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재생 PET 섬유가 혼입된 황토 콘크리트의 크리프 거동과 균열저항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reep Behavior and Crack Resistance of Hwang-toh Concrete Mixed with Recycled-PET Fiber

  • 김성배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 김장호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 한병구 ((주)포스코건설) ;
  • 홍건호 (호서대학교 건축공학과) ;
  • 송진규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 Kim, Sung-Bae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System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 Jay Kim, Jang-Ho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System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 Han, Byung-Goo (Dept. of Civil Engineering, Posco Engineering & Construction) ;
  • Hong, Geon-Ho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Hoseo University) ;
  • Song, Jin-Gyu (Dept. of Architecture, Chonnam University)
  • 발행 : 2009.06.30

초록

환경문제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친환경 콘크리트의 개발을 위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지고 있으며, 특히 콘크리트 배합시 시멘트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시멘트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는 포졸란 반응재료들이 혼화재로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 전역에 널리 매장되어 있는 황토는 친환경 재료로서, 포졸란 반응을 하는 활성황토는 콘크리트의 혼화재로 활용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황토와 재생 PET 섬유가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황토와 재생 PET 섬유를 혼입한 콘크리트 거동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건조수축 시험을 통해 황토와 재생 PET 섬유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재료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외부구속균열 및 자유수축변형 실험을 통하여 혼화재로서 황토가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을 줄이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재생 PET 섬유는 건조수축에 의한 외부구속균열을 제어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re have been numerous studies to develop eco-friendly concrete. The attempt to reduce the amount of cement used is suggested as one of the solutions for eco-friendly concrete. To decrease the usage of cement, the pozzolan reaction materials are used as a mineral admixture. Hwang-toh, which is broadly deposited in Korea is a well known environment friendly material and the activated hwang-toh, which has the property of pozzolan reaction, is alternatively used as a mineral admixture of concre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rying shrinkage of hwang-toh concrete mixed with recycled PET fiber. Therefore, drying shrinkage experiments are performed to analyze mechanical property of hwang-toh concrete mixed with recycled PET fiber.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drying shrinkage is controlled by hwang-toh admixture and PET fiber.

키워드

참고문헌

  1. 玉 井元治, 水口裕之, 出村克宣, 岡本亭久, “エココンク リ-ト硏究委員會報告,” コンクリ-ト工學年次報告集, Vol. 18. No. 1, 1996, pp. 19-28
  2. 水口裕之, “エココンクリ-トとは,” コンクリ-ト工學, Vol. 36. No. 3, 1998, pp. 9~12.
  3. Courard, L., Darimont, A., Schouterden, M., Ferauche, M., Willem, X., and Degeimbre, R., “Durability of Mortars Modified with Metakaolin,”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33, No. 9, 2003, pp. 1473-1479 https://doi.org/10.1016/S0008-8846(03)00090-5
  4. Gruber, K. A., Ramlochan, T., Boddy, A., Hooton, R. D., and Thomas, M. D. A., “Increasing Concrete Durability with High-reactivity Metakaolin,”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Vol. 23, No. 6, 2001, pp. 479-484 https://doi.org/10.1016/S0958-9465(00)00097-4
  5. 2000최희용, 황혜주, 김무한, 김문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적용을 위한 황토 혼화재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6권, 6호, 2000, pp. 95-102
  6. 정환목, 최희용, 황혜주, 홍명희, 김문한, “황토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고찰,”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7권, 2호, 1997, pp. 1251-1256
  7. Fríasa, M., Sánchez de Rojas, M. I., and Cabrerab, J., “The Effect that the Pozzolanic Reaction of Metakaolin Has on the Heat Evolution in Methakaolin-Cement Mortar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30, No. 2, 2000, pp. 209-216 https://doi.org/10.1016/S0008-8846(99)00231-8
  8. 김준우, “슬래그-자극제계 결합재를 이용한 카올린 모르타르의 제조,” 석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1999
  9. 최희용, “활성황토의 건설자원화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2002, 197 pp.
  10. 황혜주, “고령토의 활성화 방법 및 활성고령토를 혼입한 모르타르와 콘크리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997, 94 pp.
  11. Yang, K. H., Hwang, H. Z., Kim, S. Y., and Song, J. K., “Development of a Cementless Mortor Using Hwangtoh Binder,” Building and Environment, Vol. 42, No. 10, 2007, pp. 3717-3725 https://doi.org/10.1016/j.buildenv.2006.09.006
  12. 정연백, 양근혁, 황혜주, 정헌수, “황토와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첨가한 콘크리트의 역학적 성능 평가,”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2권, 5호, 2006, pp. 13-20
  13. 정연백, “각종 섬유가 혼입된 황토콘크리트 슬래브의 휨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2005, 104 pp.
  14. 양근혁, 김선영, 송진규, “활성 황토와 셀룰로우스 섬유가 혼입된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2권, 1호, 2006, pp. 111-118
  15. 황혜주, “황토재료가 동식물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9권, 7호, 2003, pp. 103-110
  16. 이기식, “황토재료가 동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목포대학교, 2003, 49pp.
  17. Lee, S. W., Yang Y. S., Ahn T, H., Bae, C. S., Moon, C. J., Kim, S. H., Song, S. Y., Hwang, H. Z., and Kim, J.C., “Subacute Toxicity Evaluation in Rats Exposed to Concrete and Hwangtoh Building Environments,” Environmental Toxicology, Vol. 22, No. 3, 2007, pp. 264-274 https://doi.org/10.1002/tox.20264
  18. 황혜주, 흙건축, CIR, 2008, pp. 98-102
  19. 황혜주, 노태학, 강남이, “혼화재 습도 조절 능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2권, 7,번 2006, pp. 67-74
  20. 최희용, 김무한, 김문한, 황혜주, 최성우, “혼화재 종류 및 활성황토 대체율별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13권, 2호 2001, pp. 123-129
  21. 강홍기, 양근혁, 이영호, 황혜주, 정헌수, “황토와 고로슬래그를 첨가한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및 크리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콘크리트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6권, 1호, 2004, pp. 612-615
  22. 양근혁, 황혜주, 김선영, 송진규, “황토결합재를 사용한 모르타르의 배합특성에 따른 압축강도 및 건조수축 거동,”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2권, 6호, 2006, pp. 87-93
  23. Brooks, J. J. and Johari, M. A. M., “Effect of Metakaolin on Creep and Shrinkage of Concrete,”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Vol. 23, No. 6, pp. 495-502 https://doi.org/10.1016/S0958-9465(00)00095-0
  24. Gleize, P. J. P., Martin, C., and Escadeillas, G., “Effects of Metakaolin on Autogenous Shrinkage of Cement Pastes,”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Vol. 29, No. 2, 2007, pp. 80-87 https://doi.org/10.1016/j.cemconcomp.2006.09.005

피인용 문헌

  1.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Recycling PET Fiber Reinforced High Strength Concrete Circular Column vol.16, pp.6, 2016, https://doi.org/10.5345/JKIBC.2016.16.6.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