사용은 매우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TBC의 특수저항성은 재령 90일에서 매우 낮은 등급으로 나타났다. 또한 OPC에 혼입되는 플라이애쉬 및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투수저항성 및 화학저항성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고경택, 박정준, 이종석, 김성욱, 2003: 광물질 혼화재를 사용한 고성능 콘크리트의 수축특성,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23권 제6A호, pp.1133-1141
  2. 김대건, 2004: 3성분계 콘크리트의 포졸란재가 압축강도 특성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인수, 2000: 고로슬래그와 플라이애쉬를 혼입한 투수성폴리머 콘크리트의 물리역학적 특성,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박상숙, 강화영, 한관수, 2007: 알칼리 활성반응을 이용한 플라이 애쉬/슬래그 시멘트개발(1), 대한환경공학회지, 제29권 제7호, pp. 801-809
  5. 배수호, 이준구, 2007 : 3성분계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내구성 평가,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7권 제2A호, pp. 271-276
  6. 오병환, 박대균, 박재명, 이종화, 2002 : 석회석 미분말을 사용한 3성분계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및 내구성능 연구, 한국콘크리트학회 봄학술대회논문집, pp. 569-574
  7. 이창수, 윤인석, 2003: 플라이애쉬와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복합 활용한 3성분계 혼합 콘크리트의 내구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 한국구조물진단학회 제7권 제1호, pp. 139-144
  8. 이화중, 2009: 3성분계 콘크리트의 내구특성, 충주대학교 토목공학과 석사학위논문
  9. 일본토목학회, 2001: コンクリト표준시방서(유지관리편), pp.128-130
  10. RILEM Report 16, 1997: Penetration and Permeability of Concrete; Barriers to Organic and Contamination Liquids. E&FN SPON, pp. 209
  11. P. Kumar Mehta, Paulo I.M. Monteiro, 2006: CONCRETE, pp. 228-237, McGraw-H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