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형과 주의력 및 행동 성향간의 관계 연구- 초등학생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Effects of One's Blood Type on Determining Awarness and Emotional Character - for the Elementary Students -

  • 발행 : 2009.08.31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주의력이나 행동성향을 판단함에 있어 혈액형과 관계가 있는지를 개인이 지닌 뇌신경 생리학적 지표인 뇌파 측정을 이용하여 비교하여보았다. 대상자는 2005년 9월에서 2007년 12월까지 한국정신과학연구소에 뇌파측정 의뢰한 초등학생을 기준으로 선정한 자료이다. 초등학생 여 1,562명, 남 2,448명으로 총 4,010명이다. 초등학생 혈액형 분포는 A형이 남 873명(36%), 여 573명(37%), B형이 남 641명(26%), 여 424명(27%), 0형이 남 622명(25), 여 406명(26), AB형이 남 312영(13%), 여 159명(10%) 로 A>B>O>AB형 순이었다. 분석의 결과 행동성향이나 성격과의 관계 분포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여학생과 남학생 두 그룹 다 A, AB, B, O 4가지의 혈액형에서 긍정명랑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부정명랑 순이었다. 긍정부정, 부정우울은 거의 비슷한 분포도였다. 그리고 혈액형과 주의력과도 유의미하지 않았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면 혈액형과 성격을 함부로 연관지어 편견이나 차별을 유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무작위였으나 차후에는 영재 아이들에만 적용시킨 뇌 기반 연구도 나오길 기대하며 한국영재교육 발전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지적기반에는 다소 미흡하나 이해를 넓힐 수 방안에는 의미가 있었다는 점을 고려하여 차후에 보완하여 영재교육에 지침이 되는 연구가 나오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effects of one's blood type on determining awarness and emotional character of Elementary students, by comparing each individual's brain wave. Observed records are from those students who volunteered for KRIJUS(Korea Research Institute of Jungshin Science)'s brain wave measurement from September 2005 to December 2007. The whole 4010 elementary student group consists of 1562 female and 2448 male. Blood types are as follows; 873male(36%) 563female(37%) for type A, 641male(26%) 424female(27%) for type B, 622male(25%) 406female(26%) for type 0, and 312male(13%) 159female(10%) for type AB, A>B>O>AB dominately ordered. The research had shown no obvious relation between the blood types and their awarness or emotional status of elementary students. Thus, it would not be such a wise decision to tell one's character depending on his/her blood type. This result suggested that follow-up researches should be figuring out more detailed explanations for gifted edu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득용외 (1976). 한국인의 혈액군과 혈액형. 대한혈액학회, 11 ;3-9
  2. 김대식, 최창옥 (2005). 뇌파검사학. 서울: 고려의학
  3. 김용진 (2000). 학습활동의 뇌파분석에 기초한 두뇌순환 학습 모형의 개발과 과학학습의 적용.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4. 권명옥, 정옥남, 박한태 (2002). 발달 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혈액형 관련 연구. 인제의덕, 21(2), 213-217
  5. 박병운 (2005). 뉴로피드백 입문. (재)한국정신파학 연구소
  6. 박종미 (1998). 고등학생의 스트레스 원인과 그 대처 방식에 판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관동대학교 대학원
  7. 윤병수 (2007). 접근성향과 회피성향에 따른 정서자극에 대한 평가와 정신생리적 반응.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8. 이케가야유지 (2006). 착각하는 뇌. 서울: 리더스북
  9. 장순옥 (2009) 뉴로피드백 훈련이 유아의 뇌기능 및 지능발달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서울벤처정보대학원 대학교
  10. 조선희 외 (2005). 뇌기능영상 측정법을 이용한 영재성 평가의 타당성 연구. 영재 교육연구. 15(2), 101-125
  11. 차영선 (1974). 생리학. 대한간호협회
  12. 최윤택 (2000), 남자중학생의 혈액형별 체격과 체력의 상관관계. 경남대학교 대학원.논충 제15편 (2)
  13. 최태영 (1985). 학생 청소년의 혈액형과 우울성향간의 관계 분석. 석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14. 하길원 (1980) 히스테리와 ABO 혈액형의 연관관계에 관한 연구. 특수 교육 재활 과학 연구, 41, 131-154
  15. Davidson, R. J. (1998). Affective Style and Affective Disorders: Perspectives FromAffective Neuroscience. Cognition and Emotion, 12, 307-330 https://doi.org/10.1080/026999398379628
  16. Gray, J. A. (1990). Brain systems that mediate both emotion and cognition. Specialissue:Devel opment of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 and Cognition, Cognition andEmotìon, 4, 269-288
  17. Lubar,J. O. ,Lubar, J. F. (1984). Electroencεphalographic biofeedback of SMR and betafor treatment of attention deficit disorders in a c1inical setting. Biofeedback &Self Regulation, 9, 1-23 https://doi.org/10.1007/BF00998842
  18. Maulsby, R. L. (1971), An illustration of emotionally evoked theta rhythm in infancy,:Hedonic Hypersynchrony. EEG and Clinical Neuroscience Letters, 143, 10-14
  19. Sutton, S. K., & Davidson, R. J. (1997). Prefrontal Brain Asymmeσy: A BiologicalSubstrate of The Behavioral Approach and Inhibition Systems. PsychologicalScience, 8, 204-210
  20. Wheeler, R. E., Davidson, R. J., & Tomarken, A. J. (1993). Frontal Brain Asymmetryand Emotional Reactivity: A Biological Substrate of Affective Style. Psychophysiology, 30, 82-89 https://doi.org/10.1111/j.1469-8986.1993.tb03207.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