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ter-School Care and Education

방과후 아동지도

  • 서영숙 (숙명여자대학교 가정아동복지학부) ;
  • 박진옥 (동원대학 복지계열 아동복지) ;
  • 서혜전 (대구한의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Received : 2009.08.21
  • Accepted : 2009.11.11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Representative services of the afterschool in Korea are After-School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Community Child Centers, After-school Child Care, and Youth After-school Academy of the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Each service is distinguished with its own founded laws, subject children, specialists, principle management agent, a number of participants, and more. Research issues of afterschool are development of new afterschool programs, evaluatj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afterschool, establishment of policies related to cooperative efforts among the different services of the afterschool, obtainment of legal status, and enhancement of the credential of its personnels. To guarantee the quality of the Afterschool and improve personnels' working conditions, various means are to be implemented. In regard to programatic and policy issues, the afterschool is needed to establish a system for training the afterschool coordinators and of its accreditation and to develop more child-centered afterschool programs. Also, it is needed to legislate fundamental law and consolidate communication system among the services of the Afterschool in pursue of their effective utilization and actual expansion.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원(2008). 2008년 방과후학교 현황 분석 (2008년 10월 말 기준).
  2. 국가청소년위원회(2007a). 2007 청소년 백서.
  3. 국가청소년위원회(2007b). 청소년 정책 통계집.
  4. 김양빈(2008). 지역아동센터의 지원 정책과 과제. 한국방과후아동지도학회 2008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7-36.
  5. 김준기.정복교(2008). 한국의 사회조직간의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 : 지역아동센터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44(4), 75-105.
  6. 김진숙(2009). 방과후학교 정책현안과 경쟁력 확보 방안. 제1차 미래교육공동체포럼 자료집.
  7. 김현미.이인영(2005). 방과후 아동보호문제 해결을 위한 토론회. 열린우리당 육아지원정책기획단 주관 토론자료집.
  8. 김홍원(2006). 방과후 교육활동의 현황과 개선방향 : 방과후 아동문제 해결을 위한 토론회 자료집. 열린우리당 육아정책기획단.
  9. 김홍원.양애경.노신민.조호제.김경성(2008). 2008 방과후학교 성과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0. 김혜금.서혜전(2007). 초등학교 방과후 보육프로그램 전당교사의 자격기준과 전문성 발전 방안. 한국방과후아동지도학회 2007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43-59.
  11. 노성향.이윤경(2004). 방과후 정서지능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방과후아동지도연구, 1(1), 53-71.
  12. 변숙영.장명희(2008).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직무능력 향상 교육과정 개발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7연차보고서.
  13. 보건복지가족부(2008). 보육통계(2008.12.31기준).
  14. 보건복지가족부(2009a). 2009년도 아동.청소년 사업 안내.
  15. 보건복지가족부(2009b). 지역아동센터 운영지침.
  16. 보건복지가족부(2009c). 보육교사용 아동권리협약과 함께하는 아동청소년의 권리.
  17. 보건복지기족부 아동청소년 역량개발과(2008). '방과 후 나홀로' 아동청소년 지원 확대. 2008년 9월 30일 보도자료.
  18. 서영숙.이향란.신지현(2006a). 방과후 활동 운영시스템 개선 방안. 기획예산처 사회서비스향상기획단.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아동연구소.
  19. 서영숙.이향란.신지현.이지항(2006b). 지역아동센터 실태조사 및 운영모델 개발. 서울 : 서울복지재단.
  20. 서영숙.서혜전.이향란.서지영.김현자.윤매자.김진숙.신지현.신혜경(2009). 방과후아동지도론. 경기 : 양서원.
  21. 서혜전(2007).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요구에 대한 연구. 방과후아동지도연구, 4(2), 25-51.
  22. 손영설(2009). "수요자중심의 방과후학교 만들기" : 방과후학교의 경쟁력 제고방안. 제1차 미래교육 공동체 포럼. 교육과학기술부.
  23. 양애경.김지현(2008). 방과후학교의 지원 정책과 과제. 한국방과후아동지도학회 2008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91-112.
  24. 정연희(2008). 방과후 보육의 지원 정책과 과제. 한국방과후아동지도학회 2008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57-62.
  25. 조애저(2008). 지역아동센터의 빈곤아동 급식지원실태 및 개선방안. 보건복지포럼. 139, 43-54.
  26. 지역아동정보센터(2009). 지역아동센터 수와 참여 아동 수 현황. http://www.icareinfo.info/에서 2009년 8월 9일 인출.
  27.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2009).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수와 참여아동 수 현황. www.youthacademy.or.kr에서 2009년 7월 11일 인출.
  28. 보건복지가족부(2009).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프로그램 운영과정. mohw.go.kr에서 2009년 7월 15일 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