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Occupational View and Perception on Career Education of Teachers and Parents in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교사와 학부모의 직업관 및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 Received : 2009.08.18
  • Accepted : 2009.11.11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is research studied occupational view and perceptions of career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arent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113 teachers and 523 parents. Data were analyzed by ${\chi}^2$ and t-test.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occupational view by sex, educational background, field experience in elementary school, and experience of inservice teacher educ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s' occupational view by sex and ag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in occupational view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in perceptions of career education. Occupations providing stable livelihood were preferred by parents, by male teachers, teachers with masters' degrees, and by teachers whose education had included inservice training.

Keywords

References

  1. 강연옥(2001). 교사발달과정의 갈등요인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경혜(2003). 초등학교 직업관 및 진로교육에 관한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상범(2003). 실업계 고등학교에서의 진로지도 현황 및 개선 방안.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선진(2007). 초등학교에서 진로상담교육을 위한 교사연수 프로그램 구안에 관한 연구.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양희(1998). 여성의 직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심리학연구 : 사회 및 성격, 12(2), 97-117.
  6. 김영희(1996). 초등학생들의 진로인식에 관한 조사연구.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충기(2000). 진로교육과 상담. 서울 : 동문사.
  8. 류문용(2006). 배경변인에 따른 초등학생의 진로인식 분석.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서우석(2000).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실태와 방향. 인천교육대학 대학생활연구, 12, 167-188.
  10. 서인숙(2001). 어머니의 취업유무와 직업관이 자녀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신현숙.김인아.류정희(2003). 중.고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교상담 실태와 학교심리학 서비스의 필요성. 한국심리학회지 : 학교, 1(1), 53-77.
  12. 이은희(1999). 초등학교 진로교육에 대한 교사, 학생 및 학부모의 인식 비교.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준일(2000). 초등학생의 진로의식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임순희(1997). 남북한 여성의 가치관. 통일논총, 15, 19-52.
  15. 장홍근.이동임.오영훈.최지희.정윤경.이기흥.서우석(2007). 한국인의 직업의식과 직업윤리 : 국제비교 맥락에서 본 한국인의 직업의식. 한국작업능력개발원.
  16. 정광원(1997). 한국인이 직업윤리에 관한 연구-특히 현대산업사회에 있어서 주부들의 직업관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10, 119-152.
  17. 정미경.안남규(2001). 초등실과교과에서의 진로교육 내용분석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논총, 17(3), 103-125.
  18. 정철영(1999). 자녀 진로지도를 위한 학부모 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 진로교육연구, 10, 227-260.
  19. 정현아(2006). 초등학생을 위한 진로집단 상담이 진로 인식도와 성취동기 향상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조찬성(2000). 부모의 직업과 자녀의 희망진로 분석. 실과교육연구, 6(1), 113-124.
  21. 진혜영.정혜영(2006). 진로인식 향상을 위한 가정 연계 초등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교과교육학연구, 10(2), 497-513.
  22. 천명섭.김민주(1993). 교사들의 직업의식 변화에 관한 연구. 연구논문집, 7, 245-264.
  23. 천명섭.최병우(2001). 우리나라 여성의 직무태도 변화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23(1), 173-201.
  24. 최홍식(1999). 초등학교 진로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연구.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허혜옥(1999). 초등학교 교사의 진로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Holland, J. L. (1985). Making vocational choice.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Hall.
  27. Hotchkiss, L., & Borow, H. (1996). Sociological perspective on work and career development. Imn D. Brown and Associates,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3rd ed., pp.281-334). an Francisco : Jossey-Bass.
  28. McDaniels, C., Gysbers, N. (1992). Counseling for Development : theory, resources, and practice. San Francisco : Jossey-Bass.
  29. Mitchell, L. K., & Krumboltz, J. D. (1996). Krumboltz's learning theory of career choice and counseling. In D. Brown.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3rd ed. pp.33-280). San Francisco : Jossey-Bass.
  30. O'Brien, K. M. (1996).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parental attachment on the career development of adolescent wo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8, 257-274. https://doi.org/10.1006/jvbe.1996.0024
  31. Otto, L. B., & Call, V. R. A. (1985). Parental influence on young people's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12(1), 65-69.
  32. Roe, A. (1957). The psychology of occupation. New York : John Wiley.
  33. Savikas, M. L. (1994) Measuring career development :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1(1), 4-24.
  34. Schultheiss, D. E. P., Palma, T. U., & Manzi, A. J. (2002). Career development in childhood : A qualitative inquiry.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Chcago.
  35. Splete, H., & Freeman-George. A. (1985). Family influence on the career development of young adults.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12(1), 55-64.
  36. Super, D. E. (1990).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2nd ed.). San Francisco : Jossey-Bass.
  37. Zunker, V. G. (1990). Career Counseling : Applied concept of life planning. Pacific Grove, CA : Br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