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isolite of Limstone Caverns in Korea

석회암동굴과 위종유동에서 발견된 Pisolite 변종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9.03.30

Abstract

The pisolite of the limstone caverns in korea is one of the varieties of speleology. the main component of the pisolite is calcite, butpisolite often contains quartz and ilite too. the mechanism of encrusting is complicated,but the main process is the accretion which is supposed to take place as fast as 2mmper century.

본 연구는 Limestone cavern산 pisolite와 제주도의 용암동굴(용암수도)을 모체로 한 2차원의 위 종유동에서 생성된 pisolite와 이들의 변종인 Axiolite및 Tabular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Limestone cavern에 있어서는 지속적인 중탄산칼슘 용액의 점적이 이루어지나 Lava tunnel은 shelly sand의 카르사이트 질이 빗물에 용탈되어 현무암의 절리 면을 따라 용암동굴내로 들어간다. 따라서 계절 변화에 따른 점적의 빈도차도 speleothem 생성에 큰 차이가 있을 뿐 만 아니라 pisolite와 그들의 변종인 봉상체 즉axiolite와 판상 체인 tabular의 생성에도 깊이 관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서무송.허일, 1977, '한국의 석회암동굴산 pisolite 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16, 79-82
  2. 서무송, 1977, '한국의 동굴과 이차생성물에 관한 연구', 이민재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374-396
  3. naruhiko, k., 1969, some pisolites from limestone caverns in japan, geological and mineralogical studies of limestone caverns, part 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