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riming task was used in order to provide an experimental evidence on whether the processing unit of Korean syllable is antibody or not. Four types of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made: antibody overlap condition (e.g., sumjil -> sungjik), rime overlap condition (e.g.,: hungchik -> sungjik), onset and coda overlap condition (e.g.,: saengjeok -> sungjik), and no overlap condition (e.g.,: chanmeol -> sungjik). In addition, we manipulated the letter type by type and type in order to investigate on whether different degrees of priming are there for the priming task. The result showed that only type showed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s. This implicates that certain Korean word would be represented and processed by the antibody unit, and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know the whole pattern of Korean word recognition.
한글 단어 재인에 있어서 음절 내 단위가 음절체인지에 관한 실험증거를 제공하기 위하여 점화과제를 사용하였다. 실험조건으로 음절체가 중복되는 조건 (예: 섬질 -> 성직), 각운이 중복되는 조건 (예: 헝칙 -> 성직), 초성과 종성이 중복되는 조건 (예: 생적 -> 성직), 그리고 아무런 철자도 중복되지 않는 조건 (예: 찬멸 -> 성직)를 서로 비교하였다. 또한 목표자극의 글자 유형을 <각> 형과 <곡> 형으로 구분하여 차별적인 점화효과가 일어나는지를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각> 형의 목표자극에서만 유의미한 억제 점화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특정 유형의 단어에 한하여 한글의 단어 재인의 단위가 음절체 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며 보다 다양한 글자 유형에 대하여 점화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