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분말도 변화를 고려한 미분시멘트 사용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증진 해석

Estimation of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Incorporating Fine Particle Cement Considering Blaine Fineness

  • 발행 : 2009.08.2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입도분급에 의한 미분시멘트(FC)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강도 발현해석에 있어 FC 치환률 증가에 따른 분말도 변동이 콘크리트의 강도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존 등가재령방법에 분말도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겉보기 활성화 에너지 모델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FC 치환 콘크리트의 강도발현해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FC 치환률 변화에 따른 시멘트의 분말도 증가를 수화반응속도에 반영한 겉보기 활성화 에너지(Ea)식을 이용하여 강도발현 해석을 수행한 결과 예상과 다르게 FC 치환률이 증가함에 따라 상당부분 정확도가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존의 응결시간에 의한 방법보다도 역시 정확도가 저하함을 알 수 있었다. 금후의 과제로서 분말도의 영향을 보다 합리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Ea 산정모델의 개발을 통해 FC 치환률에 따른 콘크리트의 정확한 강도발현 해석을 수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presents an estimation of the strength development of concrete considering the equivalent age using fine particle cement (FC), which i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process. Contents and W/B were considered as experimental parameters. The strength considering the equivalent age is gradually increased, and the deviation of the strength according to W/C is increased with decrease of W/C in accordance with the replacement of the fine particle cement. For estimating the apparent activation energy (Ea) considering setting time and blame fineness of cement, Ea of the FC based on setting time is calculated with $27.6{\sim}28.9$ KJ/mol, which is somewhat similar to that of OPC, while by applying Ea based on blame fineness, Ea is increased with increase of FC contents, and is calculated with $40{\sim}56$ KJ/mol. Good agreement is obtained by applying Ea based on setting time, while there was remarkable variation between calculated value and measured value when Ea based on blame finen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d influencing factors in existing Ea to enhance the accuracy of the estim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한민철, 한천구, 최성용, 노동현, 등가재령에 의한 미분 시멘트 사용 콘크리트의 강도 증진 해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제24권 제4호, pp.99-108, 2008.4
  2. 한천구, 한민철, 김성환, 입도분급에 의하여 제조된 시멘트의 분말도 변화가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제23권 제8호, pp.123-131, 2007.8
  3. Carino N. J., Maturity Method; Theory and Application., Journal of Cement Concrete and Aggregate, ASTM, 1984 https://doi.org/10.1520/CCA10358J
  4. Freisleben Hansen, P., Pederson, J., Maturity Computer for Controlled Curing and Hardening of Concrete Strength, Nordisk Betong, pp.19-34, 1977
  5. Roberto C. A. Pinto, Kenneth C. Hover, Application of Maturity Approach to Setting Times, ACI Materials Journal, Vol.96, No.6, p.p.686-691, 1999
  6. Schindler A.K, Concrete hydration, temperature development, and setting at early ages, Ph.D.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Texas, pp.30-321,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