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miss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 Focusing of Solo Instrumental Music for the Gayageum (12-stringed Zither) -

한국 전통음악의 전승과 미래 - 가야금산조를 중심으로 -

  • Lee, Yong-Shik (Department of Music Research,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 Received : 2009.06.26
  • Accepted : 2009.07.17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been a process art which has been changed and re-created by musicians to mirror the musical aesthetics of contemporary people. Form court music, which has tried to keep the "authentic" form as much as possible, to folk music, which is closely associated to the people's life style, traditional music has expressed the life of the Korean people. From the early 20th century, traditional music faced a totally new music culture due to the Japanese annexation and rapid westernization. A new music network was established by modern theater and broadcast system. Many gayageum (12-stringed zither) masters were able to develop their own music in this new music culture. Female musicians came to exist because of a new music education system, called gwonbeon (school for female entertainers). Due to the rapid westernization, traditional music was becoming 'extinct'. The government's new system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ried to preserve traditional culture. Traditional music came to revive but became fossilized in order to preserve the 'archetype'. The so-called Living Human Treasures took power and became a social problem. The modern school education system was one of major factors for promotion of traditional music. However, it became one of main reasons for musicians to lose their musical creativity. Today, many performers and composers try to make a new composition and renovated musical instruments to suit the contemporary musical aesthetics.

20세기 초 일제강점기를 겪고 서양문화의 급격한 수입으로 인해 전통은 '과거의 진부한 유산'으로 취급받으면서 전통음악은 농경사회의 잔재 혹은 '기생문화'의 전형으로 여겨졌다. 이런 와중에 전통음악문화는 매우 빠른 속도로 붕괴되면서 피폐화되었다. 1960년대 이후 전통문화를 보호하기 위한 문화재보호법이 제정되면서 무형문화유산은 정부의 보호막에 들어갔다. 이후 많은 전통음악장르가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근근이 명맥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많은 대학에 국악과가 설립되고, 국립국악원을 비롯한 각종 시립·도립 국악관현악단이 설립되면서 전통음악은 부활하고 있다. 그러나 제도권 음악계의 이런 변화는 우리의 전통음악문화의 전승방법과는 전혀 다른 것이다. 전통음악을 포함하는 무형문화유산은 살아있는 생명체이고, 전통음악은 이를 둘러싼 유기적인 환경이 바뀌면 외부환경의 영향으로 스스로 소멸되기도 하고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변모하기 마련이다. 한번 창작되면 어느 정도의 고정성을 갖는 완성예술(product arts)인 서양예술음악과는 달리 한국 전통음악은 음악가의 손을 거치면서 시대적으로 끊임없이 새로운 모습으로 변화하는 과정예술(process arts)의 전형적인 형태를 보인다. 이것이 한국 전통음악의 생명력이었다. 일제강점기 이후 자생적 생명력을 소진한 전통음악은 해방 이후에는 외부의 동력에 힘입어 새로운 생명력을 얻게 되었다. 즉, 해방 이후의 전통음악문화는 기존의 음악문화와는 전혀 다른 경험을 통해 성장하고 있다. 이는 전통문화의 재창조·전승이라는 긍정적인 작용과 더불어 왜곡·박제화라는 부정적인 면도 공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글에서는 가야금산조를 중심으로 전통음악의 전승과 미래를 논의하고자 한다. 전통음악의 부침과 부활을 가장 극명하게 보여주는 것이 기악독주음악인 산조이다. 19세기 끝머리에 처음 만들어진 산조는 일제강점기에는 판소리의 전성시대에 힘입어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룬다. 그러나 해방 후에는 전통음악의 부침과 더불어 침체기를 겪다가 1960년대 이후 중요무형문화재와 대학 교육의 영향으로 부활하여 지금은 전통음악장르를 대표하는 음악으로 성장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