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IPA를 이용한 장애인과 일반인 지하철 이동시설만족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on Performance of Transport Facilities in Subway for Vulnerable Pedestrians and Non-Vulnerable Pedestrians Using Modified-IPA

  • 김태호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 손상호 (금광기업(주) SOC사업부) ;
  • 박제진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투고 : 2009.09.24
  • 심사 : 2009.10.30
  • 발행 : 2009.11.30

초록

본 연구는 교통약자의 이동시설에 대한 실태 및 의식조사를 바탕으로 향후 지하철역사에 추가 도입될 교통약자 시설 개선의 전략 수립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를 위해 선행연구와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의 이동시설 관련 평가항목을 선정하고, 설문조사 및 변형된 중요도-만족도(M-IPA)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장애인이 시급히 개선을 요구하는 사항에 대한 개선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장애인을 중심으로 결과를 서술하였다. 첫째, 종합적인 측면의 M-IPA 분석결과 장애인은 안내시설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세부적인 측정지표별 M-IPA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보행접근로, 안내방송 및 표지판, 경보 및 피난시설, 장애인화장실에 대한 시설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 일반인들에 비해 지하철 역사로의 접근과 정보제공에 대한 부분이 중점적으로 부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장애인들을 위한 시설개선시 접근과 정보제공에 대한 시설을 시급히 개선하는 것이 지하철 역사의 접근과 이동성 제고를 위해 가장 우선순위 높은 개선사항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obtained data on consciousness survey of disabled and non-disabled pedestrians, and proposes fundamental data for public strategy in order to enhance facilities in subway stations in advance. This paper conduct literature review, new listing survey related to 'The Code for Improvement of Convenience for Moving Vulnerable Pedestrians', and Modified-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M-IPA). The results show that disabled pedestrians want enhancement in information facilities as a whole.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that several improvements needs to be applied to accessible sidewalk, to informative notification, to alarm and evacuation system and to toilet for disabled pedestrians. This indicates that disabled pedestrians heavily concentrate on accessibility to subway station and provided information compared with disabled pedestrian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태호, 도화용, 원제무(2008) M-IPA분석을 이용한 버스서비스지표 개발 연구, 서울도시연구, 제9권 제1호.
  2. 김태호, 고준호, 원제무(2008) 변형된 IPA 분석기법을 활용한 도시부 도로 서비스 질 평가, 한국도로학회논문집, 한국도로학회, 제10권 제2호.
  3. 박정수, 김태호, 윤상훈, 배기목(2007) IPA 분석을 이용한 지하철 이용자 서비스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철도학회논문집, 한국철도학회, 제10권 4호.
  4. 배인숙(2001) 지하철역 주변의 이용만족도 분석을 통한 보행환경개선방안,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5. 설재훈, 신연식, 박인기(2004) 장애인.노약자의 복지교통 서비스개선방안, 교통개발연구원.
  6. 신연식(2002) 교통약자의 보행교통환경에 대한 평가와 정비방안,교통개발연구원.
  7. 이하원(2004) 지하철역 이용자의 상하이동 편의시설 확충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8. 정헌영, 이하원, 김장규(2005) AHP기법을 이용한 지하철 역사의 상하이동 편의시설 설치 우선순위 선정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5권 제3D호, pp. 423-428.
  9. 조득제(2002) 서울시 지하철 장애인 편의시설 개선방안에 대한연구 - 환승역을 중심으로 -,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10. Ashford, N. J. (1979) The Provision of Transport for the Handicapped, Ergonomics, Vol. 22.
  11. John Sutton (1990) Travel Choice and the mobility handicapped ;some preliminary investigations utilizing a disaggregate choice model, Transportation Planning and Technology, Vol. 14.
  12. Martilla, J. and James, J. (1997)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Journal of Marketing.
  13. Norman Ashford (1979) Transport for the elderly and the handicapped overview from the late 70's, Transportation Planning and Technology, Vol. 5.
  14. Sandra Rosenbloom (1982) Federal policies to increase the mobility of the elderly and the handicapped,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Vol.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