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evels of Reflection and Attainment of School Science Curriculum Demonstrated in the Texts of Exhibition Panels in Science Museums: Case Studies of Earth Science Contents at the Secondary Level

과학관 패널 전시 설명문의 교육과정 반영도 및 도달 수준 - 중등학교 지구과학 내용을 중심으로 -

  • Kim, Tae-Hyeong (Natural Heritage Center, National Research of Istitute Cultural Heritage) ;
  • Lee, Chang-Zi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Ryu, Chun-Ryol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김태형 (국립문화재연구소 천연기념물센터) ;
  • 이창진 (충북대학교 과학교육과) ;
  • 류춘렬 (충북대학교 과학교육과)
  • Received : 2009.08.19
  • Accepted : 2009.10.12
  • Published : 2009.10.30

Abstract

Recently, the connection between science museum and school science curriculum has been emphasized, but the frameworks for evaluating school science curricula are insufficient in terms of how much of school science curriculum was reflected and attained.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a framework that can be utilized to evaluate levels of curriculum that are reflected and attained in the texts of exhibition panels displayed in science museums. We developed an evaluation tool based on the frameworks used to assess students' achievement in the secondary school curriculum, and we used the tool to measure the reflection and attainment levels demonstrated in the texts of exhibition panels about earth science contents of secondary school curriculum in three science museums located in Chungcheong-do, central part of Korea. Findings showed that the levels of reflection and attainment of secondary school curriculum in exhibition panels about earth science contents in science museums were measured 38.7% and 2.82 points out of 5.0respectively. We hope that the evaluation tool used in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to measure the levels of reflection and attainment of second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demonstrated in the text of each of exhibition panels in science museums.

최근 들어 과학관과 학교 교육과정의 연계가 강조되고 있으나 과학관이 학교 교육과정을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는지를 가늠할 수 있는 기준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관의 교육과정 반영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판단할수 있는 기준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과학관 패널 전시 설명문을 평가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등학교 성취기준에 따른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충청도지역의 세 과학관에서 지구과학 패널 전시 설명문의 교육과정 반영도와 교육과정 도달 수준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관 지구과학 패널 전시 설명문의 교육과정 반영도는 38.7%로 측정되었으며, 교육과정 도달 수준은 5.0 만점에서2.82로 평가되었다. 차후 과학관 전시물의 패널 전시 설명문의 수준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대한 교육과정 반영도와 도달 수준의 평가 결과가 활용될수있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미, 2006, 전시공간에서의 정보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3 p
  2. 교육부, 1998, 과학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별책 9). (주)대한교과서, 서울, 101 p
  3. 김정호, 이화진, 채선희, 김진숙, 박태호, 이재승, 황혜정, 윤현진, 조미혜, 양종모, 이경언, 김지현, 1999, 제7차 교육 과정에 따른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 개발 연구: 초등학교 1, 2학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C 99-5, 582 p
  4. 김주훈, 이범홍, 이양락, 2000, 제7차 교육 과정에 따른 성취 기준 및 평가 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CRE 2000-3-5, 166 p
  5. 김주훈, 이범홍, 이양락, 2000,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개발 연구: 중학교 과학 1, 2, 3학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CRE 2000-3-5, 176 p
  6. 김주훈, 김영애, 정구향, 2001, 제7차 교육 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과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 예시 평가 도구의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E 2001-4-6, 310 p
  7. 김찬종, 신명경, 이창진, 차현정, 2006, 자연사 박물관 전시물의 학교 지구과학 교육과정 반영 정도와 전시 방법의 교육적 분석: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7, 130-139
  8. 류재택, 정구향, 강운선, 최승현, 김주훈, 이경언, 임찬빈, 박승렬, 안양옥, 류재만, 전경숙, 2000, 제7차 교육 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학년 성취 기준 및 평가 기준 개발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E 2000-4-1, 630 p
  9. 신동희, 최승언, 송호장, 김동영, 1999, 고등 학교 '지구 과학 I' 과목의 성취 기준 개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0, 313-333
  10. 이양락, 이선경, 홍미영, 홍재식, 이미경, 조난심, 1998, 국가 교육 과정에 근거한 평가 기준 및 도구 개발연구: 고등학교 공통과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E 98-3-7, 221 p
  11. 유지현, 2008, 전시패널의 주목도에 관한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9 p
  12. 이선경, 최지은, 신명경, 김찬종, 임진영, 변호승, 이창진, 2004, 세계 주요 자연사 박물관의 교육 프로그램의 유형 및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 357-374
  13. 이선경, 신명경, 김찬종, 2005, 자연사박물관의 전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한국지구과학회지, 26, 376-387
  14. 이창진, 류춘렬, 신명경, 2007, 과학관 전시의 교육과정 반영에 대한 평가기준 개발 및 적용: 초등학교 지구과학내용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8, 803-810 https://doi.org/10.5467/JKESS.2007.28.7.803
  15. 전승보 역, 1998, 미술관 전시: 이론에서 실천까지. 학고재, 서울, 159 p
  16. 정주혜, 송정남, 이선경, 김찬종, 김희백, 2005, 미국 자연사박물관의 전시물에 반영된 학교 과학교육과정.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 235-247
  17. 최지은, 신명경, 이선경, 임진영, 변호승, 이창진, 김찬종, 2004, 자연사 박물관의 예비관람객의 요구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2, 91-106
  18. 한국행정학회, 2006, 국립과학관 운영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연구. 과학기술부, 정책연구 2006-17, 269 p
  19. Beires, R.J. and McRobbie, C.J., 1992, Learning in interactive science center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s, 22, 38-44 https://doi.org/10.1007/BF02356877
  20. Bitgood, S., 1991, What do we know about school field trips? What research says. ASTC Newsletter, January/ February, 5-8
  21. Feher, E., 1990, Interactive museum exhibits as tools for learning: Explorations with ligh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2, 35-49 https://doi.org/10.1080/0950069900120104
  22. Hawkey, R., 2001, The Science of nature and the nature of science: Nature history museums on-line. Electronic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5, http://unr.edu/homepage/ crowther/ejse/hawkey.html (검색일: 2008. 12. 26)
  23. Hein, G.E., 1995, The constructivist museum. Journal of Education in Museums, 16, 21-23
  24. Hein, G.E., 1998, Learning in the museum. Routledge, NY, USA, 216 p
  25.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of Science, Washington DC, USA, 272 p
  26. Rix, C. and McSorley, J., 1999, An investigation into the role that school-based interactive science centers may play in the education of primary-aged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 577-593 https://doi.org/10.1080/095006999290453
  27. Robitaille, D.F., McKnight, C.C., Schmidt, W.H., Britton, E., Raizen, S., and Nicol, C., 1993, TIMSS monograph no. 1: Curriculum frameworks for mathematics and science. Pacific Educational Press, Vancouver, BC, Canada, 102 p
  28. Stevenson, J., 1991, The long-term impact of interactive exhibi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3, 521-531 https://doi.org/10.1080/095006991013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