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uracy Evaluation of DEM Construction for River Region using ALS & MBES

ALS와 MBES를 이용한 하천지역 DEM 구축의 정확도 평가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In Korea, the change of river flux due to seasons change is so considerable because of the mountainous terrain with the sharp slope and leaned rainfall. This unfavorable natural condition and the difficulties in precise grasping of the river status made the water resource management difficult so that the necessity of the precise river management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ed. In this study, a precise river-region DEM using the latest equipments of ALS and MBES is constructed. After acquiring DEM from each senor on the river region, a single DEM was generated by combining them. Also, the field inspection was carried out in the overlapped region of ALS and MBES in order to verify the quality of DEM. The verification of DEM was carried out by comparison between TINs obtained from the combined result of ALS and MBES and the surveying result from total station at more than 10 points in the selected two test areas. As a result, NO.1-area's RMSE of 0.322m and 0.113m are obtained for NO. 1 and NO. 2 areas, respectivel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e feasibility of DEM construction for river region using ALS and MBES as seen in the case of NO. 2 area. At the same time, it was appeared that a better method on the data fusion should be developed as seen in the result of NO. 1 area.

우리나라는 급경사의 산악지형이 많으며, 계절에 따른 집중호우가 나타나므로 하천유량변동의 정도가 매우 크다. 이러한 자연적 조건은 수자원의 관리에 있어 난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정확한 하천 지역의 현황 파악에 있어서도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천의 현황 파악 및 하천관리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현황을 파악하고, 관리하는데 적용하기 위하여 ALS와 MBES 측량기술을 이용하여 하천지 역에서 DEM 성과를 취득한 후, 그 성과가 접합되는 지역의 단일 DEM을 구축하였으며, 현장검측을 통하여 중첩지역에 대한 성과 검증을 수행하였다. 현장검측은 대상지역 내에서 검정장 2개 구역을 선정한 후, 토탈스테이션을 이용하여 구역 당 10여점을 측정하고 이를 ALS와 MBES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축한 TIN과 비교하였다. 비교검증 결과, NO.1 검정장의 RMSE는 0.322m, NO.2 검정장의 RMSE는 0.113m로 산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ALS와 MBES 자료를 융합하여 하천지역의 DEM 을 구축하여 활용하는 가능성을 보였으며 (NO.2의 경우), NO.1의 경우에서 나타났듯이 향후 보다 나은 융합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길선 (2004), RTK-GPS와 E/S 조합관측을 통한 3차원 위치측량, 한국지적학회지, 한국지적학회, 제 20권, 제 1호, pp. 111-124
  2. 국토해양부 국립해양조사원 (2001), 해양 측량자료처리 및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3. 김연수 (2005), S & MBES를 이용한 연안측량 정확도 개선 방안 연구, 박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p. 143
  4. 박요섭 (2004), 다중빔음향소해탐사시스템 자료의 오차 분석 및 처리 기술 연구, 박사학위 논문, 인하대학교, p. 232
  5. 신상철 (2001), RTK GPS 측량에 의한 3차원 지형해석, 한국GIS학회지, 한국GIS학회, 제 9권, 제 2호, pp. 309-324
  6. 심정민 (2005), 홍수시뮬레이션 적용을 위한 LiDAR데이터 활용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p. 139
  7. TerraSolid Col. Ltd., (2001), User Guide(TerraScan and TerraModeler for MicorStation), Fin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