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ified by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Caves

동굴내부 특성에 따른 유형 분류

  • 신동원 (건국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
  • 정규환 (건국대학교 지리학과)
  • Published : 2009.03.30

Abstract

Classified by the characteristics of caves, without academic basis, was used by multiple variables of internal characteristics of caves, such as; the length, the type of features, the genesis, and the square. It is used by cluster analysis as an analysis technique. It is classified in 5 different types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d the results say that the diverse classification of visitors' demand is possible.

동굴의 유형 분류를 학술적 근거에 두지 않고 동굴 내부의 다양한 특성 즉, 길이, 지형지물의 종류, 성인, 광장유무를 변수로 이용하였다. 분석 기법으로는 군집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5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관람객의 요구에 따른 다양한 분류가 가능하다는 결과를 말해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철호, 2006, 상가분양가의 군집분석을 이용한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서울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부동산학회, 28, 122-132
  2. 남영우, 2001, 인자분석과 군집분석에 의한 세계도시의 유형화, 한국도시지리학회, 4, 1-12
  3. 오종우, 1994, 고씨동굴의 내부지형에 관한 특성과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 39, 14-33
  4. 이기철, 2009, 군집분석을 통한 전국 자연휴양림유형분류, 한국조경학회, 37, 9-17
  5. 이다운, 2006, 군집분석을 이용한 국지해일모델 지역확장, 한국기상학회, 16, 259-267
  6. 이동률, 2000, 군집분석을 이용한 동질 강수지역 구분, 대한토목학회, 20, 75-78
  7. 홍시환, 1975, 우리나라 동굴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 1, 3-11
  8. 홍시환, 1988, 한국의 자연동굴 총람(상) 4.한국동굴의 유형구분, 한국동굴학회, 17, 34-46
  9. 홍시환, 1990, 한국동굴대관, 삼주출판사
  10. 홍시환, 1993, 환선굴의 지형지물 분포와 가치, 한국동굴학회, 35, 23-31
  11. 홍현철, 1992, 성류굴의 특성과 지물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 30, 22-42
  12. 홍현철, 1995, 화암동굴의 지형지물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 42, 15-26
  13. 홍현철, 2008, 군집분석을 이용한 동굴 유형분류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 84.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