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ldren in Korean Multi-cultural Families

다문화가정 아동

  • Received : 2009.08.11
  • Accepted : 2009.11.11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Korean society has been facing many challenges and promises resulting from the rapid population shifts into multi-cultural and multi-ethnic family composition. Government strived to respond to the impending demands and needs of Korean cultural families, in terms of marriage and birth, caring and educating children, and labor and work. This paper overviews the current state of Korean multicultural trends and facts in terms of family, marriage, children, and work. It also overarches major issues of multicultural studies of family relations and child development. By wrapping the facts and issues in current discourse and studies, pragmatic policy points were provided and condensed into some suggestions for the policy-making and program implementation.

Keywords

References

  1. 곽금주(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발달과 적응 : 다문화 가정에서의 부모-자녀간의 상호작용 패턴과 그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1-26.
  2. 교육과학기술원(2006/2008). 다문화가정 학생교육 지원 계획.
  3. 구효진.최진선(2007). 농어촌 다문화가정 유아의 인지적 특성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연구, 12(6), 43-67.
  4. 김갑성(2008). 한국 내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연구. 청소년문화포럼, 18, 58-93.
  5. 김병순(2008). 다문화가정 자녀의 유치원 생활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청소년문화포럼, 18, 98-138.
  6. 김영옥.임진숙.정상녀(2008).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른 양육태도 비교. 열린유아교육연구, 13(3), 143-164.
  7. 김현미(2007). The State and migrant women : Diverging hopes in the making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contemporary families. Korea Journal, 47(4), 100-122.
  8. 김희태.권영덕(2007).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 기관에서의 적응과 변화과정. 미래 유아교육학회, 14(4), 95-117.
  9. 류현주.김향희.김화수.신지철(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조음능력 및 음운변동 특성. 음성과학 15(3), 133-144.
  10. 문무경.조혜주(2008). 다문화가정 육아지원 방안연구. 육아정책개발센터 연구보고. 서울 : 육아정책개발센터
  11. 박경자.김송이(2007). 농촌지역 국제결혼가정 유아의 사회정서발달. 아동학회지, 28(5), 91-108.
  12. 박미경(2007). 교사를 통해본 다문화가정 유아의 특성 및 교사의 어려움 : 결혼이민자 가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3. 법무부(2009). 2009년도 출입국관리통계연보. 서울 :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정보분석팀.
  14. 보건복지가족부(2008). 다문화가족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강화대책. 서울 : 보건복지가족부.
  15. 보건복지부(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보건복지 지원정책방안 보고서. 서울 : (구)보건복지부.
  16. 설동훈.김윤태.김현미.윤홍식.이혜경.임경택.정기선.주영수.한건수(2005). 국제결혼 이주 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방안. 서울 : (구)보건복지부.
  17. 설동훈.이혜경.조성남(2006). 결혼이민자 기족실태 조사 및 중장기 지원정책방안 연구. 한국사회학회.여성가족부.
  18. 송미경.지승희.조은경.임영선(2008). 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 부모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20(2), 497-517.
  19. 오성배(2006). 한국사회의 소수민족 코시안 아동의 사례를 통한 다문화 교육의 방향탐색. 교육사회학연구, 16(4), 137-157.
  20. 이영주(2007). 국제결혼한 여성의 자녀에 대한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여성, 12(2), 83-105.
  21. 정기선 외 6인(2007). 경기도 국제결혼 이민자 가족실태조사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경기도 : 가족여성개발원.
  22. 조영달(2006). 다문화가정 자녀교육 실태조사. 교육부정책연구과제 2006-이슈-3.
  23. 통계청(2008). 2008 한국통계연감-혼인. 서울 : 통계청 사회통계국 인구동향과.
  24. 통계청(2009). 2009 사회통계조사. 서울 : 통계청 사회통계국 사회복지통계과.
  25. 한건수(2007). Multicultural Korea : Celebration or challenge of multiethnic shift in contemporary Korea. Korea Journal, 47(4), 32-63.
  26. 행정안전자치부(2008). 국내거주 외국인 실태조사. 서울 : 행정안전자치부.
  27. 홍영숙(2007). 다문화가정이 봉착하는 자녀교육 문제와 시사점. 광주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