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대 건강 및 위생 관련기사를 통해 본 어머니 역할 내용분석 : 조선, 동아일보를 중심으로

Content Analysis on the Role of Mother Based on Articles about Childrearing in 1920s: Specifically Focusing on Articles about Health and Hygiene in Chosun-Ilbo and Donga-Ilbo

  • Kwak, Jung-In (Department of Child & Family Studies, Dongduk Women's University)
  • 발행 : 2009.06.01

초록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articles in terms of childrearing focused on health and hygiene in Chosun-ilbo and Donga-ilbo in 1920s. As part of this aim we will look into the role of mothers reflected within these articles.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accomplish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All these articles emphasized the prudent role of mothers and pointed to the fact that holistic knowledge was needed to perform the role of a mother effectively. In other words, mothers had to know about child disease, hygiene, breast milk, nutrition, food, snacks, sleep, exercise and security. Interestingly, the most important matter emphasized in these articles was hygiene. In 1920s, the role of mothers in generally family life was held in high regards in Korean society. In particular, their role within the framework of young children’s health and hygiene was emphasiz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가와모토 아야(1999). 한국과 일본의 현모양처 사상: 개화기로부터 1940년대 전반까지. 심영희, 정진성, 윤정로(편). 모성의 담론과 현실(pp. 221-244). 서울: 나남출판
  2. 고상옥, 전미경(2006). 1920-30년대 가사교과서 육아단원의 외형 및 내용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8(2), 135-149
  3. 김낙년(2005). 식민지시기 공업화의 전개, 이대근, 이영훈, 박이택, 박기주, 김재호, 이헌창 외(편). 새로운 한국경제발전사: 조선후기에서 20세기 고도성장까지 (pp. 283-315). 파주: 나남출판
  4. 김진균, 정근식(1997). 식민지 체제와 근대적 규율. 김진균, 정근식(편). 근대주체와 식민지 규율권력(pp. 13-29). 서울: 문화과학사
  5. 김진균, 정근식, 강이수(1997). 보통학교 체제와 학교규율. 김진균, 정근식(편). 근대주체와 식민지 규율권력(pp. 76-116). 서울: 문화과학사
  6. 김택환, 이상복(2006). 신문의 파워. 서울: 커뮤니케이션 북스
  7. 김혜경(2003). 식민지 조선에서의 핵가족 개념의 도입과 젠더규범. 김귀옥, 김동노, 김수태, 김필동, 김혜경, 박승길 외(편). 한국사회사 연구(pp. 197-227). 서울: 나남출판
  8. 김희진(2006).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교육과 지원. 서울: 파란마음
  9. 나이토 쥬시치로(2000). (마음이 따스한 사람으로 키우는) 육아의 원리. 소재규(역). 서울: 한립토이북. (1992년 원저발간)
  10. 동아일보 1920. 4. 1 - 1929. 12. 31
  11. 동아일보사(1975). 동아일보사史(1). 서울: 동아일보사
  12. 동아일보 80년사 편찬위원회(2000). 민족과 더불어 80년: 동아일보 1920-2000. 서울: 동아일보사
  13. 박선애(2001). 신문의 유아교육 관계기사 분석: 1980.1-2000.10. C일보 기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박정동(1907). 신찬 가정학. 서울: 중앙서관
  15. 백혜리(1997). 조선시대 성리학, 실학, 동학의 아동관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6. 백혜리(2006). 해방 전 한국인의 아동관 변천: 1876-1945. 열린유아교육연구, 11(2), 391-417
  17. 신양재, 김영주(1992). 한국 신문에 실린 아동양육에 관한 기사내용분석(I): 1920년대와 1930년대의 동아.조선일보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0(4), 249-260
  18. 신양재, 김영주(1993). 한국 신문에 실린 아동양육에 관한 기사내용분석(II): 1920년 대부터 1970년대의 동아.조선일보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1(2), 159-175
  19. 양옥승, 최양미, 최경애, 윤희경(2002). 우리나라 만 3, 4, 5세 유아의 양육실태 조사. 가족과 문화, 14(2), 85-103
  20. 오왕묵(1984). 사회계층에 따른 육아방식에 관한 일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유안진(1994a). 한국의 전통육아방식.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2. 유안진(1994b). 아동양육: 육아론의 증보, 개정판. 서울: 문음사
  23. 유재천(1990). 한국 언론과 이데올로기. 서울: 문학과 지성사
  24. 유희정(1995). 부모자녀관계. 여성한국사회연구회(편). 가족과 한국사회(pp. 215-254). 서울: 경문사
  25. 이덕주(1993).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의 역사: 1921-1993. 서울: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
  26. 이상금(1991). 한국근대유치원교육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7. 이영복(1995). 간호사. 서울: 수문사
  28. 이화형, 허동현, 유진월, 맹문재, 윤선자, 이정희(2004). 근대여성의 삶을 만나러 가는 길: 한국 근대여성의 일상문화 8. 가정위생. 서울: 국학자료원
  29. 정근식(2003). 식민지 지배와 신체규율. 김귀옥, 김동노, 김수태, 김필동, 김혜경, 박승길 외(편). 한국사회사연구 (pp. 169-195). 서울: 나남출판
  30. 정미라, 김명순, 박은혜, 신동주(2006). 한국의 현대적 아동관에 대한 탐색. 서울: 창지사
  31. 정미라, 배소연, 이영미(2007). 영유아를 위한 건강 및 영양교육. 파주: 양서원
  32. 정진석(1998). 일제시대 민족지 압수기사 모음. 서울: LG상남 언론재단
  33. 정충량(1967). 이화 80년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34. 조경자, 이현숙(2004). 유아건강교육. 서울: 학지사
  35. 조선일보 1920. 3. 5 - 1929. 12. 31
  36. 조선일보 80년사 편찬실(2000). 조선일보 80년사. 서울: 조선일보사
  37. 조형근(1997). 식민지 체제와 의료적 규율화. 김진균, 정근식(편). 근대주체와 식민지 규율권력(pp. 170-221). 서울: 문화과학사
  38. 차배근(1993). 사회과학 연구방법. 서울: 세영사
  39. 차배근, 오진환, 정진석, 이광재, 임준수, 신인섭(2001). 우리신문 100년. 서울: 현암사
  40. 한국기독교사연구회(1989). 한국기독교의 역사 I. 서울: 기독교문사
  41. 홍성찬(2001). 해방이전의 한국경제. 윤석범(편). 한국경제론 강의(pp. 35-55). 서울: 세영사
  42. 홍순원(1989). 조선보건사. 서울: 청년세대
  43. 홍양희(1997). 일제시기 조선의 현모양처 여성관의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4. 홍창의(2007). 소아과학. 서울: 대한교과서
  45. Berelson, B.(1971). Content analysis in communication research. New York: The Free Press
  46. Cataldo, C. Z.(1987). Parent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Child-rearing concepts and program content for the student and practicing professional. New York: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47. Danial, R., Stephen, L, & Frederick, F.(2001). Analyzing media messages. New York: Lawrence Erlbaum Asscoiates. Inc. 미디어 내용분석 방법론: 양적 분석을 중심으로. 배현석(역).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998년 원저발간)
  48. Duvall, E. A.(1977). Marriage and family development. New York: J. B. Lippincott Company
  49. Ehrenreich, B., & English, D.(1972). For her own good: 150 years of 'experts' advice to women. New York: Anchor Press
  50. Gilbert, L. A., & Hanson, G. R.(1983). Perceptions of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among working people: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measur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5(1), 203-212 https://doi.org/10.2307/351309
  51. Loustaunau, M. O., & Sobo, E. J.(2002). The cultural context of health, illness, and medicine. London: Bergin & Garvey. Inc. 건강질병의료의 문화분석. 김정선(역). 서울: 한울 아카데미. (1997년 원저발간)
  52. Rollet, C., & Morel, M.(2002). Des Bebes et des hommes: traditions et modernite des soins aux tout-petits. Paris: Albin Michel S. A. 출산과 육아의 풍속사. 나은주(역). 서울: 사람과 사람. (2000년 원저발간)
  53. Spock, B.(1969). The common sense book of baby and child care. New York: Pocket Books. Inc. 스포크 박사의 육아전서. 김효주(역). 서울: 정음사. (1946년 원저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