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Management Performance and Governmental Support Policy for SMB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정책과 기업성과의 상관성 분석

  • Oh, Sang-Young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Cheongju University) ;
  • Hong, Hyun-Gi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Cheongju University) ;
  • Chun, Je-Ran (JeongSan Medical Foundation HyoSung Hospital)
  • Published : 2009.07.31

Abstract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management performance as the result of the korean government's support policy for the small and medium sized business (SMB). The governmental support policy was carried out for the companies classified in 3 criterion. The first is the upbringing of dynamic SMB group, which are driven by creativity and innovation. The second is the enforcement of technology-innovation and cooperation for SMB. The last is the establishment of the growth basis for SMB like funds, human resources and distribution channels. After categorization of above 3 classes, the affect of support policy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is analyzed, in terms of 3 aspects, management performance, technical performance and policy satisfact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governmental support policy has the remarkable effects on the financial support sector of SMB. The 5 major sectors, 1) the upbinging of venture-innobiz innovation company, 2) rearing funds of knowledge-based service company, 3) R&D support, 4) support of management stability fund, 5) expansion of distribution channel to the public sector, are designed from 24 variables. The 3 sectors of these 5 are have the main influences from governmental support policy.

한국정부의 중소기업 정책에 대한 기업의 성과를 분석하였다. 중소기업의 지원 정책 과제를 창의와 혁신주도의 역동적인 중소기업군 육성, 기술경영혁신 활동 및 협력활동 강화, 자금 인력 판로 등 성장기반 구축 등 3가지로 분류한 후 기업의 성과(사업성과, 기술성과, 정책만족)와 비교하여 정책의 영향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정부가 추진하는 중소기업 정책에 대한 기업의 성과의 특징은 자금 지원 분야였다. 전체 24개 측정 변수에서 연구 결과 중 가장 유의미한 변수로 선정된 5개 변수는 1)벤처,이노비즈,경영혁신형기업 육성, 2)지식기반서비스 육성자금 지원, 3)기술 연구개발 지원, 4)경영안정자금 지원, 5)공공부문의 중소기업 판로 지원이었다. 이 중 3개 변수가 자금 지원정책으로 자금 지원 정책이 기업의 성과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Chuck, P., "Competitive strategy through differentiation," The Small Business Journal, 2000.
  2. Haton, L., Raymond, B., "Developing small business effectiveness in the context of congruence," J. of Small Business Mgt., 32(3), pp.76-89., 1994.
  3. Hassink, R., "Towards regionally embedded innovation support systems in South Korea? Seoul," The 16th Pacific Regional Science Conference, pp.1-29. 1999.
  4. 정대용, "벤처기업의 성공요인 평가에 따른 벤처기업 진흥모델의 등장," 숭실대학교 논문집, 제1권, 제3호, 2000.
  5. 조영삼, "중소기업의 발전 조건과 정책 : 새로운 사회적 합의의 필요성과 과제," 2006 경제학 공동학술 대회 중소기업학회 발표논문집, pp.151-173, 2006.
  6. 김종일, "한국 경제의 구조변화와 중소기업," 중소기업연구원 뉴브리지 연구, 06-01, 2006.
  7. 한기윤, "중소기업시책 및 법제의 변천과 개선방안," 중소기업연구원 정책자료집, 05-01, 2005.
  8. 오상영, "한국 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논문집, 제7권 제1호, pp.173-212, 2006.
  9. 송혁준.김이배.오응락, "중소기업에 대한 정책자금 지원이 경영성과 개선에 미치는 영향", 중소기업연구, 제28권, 제4호, pp.65-80, 2006.
  10. 김현욱, "중소기업 정책금융 지원효과에 관한 연구- 재정자금을 이용한 중소기업 정책금융을 중심으로," 한국개발연구원, 2005.
  11. 중소기업청, 2008년도 중소기업에 관한 연차보고서, 2008.
  12. 박재희, "책임운영기관에 대한 성과측정기법 개발," 한국행정연구원, 1999.

Cited by

  1.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Economic Performances of the Waste-to-Energy Companies in Korea: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Government Policies vol.40, pp.3, 2018, https://doi.org/10.4491/KSEE.2018.40.3.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