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Quantitative Performance Measurement on the Construction Technology R&D Projects through Research Characteristic

연구개발 사업의 특성을 고려한 건설 R&D의 정량적 성과측정

  • 박상혁 (한미파슨스 주식회사) ;
  • 정호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한승헌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e construction R&D(Research & Development) has various performance according to research charater. But present performance evaluation form evaluates project rather than charater of research. The important reasons that evaluats the performance are to try conclusions with evaluated objects in the short run, but to forecast the performance of future construction R&D and to get the better performance. Thus this study extracts the RPI(Research Performanc Index) with output as the conter, developes the estimation method and measures the quantitative performance. Applying the ANOVA(Analysis of Variance), it is proved that the performance according to research charater is various. And applying the Correspondence Analysis, it is analised the relationship with performance and research charat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detify the problem of uniform performance evaluation and to improve it.

건설R&D사업은 연구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성과를 나타낸다. 하지만 현재 평가방식은 연구특성보다는 사업구분에 따라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성과를 측정하고 평가하는 가장 큰 이유는 단기적으로 평가대상 간의 우열을 가리는 기능 때문이지만 장기적으로는 향후 추진되는 건설 R&D사업의 성과를 에측하고 보다 향상된 성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산출물 중심의 성과측정지표 도출을 하고 정량적인 측정방법을 개발하여 건설 R&D사업을 정량적으로 측정한다. 측정된 정량적인 수치는 분산분석을 통해 연구특성에 따른 성과발현의 차이를 확인하고 대응일치분석을 통해 연구특성과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활용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건설 R&D사업의 획일적인 성과평가에 대한 문제점을 정량적인 성과측정을 통해 검증하는데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의 유형별 평가방안 연구, 2005
  2. 건설교통부, 건설연구개발 성과분석 연구, 2006
  3. 김균태, 건설분야 R&D 활성화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논문집, 제8권 4호, 2008. pp.123-129 https://doi.org/10.5345/JKIC.2008.8.4.123
  4. 안광호, 임병훈, 사회과학조사방법론, 학현사, 2005
  5. 유정호, 류원희, 김우영, 민간 건설기술 R&D 활성화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제8권 제6호, 2007, pp.167-177
  6. 한국과학기술부, 08년 부처별 연구개발 예산 현황, 2008
  7.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연구유형별 건설연구개발 성과측정 방안에 관한 연구, 2005
  8. Eom, S. J., Paek, J. H., 'The Subcontractor Evaluation System Model based on Balanced Scorecard with New Partnership Theory', Architeture & Urban Research Information Center,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2(3), 2006, pp. 139-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