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Project Spectrum Linguistic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프로젝트 스펙트럼의 언어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Park, Joo-Sung (Department of Teaching Profession, Chosun University) ;
  • Kim, Cheon-Hee (Graduate schoo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Nambu University) ;
  • Park, Yu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Nambu University)
  • Published : 2009.07.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linguistic activity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by applying an linguistic activity, one of the major realm of Project Spectrum, to experimental group. The following research task was established for this study. What effect does the linguistic activity through Project Spectrum on children's Creativit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80 of 5-year-old young children in two groups. They were divided and assign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26 boys and 14 girls) and a control group(22 boys and 18 girls).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was engaged in the Project Spectrums linguistic activities for 15 weeks, the control group was engaged in kindergarten curriculum linguistic activities. It was revealed that Creativity through Project Spectrum of experimental group had much influence on children's linguistic ability than control group in every field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by developing and applying detailed criteria for Creativity for this study.

본 연구는 프로젝트 스펙트럼의 한 영역인 언어영역활동을 실험집단에 적용해 봄으로써 창의성에 어떤 효과가 있는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프로젝트 스펙트럼의 언어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어떤 효과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W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반 유아 40명(남아 26명, 여아 14명)을 실험집단으로 M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반 유아 40명 (남아 22명, 여아 18명)을 통제집단에 임의 배정하였으며, 15주에 걸쳐 실험집단에는 프로젝트 스펙트럼의 언어활동을 통제집단에는 유치원 교육과정의 언어생활영역에 근거한 언어활동을 총20회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을 수행한 결과 프로젝트 스펙트럼의 언어활동을 수행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의 유아들보다 창의성에 있어서 효과적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Guilford, J. P,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 444-454, 1950. https://doi.org/10.1037/h0063487
  2. Torrance, E. P, "Why fly"? A philosophy of creativity. Norwood, NJ: Ablex, 1995.
  3. Torrance, E. P, "Guiding creative talen". New York: John Wile, 1962.
  4. Vygotsky, L. S, "Thought and languag". Cambridge, MA: MIT Press, 1962.
  5. 이승복.한기선, "언어심리학", 서울: 시그마프레스, 1999.
  6. Lennerberg, E. H, "Biological foundations of language", New York: John Wiley, 1967.
  7. Hoff, E, "Influences of mother and child on maternal talkativeness", Discourse Processes, 18, 105-117, 1994. https://doi.org/10.1080/01638539409544886
  8. 강범모, "언어", 서울: 한국문학사, 2005.
  9. 이철수.문무영.박덕유, "언어와 언어학", 서울: 역락, 2004.
  10. 교육인적자원부,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확정", 2007. 12. 13, http://www.moe.go.kr 에서 인출, 2007.
  11. 한순미.김선.박숙희.이경화.성은현, "창의성", 서울: 학지사, 2005.
  12. 문원자, "매체유형과 사고유형에 따른 초인지-사칙연 산적 사고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13. Osborn, A. F, "Applied imagination: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creative thinking", New York: Scribner, 1968.
  14. Anderson, K. M, "Integrating open hypermedia system with the World Wide Web", Proceeding of the Eighth ACM Conference on Hypertext, pp. 157-166, 1997.
  15. Sternberg, R. J, "How can we teach intelligence"? Philadelphia, PA: Research for Better Schools, 1983.
  16. 문미옥, "제7차 유치원 교육과정 '총론' 개정 시안": 유치원 교육과정 개정안 토론회, 교육인적자원부, 2006.
  17. 김영채, "TORRANCE 창의력(도형) 검사요강", 서울: 중앙적성연구소, 1999.
  18. 김수영.김경미, "환상동화를 통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아동학회지, 27(1), 81-94, 2006.
  19. 노영희.김경철.김호, "유아교사의 자기 평정용 창의성 검사 도구 개발", 유아교육연구, 26(2), 5-34, 2006.
  20. 이정희.김판희, "유아의 통합적 창의성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 유아교육연구, 26(2), 309-331, 2006.
  21. 최인수, "유아용 창의성 측정도구에 관한 고찰", 유아교육연구, 20(2), 139-166, 2000.
  22. 김은심, "통합적 교수 방법이 유아의 기본동작능력과 창의적 사고 및 신체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23. 이경례, "문학활동을 통한 동작교육이 유아의 창의적 사고 및 신체 표현능력의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24. 김경희, "동화를 활용한 문제 해결활동 경험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25. 이춘희, "동화제시 및 질문유형이 유아의 창의성과 동화 구조 이해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26. Jon, Y., & Kang, Y,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Project Spectrum-based intervention approach for young children", The Korean Journal of Thinking & Problem Solving, 9(2), 63-75, 1999.
  27. 방선애, "프로젝트 스펙트럼 음악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성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28. Alexander, L. L, "The writings of Howard Gardner and their implications for music educ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ichigan State University, Logan, 1992.
  29. 김옥희, "협동그림활동과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다중 지능과의 관계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9.
  30. 성영실, "프로젝트 스펙트럼에 기초한 사회적 이해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31. 안영진,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발달 프로그램 개발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02년도 춘계 전국 학술대회 자료집, pp. 157-177, 2002.
  32. 나수정, "프로젝트 스펙트럼 학습 활동이 초등학교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학교 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33. 안영진.안은정, "다중지능에 의한 프로젝트 스펙트럼 과학활동을 통한 자연이해 과정 조망", 유아교육.보육 행정연구, 9(2), 87-101, 2005.
  34. Torrance, E. P,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Norms-Technical Manual(streamlined) Figural Forms A & B. Bensenville, IL: Scholastic Testing Service, 1990.
  35. 조성연, "창의성 검사의 타당화를 위한 연구": Torrance 창의적 사고력 검사 (TTCT)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5.
  36. 교육부, "유치원교육과정해설",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8.
  37. 안영진.이성숙 역, "아동의 다양한 능력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 2", 서울: 창지사, 2001.
  38. Krechevsky, M, "Project Spectrum": An innovative assessment alternative. Educational Leadership, 48(5), 48-48, 1991.
  39. 변윤희, "창의성 루브릭 개발 과정을 포함한 메이킹북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15(4), 5-20, 2006.
  40. 박윤, "프로젝트 스펙트럼에서의 언어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남부대학교 논문집, 6, 143-160, 2006.
  41. 박이심, "유치원 생활주제별 SCAMPER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42. 박효진, "Arts Propel에 기초한 동시 프로그램이 만 4세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