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ant-Child Care Teacher Interaction : Infant Development, Teachers' Sensitivity and Early Home Environment

보육시설에서의 영아-교사 상호작용과 영아의 발달수준, 교사의 민감성 및 초기 가정환경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최은정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 ;
  • 하지영 (경희대학교 아동학) ;
  • 서소정 (경희대학교 아동가족)
  • Received : 2008.12.31
  • Accepted : 2009.03.13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relationships among infant development, teacher's sensitivity,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infant-teacher interaction in the child care setting.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s between 30 2-year-old infant-teacher pairs were video-recorded during free play activities; teachers' sensitivity was observed by trained observers; infant development was assessed by teachers; data on the early home literacy environment were gathered through maternal self-reported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d correlation analyses. Results indicated that boys showed more naming; girls showed more physical contact with teachers. Infants high in overall developmental level showed more behavioral interaction with teachers. Teacher's sensitivity correlated positively with behavioral imitating and negatively with questioning and nodding. Verbal interaction in the home correlated positively with nodding.

Keywords

References

  1. 곽승주(2003). 영아-교사간 상호작용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2세 영아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곽아정(1993). 어머니-유아의 상호작용 및 가정의 문해환경과 유아 읽기능력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구선라(1999). 연령과 성별에 따른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행동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금주(2000). 영아-어머니의 상호작용 유형과 영아의 언어 발달에 관한 연구 : 놀이 - 일상 - 책 읽어주기 상황을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숙령 . 김선희 . 육길나 . 조숙진(2006). 영아와 교사의 집단 활동 상호작용에 있어서 영아교사의 민감성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0(4), 125-150.
  6. 김의향 . 김명순(2006). 7-24개월 영아의 의사소용적 몸짓과 어휘 습득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7(6), 217-234.
  7. 김지연(2005). 어린이집 교사의 언어적 행동과 영아의 언어발달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현정(2007). 영아반 자유놀이활동시간에 나타난 교사-영아 간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유형 및 공동주의(joint-attention)에 관한 기초연구. 유아교육연구, 27(3), 163-189.
  9. 김현지(2007). 교사-영아의 바람직한 상호작용을 위한 보육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명현옥(2001). 가정의 문해환경과 유아의 읽기 능력과의 상관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성연 . 서소정 . Bornstein(2005). 어머니-영아간의 상호작용방식이 영아발달에 마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6(5), 15-30.
  12. 박현정(2003). 교사-유아 상호작용 시작과 참여 유아의 기질 및 사회 . 정서적 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서유현(2002). 유치원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안수연(2000).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나타난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유아 상호작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윤경숙(2002). 영아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의사소통 비교.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문정(1992). 문해환경과 발달에 대한 부모 인식과 유아의 문해 인식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선영(2006). 교사의 상호작용 행동과 영아의 사회 . 정서적 행동간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숙임(2006). 가정의 문해환경과 유아의 언어능력간의 관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순형 . 김정연(1997). 보육시설내 성별에 따른 영아와 교사 및 또래간의 사회적 상호작용. 아동학회지, 18(1), 23-38.
  20. 이정숙(2003). 교사경력과 유아연령에 따른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형민 . 박성연 . 서소정(2008). 어머니의 양육유형 및 민감성이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6(2), 97-111.
  22. 이혜련 . 이귀옥 . 이영주(2007). 영아의 공동주의와 초기 언어발달의 관계. 아동학회지, 28(5), 297-307.
  23. 장영희 . 곽승주(2004). 2세 영아-교사간 상호작용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아동학회지, 25(4), 71-92.
  24. 장유경 . 최윤영 . 김소연(2005). 한국 영아의 초기 의사 소통 : 몸짓의 발달, 아동학회지, 26(1), 155-167.
  25. 장혜성 . 서소정 . 하지영(2007). 장애 위험군에 처한 영아 조기선별 교육진단도구의 국내 타당화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2007년도 추계 학술대회자료집(pp.283-304).
  26. 장혜성 . 서소정 . 하지영(2008). 영아선별 . 교육진단검사. 서울 : 학지사.
  27. 전선옥(1989). 유치원의 교사 . 유아 상호작용 및 물리적 환경의 질에 따른 유아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조재은(2001). 유아의 성별에 따른 교사의 상호작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조혜진 . 김난실(2007). 영아의 사회인지적 놀이행동과 환경 변인과의 관계 -놀이감과 교사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7(1), 199-219.
  30. Capirci, O., Iverson, J. M., Pizzuto, E., &. Volterra, V. (1996). Communicative gestures and the transition to two-word speech. Journal of Child Language, 23, 645-673. https://doi.org/10.1017/S0305000900008989
  31. Caufield (1987). Verbal adult-child interaction during task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291 495.
  32. Cherry, L. (1975). The preschool teacher-child dyad : Sex differences in verbal interaction. Child Development, 46, 532-535. https://doi.org/10.2307/1128153
  33. Coplan, R. J., & Prakash, K. (2003). Spending time with teacher : Characteristics of preschoolers who frequently elicit versus initiate interactions with teach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8, 143-158. https://doi.org/10.1016/S0885-2006(03)00009-7
  34. Dickinson. D. K., De Temple, J. M., Hirschler, J. A., & Smith, M. (1992). Book reading with preschoolers : Construction of text at home and school. Reading Research Quarterly, 7, 323-346.
  35. Fitzgerald, J., Spiegel, D. L., & Cunningham, J. W. (1991).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literacy level and perception of emergent literacy. Journal of Reading Behavior, 23, 191-213.
  36. Gerber, E. B. (2003). Predictors of leacher sensitive caregiving in center-based child car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37. Holloway, S. D., & Reichhart-Erickson, M. (1988). The relationship of day care quality 10 children's free play behavior and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3, 39-53. https://doi.org/10.1016/0885-2006(88)90028-2
  38. Howes, C., Matheson, C., & Hamilton, C. (1994). Maternal, teacher and child care history correlates of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peers. Child Development, 65(1), 264-273. https://doi.org/10.2307/1131380
  39. Iverson, J. M., Capirci, O., & Caselli, M. C. (1994). From communication to language in two modalities. Cognitive Development, 9, 23-43. https://doi.org/10.1016/0885-2014(94)90018-3
  40. Markus, J., Mundy, P., Morales, M., Delgado, P., & Vale, M. (2000). Individual differences in infant skills as predictors of child-caregiver joint attention and language. Social Development, 9, 302-315. https://doi.org/10.1111/1467-9507.00127
  41. McCartney, K. (1984). Effects of quality of day care environment on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20, 244-260. https://doi.org/10.1037/0012-1649.20.2.244
  42. McGee, L. M., & Richgels, D. J. (1990). Literacy's Beginnings: Supporting Young Readers and Writers. MA : Allyn and Bacon.
  43. Morrow, L. M. (1997). Literacy development in the early years. Boston : Allyn and Bacon.
  44.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2005). Child care and child development : Results from the NICHD study of early child care and youth development. NY : Guilford Press.
  45. Phillips, D. A., & Howes, C. (1987). Indicator of quality in child care : Review of research. In D. A. Phillips(Ed.). Quality in child care: What does research tell us? Washington, DC : NAEYC.
  46. Pianta, R. C. (1997). Adult-child relationship processes and early schooling.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8, 11-26. https://doi.org/10.1207/s15566935eed0801_2
  47.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 :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 Cambridge, MA : Harvard University Press.
  48. Whitehurst, G. J., & Valdez-Menchaca, M. C. (1992). Accelerating language development through picture book reading : A systematic extension to Mexican day care. Developmental Psychology, 28, 1106-1114. https://doi.org/10.1037/0012-1649.28.6.1106
  49. Wilcox-Herzog, A., & Kontos, S. (1997). Teachers' interaction with children : Why are they so important? Young Children, January, 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