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rminants of Korean Firms' R&D Outsourcing

한국 기업의 연구개발 외주활동 결정요인 분석

  • 임효정 (서울대학교 기술경영경제정책대학원) ;
  • 이원영 (경기개발연구원 경기과학기술센터)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R&D outsourcing ratio (external R&D expenditures out of total R&D expenditures) and firm characteristics. Four hypotheses are tested using firm-level data with Tobit regression method. The major finding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firms with high technological capabilities, which are measured by R&D expenditures per sale and the number of patents per employee, rely more on R&D outsourcing. Nonetheless, firms that own R&D centers tend to rely less on external outsourcing of R&D. Second, firms with high managerial innovation capabilities, which is measured by the introduction of IT solutions, show higher R&D outsourcing ratio. Third, bigger firms are likely to spend more in external R&D than in internal R&D. This paper also discusses implications on R&D policy of Korea.

본 연구는 연구개발 외주비중(총연구개발비 중 외부 연구개발비 비율)에 영향을 주는 기업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관련된 4개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통계청의 2006년 기업활동실태조사 데이터를 이용해 토빗분석을 수행했다. 본 논문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역량이 높은 기업일수록 연구개발 외주비중이 높다. 즉 근로자수 대비 특허수 또는 연구개발 집약도(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가 높은 기업은 연구개발 외주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사내연구소를 보유한 기업의 경우 연구개발 외주를 주더라도 그 비중이 낮았다. 둘째, 혁신활동의 보완재로 IT솔루션을 활용하는 기업은 연구개발 외주비중이 높다. 셋째, 대기업일수록 내부 연구개발보다 외부 연구개발비의 비중이 높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