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the Scale for Healthy aging

건강한 노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08.11.30
  • Accepted : 2009.02.16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an questionnaire for healthy ag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otal 335 people who participated in regular exercise and went to welfare centers in Seoul.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tested for verifying the developed questionnaire for healthy aging.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June 12, 2006 and October 27, 2006. The mean, standard deviation, kurtosis, skewness, reliabil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were analyzed for statistical purpose using by SPSS-Win 1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o obtain content validity,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and the value system responses were submitted to a judgement group. Second,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of the 20 items making up the questionnaire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3 factors; physiological health(6 items), cognitive-mental health(6 items), social-support health(8 items). Third,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for healthy aging was 0.891(Cronbach's alpha). In the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correlations for the 4 factors ranged from 0.642 to 0.885. Fourth,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ll the index values(NFI, RFI, CFI, Delta 2 IFI) were close to 1. Thus, this questionnaire demonstrated good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therefore it was an appropriate measurement of healthy aging.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에게 맞는 건강한 노후에 관한 안정적인 신뢰도와 적절한 타당도를 갖춘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서울에 거주하고 노인복지관을 다니며, 정기적으로 운동을 하고 있는 노인 전체 335명(예비 척도 개발에 65세 이상의 노인 127명, 1차 본 조사 척도 개발에 62명, 2차 본 조사 척도 개발에 146명을 대상)을 대상으로 하였고, 건강한 노후에 관한 개방형 질문지와 개발된 건강한 노후 척도를 통해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조사기간은 2006년 6월 12일부터 2006년 10월 27일까지 실시되었고, 자료처리는 Window용 SPSS 통계 Package 12.0 Version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첨도, 왜도,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구성 개념 틀에 근거하여 만들어진 25개의 문항들에 대해서는 노인관련 전공교수 1명, 노인 여가학 박사 2명 등의 자문집단을 통해 내용타당도를 높였다. 둘째,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건강한 노후 척도는 신체적 건강(6문항), 인지·정신적 건강(6문항), 사회·지지적 건강(8문항)의 3개의 하위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셋째, 신뢰도 검사 결과 전체 문항에 대한 Cronbach's α는 .891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고, 요인별 설문지의 내적 일관성 검정 결과는 각각 .642에서 .885의 범위를 나타냈다. 넷째,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적합지수로 판단한 NFI, RFI, CFI, Delta 2 IFI값들 은 1에 가깝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결과로 도출된 타당도와 신뢰도의 결과들을 살펴봤을 때, 개발된 건강한 노후에 대한 설문지는 예비조사, 본 조사의 과정을 거쳐 확인된 신뢰도와 타당도가 이론적 기준에 벗어나지 않은 적절한 도구이며, 특히 노인들의 건강한 노후 생활에 대한 기준과 틀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