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를 이용한 낙동강-금호강 합류부의 2차원 유한요소해석

The 2D Finite Element Analysis in Nakdong-Kumho River Junction using GIS

  • 황재홍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토목공학부) ;
  • 한건연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토목공학부) ;
  • 남기영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토목공학부) ;
  • 최승용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토목공학부)
  • Hwang, Jae-Hong (School of Archi. & Civil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Han, Kun-Yeun (School of Archi. & Civil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Nam, Ki-Young (School of Archi. & Civil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hoi, Seung-Yong (School of Archi. & Civil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09.06.16
  • 심사 : 2009.08.30
  • 발행 : 2009.09.30

초록

홍수 시 흐름은 기본적으로 2차원 흐름으로서 이 때 하천 흐름의 수위와 유속 분포는 1차원 하천 모형으로 적절한 결과를 도출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GIS를 이용하여 낙동강의 합류점에 대한 2차원 유한요소망을 구축하고 RMA-2모형을 이용하여 모의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모형의 매개변수들이 해석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으며,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금호강 합류부에 대해 흐름해석을 실시하고 검증하였다. 또한 하천의 단면 변화에 따른 흐름변화를 판단하기 위하여 과거 단면과 최근 단면에 대해 모의를 실시하고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합류부에 대한 2차원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고 단변변화의 영향이 수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향후 합류부 처리, 하구부 처리, 제방축조 등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Usually in flood flow problems, one-dimensional approach does not provide the required details of complex flow phenomena such as the flow in braided rivers and river junction. In this study, two-dimensional finite element mesh is constructed using DEM and GIS tool, and applied to RMA-2mod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the two dimensional model in natural rivers and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river flow due to the change of cross section. For model calibration, the result of unsteady flow analysis was compared with the observed data. Accordingly, the SMS model in this study prove to be very effective and reliable tool for the simulation of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under the various flow condi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상호, 김원. 2002. 한강 하류부 흐름해석을 위한 수리학적 모형의 구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5(5):485-500.
  2. 김원. 1999. 고정확도 수치기법을 이용한 하천 천이류 해석모형의 개발. 경북대학교 공학박사학위논문. 139쪽.
  3. 박재홍. 1997. 유한요소법에 의한 오염물의 동수 역학적 확산해석. 경북대학교 공학박사 학위논문. 128쪽.
  4. 한건연, 박재홍, 이을래. 1996b. 개수로내의 점변 및 급변 부정류에 대한 유한요소해석 II: 적용예. 한국수자원학회지 30(1):35-44.
  5. 한건연, 이종태, 김홍태. 1993. 하천에서의 동수역학적 유동해석을 위한 유한요소모형의 개발. 한국수문학회지 26(3):87-101.
  6. 건설교통부. 2004. 하천정비기본계획수립 및 하천 대장작성 지침. 18-20쪽.
  7. 한건연, 이종태. 1996a. 개수로내의 점변 및 급변 부정류에 대한 유한요소해석 I: 이론 및 수치 안정성 해석. 한국수자원학회지 29(6): 155-166.
  8. Adeff, S.E. and S.S.Y. Wang. 1985. Hydrodynamic model for river flow in a microcomputer. Hydraulics and Hydrology in Small Computer Age., ASCE, pp. 1017-1023.
  9. Donnell, B. P. 2000. Users Guide To RMA2 WES Version 4.5 US Army, Engineering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pp.21-25, pp.46-49.
  10. Brigham Young University Engineering Computer Graphics Laboratory. 2000. SMS(Surface Water Modeling System) :Reference Manual.
  11. DeLong, L. L. 1985. Extension of the unsteady one-dimensional open channel flow equations for flow simulation in meandering channel with floodplains. Hydrologic Sciences, USGS, Water-Supply Paper 2220 , pp.101-105.
  12. Gee, D.M. and R.C. MacArthur. 1981. Evaluation and Application of the Generalized Finite Element Hydrodynamics Model, RMA-2, Two-Dimensional Modeling, Hydrologic Engineering Center, pp. 97-113.
  13. Hicks, F.E. and P.M. Steffler. 1992. Characteristic dissipative Galerkin scheme for open channel flow.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ASCE, Vol. 118, No. 2, pp.337-352. https://doi.org/10.1061/(ASCE)0733-9429(1992)118:2(337)
  14. Kawahara, M. and T. Umetsu. 1986. Finite element method for moving boundary problems in river flow. International Journal for for Numerical Methods in Fluids, Vol. 6, pp. 365- 386. https://doi.org/10.1002/fld.1650060605
  15. Keuning, D.H. 1976. Application of finite element method to open channel flow. Journal of Hydraulic Division, ASCE, Vol. 102, No. HY4, pp. 459-468.
  16. King, I.P. and W.R. Norton. 1978. Recent Application of RMA's Finite Element Models for Two-Dimensional Hydrodynamics and Water Quality, Finite Element in Water Resources, Pentech Press, pp. 2.81-2.99.
  17. Malcherek, A. and W. Zielke. 1994. Upwinding and characteristics in FD and FE methods. Computer Modeling of Free-Surface and Pressurized Flow, Kluwer Academic Publishers, pp. 173-204.
  18. Samuels, P. G. 1985. Modeling of river and floodplain flow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Research Report No. SR 61 , pp.1-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