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roving the Grading Indices for Land Suitability Assessment

토지적성평가 지표의 개선방안 연구 - 평가체계II를 중심으로 -

  • 김인현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
  • 오규식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
  • 양희범 ((주)한국공간정보통신 사업본부)
  • Published : 2009.07.31

Abstract

As GIS analysis method began to be introduced in late 1980's, studies of land development applying the GIS also started to be proceeded in various fields. Since 2003, Land Suitability Assesment has been adopted in order to prevent national land from development thoughtless for the environment and to plan appropriate national land management in terms of green development. Land Suitability Assessment System II based on diverse GIS analysis method such as Contour Analysis, Overlay Analysis, Network Analysis was particularly adopted to draft plans of specifying and altering of exclusionary zoning as well as installing and maintaining of urban planning facilities. But there has been a lot of problem, like an inaccurate basic data and assessment indicators, unmatched threshold, and contradicted evaluation result between each evaluating systems. Even though it is suited to an evaluation criteria, grade distribution is applied to start at 20, and development-centered evaluation result is offered. Now, we observed how suitability values and grading were changed, ordering to change grade distribution system from $20{\sim}100$ to $0{\sim}100$. In result, it showed changes of grades in some parcels. And in case of suitability values, 87% of parcels decreased to minimum 1 point, maximum 70 points. It means that changing grade distribution system of assessment system II doesn't have only influence on suitability values and grading but it is also an empirical analysis because of considering both development and maintenance.

1980년대 후반 GIS분석 기법이 소개되면서 GIS를 활용한 토지이용에 관한 연구가 다양한 측면에서 진행되었으며, 2003년 이후에는 국토의 난개발 방지를 위해 환경 친화적인 녹색성장 측면에서의 국토관리를 계획하고자 토지적성평가제도가 도입되었다. 특히 용도지역의 지정 및 변경, 도시계획시설 설치 및 정비 등의 계획을 입안하기 위해 지형분석, 중첩분석, 거리분석 등 다양한 GIS분석 기법을 기반으로 한 토지적성평가 평가체계II가 도입되었다. 그러나 기초자료의 부정확, 평가지표상의 문제, 지역실정에 부합되지 않는 임계치, 평가체계간 평가결과 상충 등 많은 문제점들이 지적되었으며, 평가기준에 적합하지 않더라도 지표별 점수분포를 20점부터 적용하고 있어 개발위주의 평가결과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행 지침에서 지표별 점수를 20점부터 100점까지 제시하고 있는 점수분포 체계를 0점에서부터 100점까지 변경함으로써 적성값과 적성등급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일부 필지에 대해서 등급변화가 나타났으며, 적성값의 경우 87%에 해당되는 필지들 의 값이 최소 1점에서 최대 70점까지 하락하는 변화를 보였다. 이는 평가체계II의 점수분포 체계의 변화가 적성등급과 적성값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동시에 개발과 보전의 양면성을 모두 고려하였다는 측면에서 그리고 실증적 분석을 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길(2007), "토지적성평가에 있어 지역별 기준의 차등성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학열, 안재성(2005), "격자형 토지적성평가방법의 개선방안 연구", 한국 GIS 학회지 제13권 제1호 4p
  3. 건설교통부, 국토연구원(2002), "지속가능한 국토이용관리를 위한 토지적성평가기법의 활용에 관한 연구"
  4. 문수준(2005), "토지적성평가체계의 평가지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봉철, 오규식(2005), "토지적성평가의 개선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오규식, 정연우(2005), "계획 실무자를 위한 GIS 워크샵", 기문당
  7. 임종훈(2004), "토지적성평가의 평가단위와 임계치 개선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0p
  8. 여홍구, 임종훈(2004), "토지적성평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평가체계II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제39권 제2호 통권76호
  9. 이용범(2005), "토지적성평가 운용현황과 활용도 제고방안", 국토연구원
  10. 정성복(2007), "토지적성평가에 있어서 최적평가지표 설정을 위한 실증적 연구", 동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조규장(2005), "토지적성평가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조봉운(2005), "지역특성을 고려한 토지적성평가 활용과 과제", 충남발전연구원
  13. 채미옥, 김정훈(2003), "토지적성평가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14. 채미옥(2002), "토지적성평가체계 구축 방향",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5. 채미옥(2002), "토지적성평가방법의 이론적 고찰", 국토연구원
  16. 최춘성(2006), "토지적성평가의 지표분석개선과 전라북도의 토지특성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최문수(2008), "효율적 도시관리를 위한 토지적성평가의 개선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Lloyd, E. Wright, 1994. “The Development and Status of LESA” A with LESA : The Evolution of Land Evaluation and Site Assessment
  19. United States Soil and Water Conservation Society. 1996. National Agricultural Land Evaluation and Site Assessment : A Guidebook For Rating Agricultural Lands. 2nd E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