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bustional Characteristics of Living Leaves for Five Shrubs in Youngdong Areas

영동지역 관목류 5가지 수종 생엽의 연소특성

  • 이해평 (강원대학교 소방방재학부) ;
  • 이시영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
  • 박영주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combustibility of five shrubs growing in Youngdong area such as Lindera obtusiloba, Lespedeza maximowiczii, Zanthoxylum piperitum, Zanthoxylum schinifolium, and Corylus heterophylla var. thunbergii using the ignition temperature tester, the cone calorimeter and the smoke density chamber in order to estimate the danger of a forest fire. The results showed that Lespedeza maximowiczii has the lowest ignition temperature, the fastest ignition time and the highest average release concentrations of CO and $CO_2$. Zanthoxylum piperitum and Zanthoxylum schinifolium showed the highest level in heat release and smoke release, respectively. Therefore, we have concluded that Lespedeza maximowiczii has the highest ignitibility, Zanthoxylum piperitum the most intensive fire spread and fire intensity, and Zanthoxylum schinifolium and Lespedeza maximowiczii most difficult to escape from a forest fire.

본 연구에서는 산림 내 가연물의 산불위험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영동지역에서 자생하는 관목류(생강나무, 조록싸리나무, 초피나무, 산초나무, 개암나무)의 생엽을 대상으로 발화점시험기, 콘칼로리미터, 연기밀도시험기를 이용하여 연소특성을 고찰하였다. 조록싸리나무는 발화온도가 가장 낮고 착화시간이 가장 빨랐으며, CO와 $CO_2$의 평균방출농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피나무는 가장 많은 열량을 방출하였으며, 산초나무는 가장 많은 연기를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산불발생 시 조록싸리나무는 다른 수종에 비하여 착화가 가장 용이하고 초피나무는 확산 및 화재강도가 가장 클 것으로 판단되며, 산초나무와 조록싸리나무는 다량의 연기발생에 따라 피난이 어려울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진국 (1996) 공기유입이 화재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방재기술, 한국화재보험협회
  2. 김충익 (1998) 화재의 복사 열전달에 관한 연구. 방재기술, 한국화재보험협회
  3. 김현중, 엄영근, 이전제, 정희석, 최인규 (2004) 목재공학개론. 선진문화사
  4. 산림청 (2007) 임업통계연보. pp. 183-188
  5. 심종섭, 신동소, 이화형, 임기표, 조남석, 조병묵 (1994) 임산화학. 향문사
  6. 이규송 (2004) 동해안 산불피해지에서 산불 후 경과 년수에 따른 식생구조의 발달. 한국생태학회논문집, 한국생태학회, 제27권, 제2호, pp. 99-106 https://doi.org/10.5141/JEFB.2004.27.2.099
  7. 이병근 (2005) 신임산공학개론(I). 영남대학교출판부
  8. 이병두, 이시영, 정주상 (2005) 2005년 강원도 양양상불 행동 특성.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집, 한국화재소방학회, 제19권, 제4호, pp. 1-3
  9. 이복영 (1993) 연기와 연기감지기술에 대한 고찰. 방재기술, 한국화재보험협회
  10. 임경빈 (2007) 신고 조림학원론. 향문사
  11. 홍윤명, 정국삼 (1992) 安全工學實驗. 동화기술
  12. ASTM E 662 (2003) Test method for specific optical density of smoke generated by solid materials
  13. ISO 5660-1 (2002) Reaction to fire part 1, rate of heat release from building products(Cone Calorimeter). Generer
  14. Marcelo M. Hirschler (1990) Fire hazard and toxic potency 0.1 the smoke from burning materials. Advance In Combustion Toxicology, pp. 229-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