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me finenes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분말도 변화를 고려한 미분시멘트 사용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증진 해석 (Estimation of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Incorporating Fine Particle Cement Considering Blaine Fineness)

  • 한민철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39-14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입도분급에 의한 미분시멘트(FC)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강도 발현해석에 있어 FC 치환률 증가에 따른 분말도 변동이 콘크리트의 강도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존 등가재령방법에 분말도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겉보기 활성화 에너지 모델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FC 치환 콘크리트의 강도발현해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FC 치환률 변화에 따른 시멘트의 분말도 증가를 수화반응속도에 반영한 겉보기 활성화 에너지(Ea)식을 이용하여 강도발현 해석을 수행한 결과 예상과 다르게 FC 치환률이 증가함에 따라 상당부분 정확도가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존의 응결시간에 의한 방법보다도 역시 정확도가 저하함을 알 수 있었다. 금후의 과제로서 분말도의 영향을 보다 합리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Ea 산정모델의 개발을 통해 FC 치환률에 따른 콘크리트의 정확한 강도발현 해석을 수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광물질혼화재 혼합 수중불분리성 콘크리트의 물성 및 동결융해 저항성 (Freezing and Thawing Resistance and fundamental Properties of Antiwashout Underwater Concrete Containing Mineral Admixtures)

  • 문한영;신국재;송용규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455-464
    • /
    • 2005
  • 수중불분리성 콘크리트의 적용 사례가 점차 증대되고 있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역사가 짧은 탓으로 신뢰성 등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특히 수중불분리성 콘크리트는 동결응해에 대한 저항성이 매우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일본토목학회에서는 동결융해작용을 받는 지역에서는 사용해서는 않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중불분리성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광물질혼화재 3종류로 제조한 수중불분리성 콘크리트의 기초물성과 동결응해 저항성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실험결과 FA20 및 SG50의 유동성 및 장기강도는 기준콘크리트 보다 양호한 경향을 보인 반면 현탁물질량은 약간 큰 값을 나타내었다. 한편 MK10의 경우, 빠른 수화반응으로 현탁물질량과 압축강도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유동성은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수중불분리성 콘크리트의 동결응해 저항성은 셀룰로오스계 수중불분리성 혼화제에 의한 크고 불규칙한 갇힌공기 때문에 광물질혼화재를 혼합한 경우에도 효과가 적었으나 SG50과 MK10의 공기량 $6{\pm}0.5\%$의 경우, 동결응해 저항성이 약간 향상되는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분말도를 달리한 경우 분말도가 증가할수록 활성도가 높아져 동결응해 저항성이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