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ID분석을 이용한 나들목 주변 지가의 공간분포 영향모형 개발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Selection Model of Interchange Influence Area in Seoul Belt Expressway Using Chi-square Automatic Interaction Detection (CHAID)

  • 김태호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 박제진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 김영일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 노정현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투고 : 2009.09.24
  • 심사 : 2009.09.30
  • 발행 : 2009.11.30

초록

본 연구는 고속도로 나들목의 접근성이 주변 아파트 지가형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서는 데이터마이닝(CHAID분석), 추세선 분석(Trend Analysis) 등을 활용하여 고속도로의 나들목(IC) 주변 아파트가격과 관련된 지가경사 모형을 개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고속도로 나들목이 위치한 지역별(외측 : 경기도, 내측 : 서울시)로 아파트 가격에 차이가 있으며, 일반적인 주택가격과 교통결절점이 가지는 선형 관계가 아닌 비선형적 관계(2차 다항식)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CHAID분석을 이용한 공간분포 검토 결과, 외측지역(경기도)의 경우 2.6km를 전후하여 2개의 상이한 공간분포를 가지며, 내측지역(서울시)의 경우 1.4km와 3.8km를 전후하여 3개의 상이한 공간분포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파트 가격이 도로결절점(고속도로 나들목)으로부터 첫 번째 임계점까지 는 점차 상승하다가 일정거리 이후부터 서서히 감소하는 복합적인 공간분포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교통접근성이 좋다고 하여 주택가격이 높지만은 않으며, 주거환경(고속도로 소음, 지역단절 등)과 교통접근성간의 상호 교환 작용(Trade Off Effect)에 의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향후 본 연구의 고속도로 나들목 주택가격 영향모형을 이용하여 고속도로 주변에 지속적으로 건설되고 있는 신도시 주택가격 산정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develops model for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major node (Interchange in expressway) and land price formation of apartments along with Seoul Belt Expressway by using CHAID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first, regions(outer side: Gyeongido, inner side: Seoul) on the line of Seoul Belt Expressway are different and a graph generally show llinear relationships between land price and traffic node but it does not; second, CHAID analysis shows two different spatial distribution at the point of 2.6km in the outer side, but three different spatial distribution at the point of 1.4km and 3.8km in the inner side. In other words, traffic access does not necessarily guarantee high housing price since the graphs shows land price related to composite spatial distribution. This implies that residential environments (highway noise and regional discontinuity) and traffic accessibility cause mutual interaction to generate this phenomenon. Therefore, the highway IC landprice model will be beneficial for calculation of land price in New Town which constantly is being built along the highway.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 http://www.realtyprice.or.kr
  2. 구본창(2002) 아파트 특성이 가격에 미치는 효과 : 분당신도시를 대상으로, 국토연구, 국토연구원, 제34권.
  3. 권화중(2001) 지하철 개통전후 역세권의 지가변화 분석,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4. 권화중, 임윤택, 김형진(2001) 지하철 개통에 따른 역세권의 지가변동 요인,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 기윤환(2005) 인천시 아파트가격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인천발전연구원.
  6. 김대웅, 유영근, 최한규(2002) 지하철 도보역세권 설정방법과 적용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7권 제5호.
  7. 김미리(2001) 지하철 역세권 지가변화에 관한 연구 : 서울시 8호선 잠실역, 송파역, 문정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8. 김미리(2001) 지하철 역세권 지가변화에 관한 연구 : 서울시 8호선 잠실역, 송파역, 문정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9. 김재원(2000) 지하철 역세권 지가 변화에 관한 연구 : 부산지하철 1호선 서면, 동대신동, 당리역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10. 김재원(2000) 지하철 역세권 지가 변화에 관한 연구 : 부산지하철 1호선 서면, 동대신동, 당리역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11. 김태호, 이용택, 황의표, 원제무(2008) CART분석을 이용한 신도시지역의 지하철 역세권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한국철도학회, 제11권 제3호.
  12. 노승만(2006) 미국의 고속도로 개통이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분석, 강원발전연구원.
  13. 박경현(2000) 역세권 지가분포와 지역별 차별적 토지이용에 관한연구 : 사당역세권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4. 박영순, 최규산, 박영호, 백준홍(2004) 주거지역 지가에 영향을 미치는 역세권 범위 설정 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4권 제1호.
  15. 우경(2002) 도심접근성이 수도권지역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토지연구, 한국토지공사, 제13권 제1호.
  16. 이번송, 정의철, 김용현(2002) 아파트 단지특성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분석, 국제경제연구, 한국국제경제학회, 제8권 제2호.
  17. 이석하(2003) 지하철역사와 역세권 특징이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서울동북지역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18. 이현웅, 이만형(1999) 수도권 신도시주택가격 결정요인에 대한 비교연구 : 분당, 과천, 목동 중심으로, 건설기술연구소 논문집, 충북대학교 건설기술연구소, 제18권 1호.
  19. 임남구(2005) 아파트 특성에 따른 가격결정모형 연구 : 대전시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20. 전상훈(2001) 지하철 역세권 지가의 공간적 분포, 석사학위논문.연세대학교.
  21. 정홍주(1995) 아파트 가격결정모형에 관한 실증연구 : 서울지역한강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22. 지오피스, http://www.geopis.co.kr
  23. 최유란, 김태호, 박정수(2008) CHAID분석을 이용한 서울시 지하철 역세권 지가 영향모형 개발,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한국철도학회, 제11권 제5호.
  24. 최재홍(2005) 지하철 역세권의 범위와 공동주택 가격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25. 한국도로공사(2009) 고속도로 만들기 40년 : 제1권 국가 발전기여도,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26. Hillier, B. (1999) Centrality as a process: accounting for attraction inequalities in deformed grids, Urban Design International, Vol. 4, No. 3&4, pp. 107-127. https://doi.org/10.1057/udi.1999.19
  27. Langley, C. John, Jr. (1981) Highways and Property Values: The Washington Beltway.
  28. Palmquist, Raymond (1980) Impact of Highway Improvements on Property Values in Washington, Washington State Transportation Commission, Transportation and Planning Division, Washington State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9. Lewis, Carol, Jesse Buffington, Sharada Vadali, and Ronald Goodwin (1997) Land Value and Land Use Effects of Elevated, Depressed, and At-Grade Level Freeways in Texas, Texas Transportation Institute, Texa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30. Langley, C. John, Jr(1981) Highways and Property Values: The Washington Beltway Revisited, TRR 812, TRB, Washington,DC.
  31. Carey, Jason (2001) Impact of Highways on Property Values : Case study of the Superstition Freeway Corridor, FINAL REPORT 516, Sacramento, 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