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온조건

Search Result 1,86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Physico-chemical stability of pesticide formulations under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저장조건별 농약제품의 물리.화학적 안정성)

  • Lee, Hee-Dong;Kim, Kwang-Ho;Rhi, Ja-Hyeun;Shin, Wook-Cheol;Park, Hyeon-Ju;Lee, Soo-Hyung;Park, Seung-Soon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 /
    • v.8 no.2
    • /
    • pp.103-106
    • /
    • 2004
  • To confirm physico-chemical stability of formulated products,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room temperature and accelerated temperature of $54^{\circ}C$. The tested pesticide formulations were dichlorvos 50% EC, acephate 50% WP, hymexazol 4% DP, thiram 80% WP and isoprothiolane 12% GR. The selected formulations were stored for 10 weeks and 5 years under the given temperature in maximum and contents of active ingredients were also analyzed by GLC or HPLC after each time of storage. The degradation rates of 5 active ingredients under the two conditions showed a similar trend except acephate. Acephate was rapidly decomposed at $54^{\circ}C$ but slowly decomposed at room temperature, and the degradation rate under the accelerated condition was 2.4 to 5-fold higher than that under the room temperature. Consequently, the stability test on active ingredients in pesticide formulations was able to recommend to be carried out under the accelerated condition except acephate.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all formulations tested under two storage conditions were good.

유기물부하에 따른 음식물지꺼기의 산발효

  • Jang, Seong-Ho;An, Cheol-U;Park, Jin-Sik;Mun, Chu-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355-35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산생성효율의 최적 운전인자 도출을 위하여 중온 및 고온혐기성산발효공정에서의 유기물부하에 따른 산발효 효율을 비교 검토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유기물 부하별로 고온과 중온 조건에서 실험을 진행했을 때 VFA생성과 pH변화를 비교했을 때, 고온 조건이 중온조건보다 더 높은 부하율에서 운전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성되는 VFA의 농도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pH의 변화는 고온 조건에서 4.8$\sim$6.2, 중온 조건에서 5.8$\sim$6.7로 고온에서 중온보다 pH가 낮게 나타났다. 고온과 중온에서 유기물 부하별로 산발효시 생성된 유기산의 구성성분을 비교했을 때, 고온에서 생성된 유기산이 중온보다 acetic acid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물찌꺼기 고온 산발효액의 성상에서 $SCOD_{Cr}$/TKN, $SCOD_{Cr}$/T-P이 각각 18.9, 73.4로 나타나 하수처리장에서 저부하 유기물 유입시에 탄소원으로 충분히 활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Comparison of Residual Tensile Properties of GFRP Reinforcing Bar at High Temperature and after Exposure to High Temperature (고온과 고온노출 후 GFRP 보강근의 잔존인장성능 비교)

  • Kim, Seongdo;Moon, Doyo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5 no.1
    • /
    • pp.77-84
    • /
    • 2015
  • Tensile tests were conducted on the GFRP reinforcement exposed to high temperature. The exposure condition for this study was below $200^{\circ}C$ for about 3 minutes. This conditioning is minor compared with that presented in experimental program conducted by other researchers. The residual tensile strength and elastic modulus of GFRP reinforcing bars at high temperature and after exposure to high temperature were compared. In results, tensile properties were decreased at high temperatures, but those after exposure to high temperature were recovered to pre-heating level almost completely. These results could be valuable for evaluating GFRP reinforced structure damaged by fire accident.

Studies on the Heterosis and Combining Ability for Heading Date of Wheat (소맥의 출수기에 대한 잡종강세 및 조합능력에 관한 연구)

  • Cho, C.H.;Maeng, D.J.;Hong, B.H.;Seong, B.R.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25 no.1
    • /
    • pp.31-38
    • /
    • 1980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heterosis and the GCA and SCA effects for days to heading of F 1 populations produced from eight wheat cultivar diallel. Greater heterosis for early heading was exhibited under the high temperature condition than under the low temperature conditions, and same results were also observed under short day condition rather than long day conditions. There are highly significant mean for GCA and SCA at all environmental conditions. Yecora F70 was showed the greatest effect, and Bezostaya and Blueboy were exhibited less effects of CCA for early heading. Significant GCA effect was expressed at high temperature and short day condition, indicating that this condition provides a better opportunity to select the materials for earliness. Selections of combination with greater effect of SCA for early heading such as Suweon 169 \times Yecora F70 were discussed for practical utilization.

  • PDF

Characteristics of Coals Extracted Using Solvent at Mild and High Temperature Conditions (온순조건과 고온조건에서 용매 추출한 석탄의 특성 비교)

  • Park, Keun Yong;Choi, Ho Kyung;Kim, Sang Do;Yoo, Ji Ho;Chun, Dong Hyuk;Rhim, Young Joon;Lim, Jeong Han;Lee, Si Hyun;Na, Byung Ki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3 no.6
    • /
    • pp.529-533
    • /
    • 2012
  • In this study, we compare variou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lvent extracted coals obtained at both mild and high temperature conditions.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extraction behavior,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a sub-bituminous coal (Kideco) and a polar solvent (N-methyl-2-pyrrolidinone, NMP), where the extraction temperature and the effect of solvent recycling were evaluated. As the extraction temperature increased up to $350^{\circ}C$, an extraction yield and a calorific value of the extracted coal increased, while an ash content of the extracted coal decreased. FT-IR results revealed that the surface of the coal extracted at $350^{\circ}C$ was found to contain more amide, aromatic ester, and aliphatic ether groups than that at the lower temperatures. The result of MALDI-TOF/MS analysis confirmed that the smaller molecules with 300~500 m/z were extracted at a mild condition, while the bigger molecules in the range of 500~1500 m/z were extracted at the high temperature.

Evaluation on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 Strength Light-Weight Concrete with Elevated Temperature and loading (하중조건과 고온에 의한 고강도 경량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평가)

  • Kim, Gyu-Yong;Kim, Young-Sun;Choe, Gyeong-Cheol;Park, Hyun-Gil;Lee, Tae-Gyu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23 no.6
    • /
    • pp.723-730
    • /
    • 2011
  • It is very important to experimentally evaluate concrete behavior at elevated temperature because aggregates make up approximately 80 percent of volume in concrete. In this study, an experiment to evaluate mechanical properties of normal weight and light weight concrete of 60 MPa was conducted. Based on loading level of 0, 20 and 40 percent, the tests of 28 days compressive strength, elastic modulus, thermal strain, total strain, and transient creep using ${\phi}100{\times}200mm$ cylindrical specimens at elevated temperature were performed. Then,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CEB (Committes Euro-international du Beton) model cod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mal strain of light weight concrete was smaller than normal weight concrete. Also, the results showed that compressive strength of light concrete at $700^{\circ}C$ was higher than normal weight concrete and CEB code, similar to that obtained at ambient temperature. Transient creep developed from loading at a critical temperature of $500^{\circ}C$ caused the concrete strains to change from expansion to compression. The transient creep test result showed that internal force was high when the ratio of shrinkage between concrete and aggregate was more influential than thermal expansion.

칼코게나이드 유리 소재의 고온압축 성형성 검토를 위한 온도 의존성 연구

  • Park, Heung-Su;Lee, Hyeon-Yong;Cha, Du-Hwan;Kim, Hye-Jeong;Kim, J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204-204
    • /
    • 2009
  • 적외선 광투과 칼코게나이드 유리를 성형온도, 단위공정시간, 서냉 시 가압력등 성형조건을 변화시키면서 고온압축성형하였다. 성형된 칼코게나이드 유리렌즈의 특성평가를 위해 성형조건에 따른 렌즈깨짐 현상, 성형렌즈의 결정성 및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성형과정에서의 내부응력과 소재 자체의 낮은 경도로 인해 성형조건에 따른 렌즈깨짐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고온압축성형시 성형온도 범위 ($330{\sim}340^{\circ}C$)와 단위공정시간(100초~200초) 조건 변화에 따른 성형 렌즈의 광투과도 및 결정성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칼코게나이드 유리 소재의 고온압축 성형성을 확인하여 적외선 광학계 렌즈로써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trength of Two Serial Bolt-Fastened Composite Joints under Elevated Temperature and Humid Condition (고온다습 조건($82.2^{\circ}C$)에서 2열 볼트 체결 복합재 조인트의 강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

  • Kim, Hyo-Jin
    • Composites Research
    • /
    • v.22 no.5
    • /
    • pp.30-36
    • /
    • 2009
  • The failure strengths and modes in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ic composites, with two serial bolt-fastened composite joints, were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typical joint configurations of composite components. The parametric studies were performed experimentally at room temperature dry and elevated temperature wet, $82.2^{\circ}C$ on several different laminate configurations. Based on the experimental data presented, two basic load-displacements curves are observed. Each failure mode has the characteristic curve. It is showed that the bearing failure mode occurs in elevated temperature wet condition. It is analysed that the strength of bearing failure mode is not highly depending on the effective modulus of specimen. The failure strength at elevated temperature wet is decreased by the cause of interfacial deterioration between fiber and matrix with moisture absorption.

붕화금속 나노입자 합성을 위한 RF 열플라즈마 시스템의 전산해석

  • O, Jeong-Hwan;Choe, Su-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359.2-359.2
    • /
    • 2016
  • 붕소의 높은 융점과 비점으로 인하여 일반적인 합성법으로는 제조가 어려운 붕화금속 나노물질을 효과적으로 합성하기 위하여 열플라즈마의 특성을 전산해석 하였다. RF (Ratio Frequency, 고주파) 열플라즈마 발생기는 일반적인 직류 열플라즈마 발생기와 비교해 볼 때, 전극 침식에 의한 수명 문제나 불순물의 오염 없이 고온의 열플라즈마를 안정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순도의 나노입자 합성공정에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열플라즈마의 고온 부분은 10,000 K 이상의 높은 온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직접적인 측정으로는 나노입자 합성에 최적의 조건을 찾기가 어렵고, 전산해석을 통하여 여러 변수들에 대한 열플라즈마의 특성을 분석하여야 한다. 해석조건으로 RF 플라즈마의 입력전력은 25 kW로 고정하고 발생기 직경 20~35 mm, 유도코일 감은 수 4~6 회, 첫 번째 코일으로 부터 분말 주입구까지의 길이 10~30 mm, 방전 기체 유량 30~70 L/min에 대한 변수들에 대하여 붕화금속 나노입자 합성에 최적의 조건을 가진 RF 플라즈마의 온도 및 속도분포를 파악하였다. 전산모사 결과 RF 열플라즈마 발생기의 직경 25 mm, 분말주입구 까지의 길이 10 mm, 유도코일 감은 수 6 회, 방전 기체 유량 50 L/min 일 때, 고온영역이 중심부에 넓게 분포하여 붕화금속 나노입자를 합성하는데 최적의 조건이라 파악되었다. 방전 기체 유량 증가에 따라 고온영역의 중심부 분포를 넓게 할 수 있었으나 유량이 증가할수록 플라즈마 속도가 증가하여 붕소를 기화시키기 위한 가열시간이 짧아지므로 방전기체 유량을 조절하여 적절한 속도를 가진 플라즈마를 발생시켜야 한다. 그리고 코일의 감은 수가 증가할수록 10,000 K 이상 고온영역이 출구 쪽으로 확장되어 붕화금속 나노입자를 합성하는데 좋은 조건이 형성되었다. 본 전산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붕화금속 나노입자를 합성하는 RF 플라즈마 발생장치의 설계 및 운전조건을 적용하여 실험과의 비교연구를 통해 붕화금속 나노입자의 합성공정을 최적화 시킬 수 있다.

  • PDF

Plant Performance Analysis for IGCC Employing HGCU(I) (고온정제를 적용한 IGCC 플랜트 성능 해석에 관한 연구(I))

  • 이윤경;서석빈;김종진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9 no.3
    • /
    • pp.157-162
    • /
    • 2000
  • 기존의 IGCC의 장점인 고효율 플랜트의 특성을 살리기 위해 고온정제를 적용하는 경우 조건변화에 따른 플랜트 성능의 영향을 관찰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IGCC에 고온정제 공정을 적용하여 구성한 모델은 연구 목적에 알맞은 범위의 건전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타 조건을 동일하게 설정한 경우 저온 정제 공정(MDEA amine) 적용에 비해 플랜트 효율이 약 2.7% 가량 상승하였다. 한편 동일한 고온정제 공정이라도 적용하는 흡수제를 zinc titanate에서 zinc ferrite로 달리 하는 경우 탈황제의 화학 반응상 특성 및 차이점으로 인해 연료가스의 발열량 변화를 유발하므로 결과적으로 약 0.5%의 플랜트 효율 손실이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탈황 온도 350~$650^{\circ}C$ 사이의 온도범위에 대해 민감도 분석을 실행하였으며 민감도 분석 결과 전제 온도의 증가와 플랜트 효율은 정비례하지 않으며 50$0^{\circ}C$ 이상의 정제 온도를 적용한 경우는 거의 비슷한 효율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정제 온도를 증가시킴으로 인해 가스터빈에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온도는 높아지지만 적용한 가스터빈의 출력 및 연소 온도가 제한되어 있어 고온정제를 적용함으로써 얻어지는 이득을 가스터빈에서 충분히 보상하지 못하고 한편으로 고온정제를 채택함으로써 저온정제 적용시 보다 syngas cooler에서 회수할 수 있는 헌열이 줄어듦으로 인한 증기 터빈 출력의 감소가 커지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