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w Fertility & Infertility

저출산/불임

  • Received : 2009.08.11
  • Accepted : 2009.11.11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Recently, low birthrate has been recognized as a social problem, which is expressed as catastrophy of population. There are several reasons why low birth rate has occurred directly and indirectly, generating total economic and social burden for our society. That is, low birthrate should not be simply regarded as reduction of population.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the reasons of low birthrate and the current status of infertility, and examined practical and theoretical issues in terms of low birthrate. It is our contention that low birthrate and infertil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governmental issue to enhance quality of life of the public. Thus, integrated and systematic policy must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to effectively meet the issues.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철(2008). 저출산사회의 교육정책 방안. 저출산고령사회관련 주요현안 및 대응방안 연구.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 서울경제(2009. 8. 3). 인구대재앙(2) : 저출산 복합불황이 온다. http://economy.hankooki.com/에서 2009 년 8월 20일 인출.
  3. 서울경제(2009. 8. 9). 사상최악 '출산율 쇼크' 온다. http://economy.hankooki.com/.
  4. 서울경제(2009. 8. 10). 인구대재앙(4) : 출산파업, 구멍난 복지. http://economy.hankooki.com/에서 2009 년 8월 20일 인출.
  5. 서울경제(2009. 8. 12). 인구대재앙(5) : 국민 4대 의무 부도난다. http://economy.hankooki.com/ 2009 년 8월 20일 인출.
  6. 서울경제(2009. 8. 13). 저출산의 진정한 해법. http://economy.hankooki.com/ 2009년 8월 20일 인출.
  7. 세계일보(2009. 8. 6). 선진국 출산율 반등... 한.일만 '예외'. http://www.segye.com/2009년 8월 20일 인출.
  8. 손승영(2005). 한국사회 저출산 원인과 가족친화적 정책대안. 가족과 문화, 17(2), 285-316.
  9. 신효영.방은령(2007). 미혼과 기혼 남녀의 결혼관 및 자녀관 비교.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494-495.
  10. 양정선(2009). 저출산 대책으로서의 결혼장려및 불임 부부 지원(이슈브리프 제15호). 수원 : 경기도 가족여성연구원.
  11. 여성신문(2009. 8. 7). 2030 여성 54% '아이 낳고 싶다' http://www.womennews.co.kr/2009년 8월 20일 인출.
  12. 오영희.박승희.구성열.김경철.이인재.이견직.권오정.김경래(2008). 저출산고령 사회관련 주요현안 및 대응방안 연구(연구보고서 2008-20-2). 서울 : 한국보건사회 연구원.
  13. 은기수(2006). 결혼.출산 관련 가치관의 변화와 대응. 저출산고형사회 기본계획의 이해(연구보고서 2006-22-7).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4. 이삼식.윤홍식.박종서.장보현.최은영(2007). 출산.양육 분담체계 구측에 관한 연구(협동연구 2007-02-6).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5. 장진경(2005). 미혼남녀의 결혼관과 출산 및 자녀관에 따른 출산정책 선호도 분석. 대한가정학회, 43(11), 165-183.
  16. 장혜경(2006). 출산.가족친화적 사회환경조성.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의 이해(연구보고서 2006-22-7).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7. 조남훈(2006). 인구정책의 개념과 발전 개황.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의 이해(연구보고서 2006-22-7).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8. 헤럴드경제(2009. 8. 13). 불임부부에 희망을... 서대문 시술비 지원. http://www.heraldbiz.com/에서 2009년 8월 20일 인출
  19. 황나미(2003). 우리나라 불임현황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