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nalysis of Education and Training of The Container Terminal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의 교육훈련에 관한 연구 -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를 중심으로 -

  • 김진용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 전경주 (전남대학교 경영학부) ;
  • 신용존 (한국해양대학교 해운경영학부)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container terminal in Korea. In this situation, we try to analyze the training and education of Busan port container terminals. This study took a close look at present condition of training and education of container terminals in Busan and compared it with foreign advanced port.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actural condition and system of it. Based on the survey result, we examine the problems and suggest an alternative plan to improve the training and edcation of Busna Port container terminals.

본 연구는 우리나라 컨테이너터미널의 인적자원개발 및 관리에 대한 선행연구가 아직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선진항만의 교육훈련 현황을 고찰하여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과 비교 분석해 보았으며, 컨테이너터미널의 교육훈련 사례를 통하여 실제적인 교육훈련 수준을 조사해 보았고, 설문조사를 통해 교육훈련 실태를 분석하여 교육훈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컨테이너 터미널의 교육훈련 실태분석에 나타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효율적인 교육훈련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업의 생존전략 및 항만이용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체계적 기능인력 육성시스템의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교육수혜대상인 종업원이 직접 참여하는 세분화된 교육훈련 계획에 의해 기능향상교육과 안전교육, 신규사원교육과 기존사원 재교육, OJT와 OffJT, 사내 및 사외 교육훈련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항만 생산성을 제고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교육훈련 성과를 지속적으로 향상시켜갈 수 있도록 교육 후의 자격취득에 대해 급여를 차등 지급하는 기술급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인력 채용, 배치, 승진, 승급 등의 전반적인 인적자원관리 활동을 능력 기준으로 수행함으로써, 교육훈련을 통한 능력 배양을 장려하는 인적자원 관리 방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고혜원 외, [직업능력개발 훈련 수요조사: 한.미FTA에 따른 훈련수요추정],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7.
  2. 권소현, "대기업의 교육훈련의 실태와 효율적 운영방안 참여", 이화여대 석사학위 논문, 1999.
  3. 김안국, "기업교육훈련의 생산성 효과분석", 경제학연구 제50집 3호, 2002, pp. 341-367.
  4. 김종재.박성수, [인사관리론], 경음사, 1989.
  5. 류장수, "한국제조업체의 교육훈련투자 규모와 결정요인", [경제학연구], 45권 4호, 1997, pp. 227-249
  6. 박재록.한기수, "기업교육훈련 제도의 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노사관계연구], 5호, 1995, pp. 1-23.
  7. 신승호, "기업내 교육과정모형 개발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4.
  8. 우덕삼, "한국기업의 교육훈련시스템 유형과 상황특성 및 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경성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02.
  9. 이성림, "기업교육의 유효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0. 이정표 외 3명, [기업인적자원관리 및 개발분야 자격체계와 교육훈련기준 개발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9.
  11. 임종만, "능력개발과 교육훈련에 관한 연구", [국제대학논문집], 19집, 1991. pp. 431-472.
  12. 한준상, "서구기업의 인력자원개발전략에 관한 연구:한국기업의 인력자원 개발전략과 근로자의 근로의식 함양방안을 위해", [연세교육과학], 제41호, 1992, pp. 61-87.
  13. 한창균, "기업의 교육훈련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4. 함근배, [OJT의 효과적 추진], 산업교육 연구소, 1980.
  15. 노동부, [2006 회계연도 기업체 노동비용 조사결과], 노동부, 2007.
  16. Bae, Jong seok, and Rowley Chris, "Macro and Approaches in Human Resource Development : Context and Content in South Korea," Journal of World Business, Vol. 39, 2004. pp. 349-361. https://doi.org/10.1016/j.jwb.2004.08.003
  17. Macduffie, John Paul, and Kochan, Thomas A, "Do U.S. Firms Invest Less in Human Resources?: Training in the World Auto Industry," Industrial Relations, Vol. 34, 1995, pp. 147-168.
  18. Smith, A., and Dowling, P. J, "Analyzing firm training: Five propositions for future research",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Vol. 12(2), 2001, pp. 147-167. https://doi.org/10.1002/hrdq.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