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the-Job Experiences of Medical Aid Managers

의료급여관리사의 업무경험

  • Oh, Jin-Joo (Department of Nursing, Dankook University)
  • Received : 2009.04.22
  • Accepted : 2009.05.16
  • Published : 2009.05.31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henomenological study was to understand the job experiences of the medical aid client managers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from twelve medical aid client managers. It was analyzed using the phenomenological method proposed by Colaizzi (1978). Their feedback was categorized into five items such as 'settlement in the unknown place,' 'exhaustion from work,'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people,' 'achievement of professionalism and accomplishment,' and 'vision on the new aspect.' Conclusion: Medical aid client managers played diverse roles and they had a role conflict due to unstable position amid feeling proud with new vision on their ro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systematic development of job training programs and description on the duty are needed. Moreover, appropriate legal basis for the duty of medical aid client managers is to be established. Finally, based on this research, more acknowledgement from the Korean nursing society is needed for the new emerging professional job.

Keywords

References

  1. 건강보험심사평가원(2006). 의료급여 적정화 방안.
  2. 고일선(2007). 의료급여사례관리의 발전방향. 의료급여30주년 기념집. 보건복지가족부.보건복지 인력개발원.
  3. 고일선, 이태화, 이경자 이정렬 최재성 이상규 김정애 이미라(2006). 저소득층의 효율적인 건강관리를 위한 분야별 사례관리사업의 연계체계 구축.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정책연구소 건강증진사업지원단.
  4. 김의숙, 남정자, 고일선, 김미영, 이덕만, 최재성, 김광숙, 신선미, 양일석, 이상호.(2007). 의료급여 장기이용환자의 의료이용 실태 및 개선방안. 보건복지가족부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정책연구소.
  5. 보건복지가족부(2007a). 2007년도 의료급여관리사 배치계획.
  6. 보건복지가족부(2007b). 의료급여 혁신 종합대책
  7. 보건복지인력개발원(2008). 의료급여관리사 직무교육자료.
  8. 보건복지가족부 (2008) 2008년도 의료급여 재정안정화 및 보장성 강화 대책.
  9. 손행미, 고문희, 김춘미, 이명선(2006).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의 실무 경험, 대한간호학회지 36(6), 1012-1022.
  10. 신경림, 조명옥, 양진양 (2004).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1. 신영전, 유원섭(2006). 의료급여 재정효율화 및 중, 장기 제도개선 방안. 한양대학교 예방의학교실.
  12. 신영석(2005).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와 의료급여. 보건복지포럼, 108, 43-54.
  13. 신영석, 신현웅, 황도경(2006). 지방자치단체 의료급여의 효율적인 평가체계개발 및 사업 수행평가. 보건복지가족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4. 신영석, 최병호, 신현웅, 황도경, 윤석준(2005). 의료급여환자 의료지출실태 및 급여개선 방안. 보건복지가족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5. 오진주, 최정명, 유원섭 (2007). 의료급여 사례관리사업의 직무분석 및 효율성 제고 방안. 단국대학교, 건강증진사업지원단
  16. 이명선, 이은옥, 최명애, 김금순, 고문희, 김민정, 김현숙, 손정태, 엄미란, 오상은, 이경숙, 장은희, 조결자, 최정숙 (2000). 중환자실간호의 숙련성 : 질적연구방법론적 접근. 대한간호학회지, 30(5), 1230-1246.
  17. 이익섭, 김재엽, 최재성, 상흥구 (2003). 지역사회중심의 의료급여 관리 강화방안 연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18. 이익섭, 이윤로, 강흥구 (2004). 의료급여 사례관리사업 평가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19. 이원희 (2006).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의료이용과 건강관리를 위한 사례관리사업 발전방안. 한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이인제(2006). 사회보장론. 나남출판사.
  21. 진교훈(2002). 의학적 인간학-의학철학의 기초-.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2. Colaizzi, P.(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In R. Valle & M.King(Eds.),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pp. 48-71).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23. Omery, A. (1983). Phenomenology: A method for nursing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January, 4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