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 중년 여성의 체형과 의복디자인에 따른 시각효과(II) - 심리적 시각효과를 중심으로 -

The visual Effect by physical and clothes design of the mid-aged Korean and American women(II) -Focusing on the psychological visual effects-

  • 박순천 (조선대학교 패션디자인전공) ;
  • 투고 : 2009.02.04
  • 심사 : 2009.05.06
  • 발행 : 2009.06.30

초록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psychological visual effect and clothes preference by clothes designs for the mid-aged Korean and American women's somatotypes. The psychological visual effects of each somatotypes' clothes are like these. First, the primary factors for psychological visual effect were analyzed into 5, neat, feminine, polished, modern and active. Second, in thin somatotype, Korean evaluated that china collar and V-neckline are the least feminine, and stand collar is the most polished and the modernest. American evaluated that V-neckline is the most feminine, and tailored collar is the modernest. It shows that there's the difference of culture. In standard somatotype, Korean thought stand collar with pants is the neatest, but tailored collar and china collar with pants are not neat. Contrary, they thought tailored collar with skirt is the neatest and stand collar with skirt is not neat. American thought tailored collar with skirt is the neatest and modernest. The neat visual effects are evalu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lothes' styles of bottom. In obesity, Korean evaluated that tailored collar with skirt is the neatest and modernest, but stand collar with skirt is not modern. Stand collar with pants is the modernest, but tailored collar with pants is the least modern and active. American evaluated that round neckline with pants is not neat, modern and active, and round neckline with skirt is the modernest and the most active. So neckline's visual effects are differently showed by culture and the clothes' styles of bottom.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혜원. (2003). 의상사회심리학, 서울: 교문사, pp.57-88
  2. 김영자. (1998). 복식미학의 이해. 서울: 경춘사, p.103
  3. 김옥진. (2000). 중년여성의 체형에 적합한 의복형태와 면분할 및 배치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1(7), 1173-1183
  4. 김은애, 이명희. (1992). 가치관과 의복이미지 및 의복디자인 선호도에 관한 연구. 복식, 18, 269-281
  5. 류숙희, 김보연. (2001). 자기 이미지가 의복스타일 이미지 평가와 선택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19(5), 734-746
  6. 류숙희, 박종희. (2004). 중년여성의 체형과 신체만족도에 따른 테일러드 재킷의 이미지 평가 및 선호도.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3), 367-376
  7. 박순천. (2008). 한국과 미국 중년 여성의 체형과 의복디자인에 따른 시각효과(I) -신체적 시각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0(6), 959-965
  8. 오현정. (1989). 의복의 미적 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경희. (1994). 의복형태와 디테일에 의한 표면 이미지의 시각적 평가에 관한 연구.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미연, 이명희. (2000). 웨딩드레스의 디자인 요소와 지각자 성별에 따른 인상형성 연구 (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4(5), pp.724-735
  11. 이영미, 서미아. (1998). 네크라인과 헤어스타일이 얼굴 이미지 및 형태 지각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6(4), 617-629
  12. 이옥희. (1992). 네크라인이 얼굴형에 미치는 시지각적 효과.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지현. (1993). 남성캐주얼웨어의 칼라형태와 인상형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정인희, 이은영. (1992). 의복이미지의 구성요인과 평가차원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6(4), 379-391
  15. 홍병숙, 정미경. (1993). 여성 수트의 이미지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 복식, 20, 73-82
  16. Kaiser, S. B. (1985). The psychology of clothing. New York: macmillan
  17. Solomon, M. R. (1985). The psychology of fashion(Ed.). Lexington, MA: lexington Books
  18. Storm, P. (1987). 'Functions of dress tool of culture and the individual'.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Inc
  19. Workman, J., & Johnson, K.(1989). The role of clothing in perpetrating ageism. Journal of Home Economics, 81(3), 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