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수도권 도심 대기질 개선을 위한 환경지역의 운영전략 및 평가에 관한 연구

An Evaluation and Management Strategy of Environmental Zone for Improving Air Qual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최기주 (아주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
  • 이규진 (아주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
  • 안성채 (아주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
  • 신강원 (경성대학교 도시공학과)
  • 투고 : 2009.09.01
  • 심사 : 2009.10.28
  • 발행 : 2009.11.30

초록

수도권 지역의 대기오염 배출량은 대부분 교통 부문에서 유발되고 있고, 특히 수도권 지역 미세먼지(PM10) 배출량의 52%와 질소산화물(NOx) 배출량의 59%는 노후 대형경유차에서 배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노후 대형경유차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정책인 환경지역 (노후 대형경유차의 수도권 진입 억제 및 대기오염물질 저감장치 장착)운영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환경지역 운영전략은 대상지역과 대상차량에 따라 6개 시나리오로 구성되었으며, 각 시나리오는 교통통계자료를 이용하여 평가되었다. 환경지역 운영 전략에 대한 평가 결과, 7년 경과된 노후 경유차의 DPF장착과 1998년식 이전 노후 경유차의 조기폐차 시행방안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저공해화 대상차량을 수도권 내 운행차량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등록차량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MA), transportation sector is the largest source of air pollutant emissions. Of the total amount of air pollutant emissions in the SMA, about 52% of the particulate matter emissions and 59% of the nitrogen oxide emissions are from superannuated heavy diesel vehicles. To lessen the air pollutant emissions from superannuated heavy vehicles in the SMA, this study devised several strategies for operating Environmental Zone (EZ) program, which requires superannuated heavy diesel vehicles to install reduction equipments as well as restricts them entering part of the SMA, and evaluated the effects of different strategies on air pollution in the SMA. By using the Korean traffic statistics, an evaluation has been made of six EZ scenarios, which were devised by different target areas and vehic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Z program with retrofitting a DPF (Diesel Particulate Filter) equipment to 7-year-old heavy diesel vehicles and early scrapping of pre-1998 heavy diesel vehicles is the most efficient alternative in terms of air pollution reduction.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gnitude of air pollution reduction increases when implementing the EZ program to all entering superannuated heavy diesel vehicles to the SMA rather than registered ones in the SMA.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강수(2002) 자동차로 인한 대기오염 및 소음피해의 경제적 가치, 월간교통.
  2. 국립환경과학원(2004) 대기보전정책수립지원시스템 구축4차년도:배출량 산정 방법론.
  3. 국립환경과학원(2005) 이동오염원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방법 편람.
  4. 국립환경과학원(2006) 수도권 대기질 개선대책 효과분석 및 사후관리방안.
  5. 국립환경과학원(2008) 도심대기질 개선을 위한 차량통행제한 설정등을 위한 연구(II).
  6. 박준환, 김원호, 남두희, 이영인(2007) 환경정의를 고려한 교통운영 전략 및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Vol. 25, No. 3.
  7.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7) 대기환경개선을 위한 환경지역의 지정및 운영방안, 서울정책포커스 제32호.
  8.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7) 서울시 대기질 개선의 경제적 편익 추정에 관한 연구.
  9. 서울특별시(2007) 대기질 개선을 위한 노후경유자동차 처리방안 기본연구.
  10. 최기주, 이규진, 안성채(2009) 도로이동오염원 배출량 산정을 위한 Bottom-up Approach 기법의 개선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Vol. 27, No. 4.
  11. A. Markandya(1998), Economics of Greenhouse Gas Limitations:The Indirect Costs and Benefits of Greenhouse Gas Limitations, UNEP.
  12. David C. Carslaw, Sean D. Beevers (2002) The efficacy of low emission zones in central London as a means of reducing nitrogen dioxide concentration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13. European Commission (1999) ExternE: Externality of Energy.
  14. Jayajit Chakraborty (2006) Evaluating the environmental justice impacts of transportation improvement projects in the U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D.
  15. Mike Holland, Paul Watkiss (2002) BeTa Version E1.02a Benefits Table database: Estimates of the marginal external costs of air pollution in Europe, netcen.
  16. Tzu-Yi Pai, Keisuke Hanaki, Hsin-Hsien Ho, Chun-Ming (2007) Using grey system theory to evaluate transportation effects on air quality trends in Japan,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