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Dance Historical Value of Jaein Line Dance by Han Seong-jun

한성준을 통해 본 재인 계통춤의 무용사적 가치 연구

  • Received : 2009.06.30
  • Accepted : 2009.07.17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Those who were from Jaeincheon and Jaein line entertainers played great roles during transition period from traditional society to modern society, and even at present the dances of them are the representative traditional dances of Korea and the matrix of Korean originality. Nevertheless, Korea dance field has given little importance to these dances, but too much importance to Gibang dance in studying traditional dances, which causes the studies on Jaein line danced to be superficial or separate. Therefore, the aims of this article are to analyze the dances of Jaein line by Han Seong-jun, who was representative for the dances, and to appraise the historical value of them. Han Seong-jun(1874-1942) was the most influential dummer and dancer of his day in Japanese colonial times, and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masters of traditional dances. He established autonomy of traditional dances by reorganizing, collecting and stage-formalizing the dances, and systemized transmitting ways for various folk dances including a Buddhist dance, which made it possiblefor those dances to be traditional dances of Korea and the bases for creative dances. The values of Jaein line dances, which were transmitted through Han, are the following: First, the dances have been designated as national or reg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as the representative traditional arts, we proudly show them to the world. Second, the dances, as one of the genres of Korean dances, are the subjects of younger scholars' studies. Third, the dances become one of the representative examples of revivals of traditional dances, which tend to be extinct during modernization times, and contribute to establishing national identity and subjectivity. In addition, they contribute to discovering and transmitting other traditional dances. Fourth, the dances enable many dancers to make association, that is, Association for Preservation of Traditional Dances,for the transmitting the dances, and to distribute the dances and get many dancers to transmit the dances. Furthermore, as new performance repertories, they give another pleasure to the audience. In addition to the above, as a base for expansion of Korean creative dances, Han's dances have other values such as the following: First, in searching for a new methodology for creation, h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discovering the foundation in the tradition, and tried to discover nationalidentity by employing the traditional dances for expression of theme. Second, he contributed to drastically dissolving the genres by expanding the gesture language from motion factors of traditional dances, which can be compared to the modern dance. Third, he tried new challenging approaches to re-create the tradition, and contributed to pursuing the simple elements of our traditional dances as traditional aesthetics. While the dances of Jaein line have such values as the above, there are also some problems around the dances, such as the confusion in the process of transmission resulted from different transmission forms and transmitters, which we must no longer leave as it is. Furthermore, it is urgent that the rest of Jaein line dances be recovered and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s for the sound transmission of the traditional dances.

재인청 출신 및 재인계통 예능인들은 전통사회에서 근대사회로의 이행기에 커다란 족적을 남겼으며, 오늘날 한국의 대표적 전통춤으로 자리매김하면서 한국창작의 모태가 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용학계에서는 재인계통의 춤에 대한 관심이 미흡했으며 전통춤에 대한 연구도 기방계통 춤에만 편중되어, 재인계통 춤의 연구는 단편적이거나 개별적인 연구에 그쳤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재인계통 춤의 대표격이라 할 수 있는 한성준을 통해 재인계통 춤을 분석하고 그 무용사적 가치를 분석하는데 있다. 한성준(韓成俊: 1874-1942)은 일제강점기를 경유한 재인으로, 무계(巫系)와 재인청(才人廳) 출신의 집안 내력을 갖고 있으며, 중부권을 중심으로 전승된 경향류1) 춤 맥을 계승하였으며, 속칭 '화랭이(花郞)'이기도 했던그는 명고수, 명무로 한 시대를 풍미한 전통춤의 대부이다. 그는 전통춤 근대화에 독보적인 역할을 담당하여, 전통춤을 재구성, 집대성, 무대 양식화하여 자율성을 확립하였으며, 승무를 비롯한 다양한 민속춤들이 전승체계를 갖추어 오늘의 전통춤이 되었고 또한 창작춤 소재의 근원이 되었다. 한성준이 전승한 재인계통 춤의 무용사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한국문화를 대표하는 전통예술의 반열에 올라 있으며, 세계에 보여 줄 수 있는 가장 한국적인 전통문화재가 되었다. 둘째, 그 밖의 다양한 민속춤과 창작춤과 함께 한국춤의 한 장르로 위상이 확립되어 후학들의 학문적 탐구의 소재가 되고 있다. 셋째, 현대화와 시대변천에 따라 사라져가던 전통춤 부흥에 대표적인 사례가 되어 민족정체성 발견과 주체성의 위상을 확립하고 전통춤 발굴과 전승에 기여하였다. 넷째, 수많은 무용인들이 그의 춤을 전승하는 전통춤보존회를 조직하여 전수활동을 통해 많은 이수자를 배출하고 보급하고 있으며, 전통춤을 애호하는 관객들에게 향수 할 수 있는 공연 레퍼토리가 되고 있다. 또한 재인계통의 한성준의 춤은 한국창작의 지평확산에 초석으로서 다음과 같은 가치를 발견 할 수 있다. 첫째, 창작의 새로운 방법론을 모색함에 있어서 근원을 전통에서 찾아 재발견하는데 견인차 역할을 했으며, 주제표현에 있어 전통춤에서 가져옴으로서 민족주의적 정체성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둘째, 전통춤 소재를 활용해서 동작 요소를 가져와 몸짓언어로 확장시킴으로써 현대 무용과 같이 장르의 파격적인 해체에 기여하였다. 셋째, 도전적인 새로운 접근으로 전통을 재창조하려는 지평을 마련하였고, 나아가 소박한 우리춤의 근원으로 전통주의적 미학을 지향하는 데에도 기여하였다. 이상과 같은 무용사적 가치를 지닌 재인계통의 전통춤이지만 드러난 문제점은 한성준류 춤의 이원화된 전승과 전승자에 따른 각기 다른 전승 양상은 전통의 다양한 전승이라는 측면에서는 수긍이 가나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한성준류 춤에 대한 복원과 무형문화재 지정 등을 통해 어려웠던 시대적 상황 속에서도 우리의 춤을 지키고 견인한 재인들의 예술혼이 담긴 재인계통의 전통춤이 탄탄한 줄기로 계승될 수 있도록 정책적인 배려가 요망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