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석회암동굴

Search Result 6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Study of Limestone Cave at the Southern Region in Gilimsung, China (중국 길림성 남부지역의 석회암동굴 연구)

  • 임철호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51
    • /
    • pp.35-38
    • /
    • 1997
  • 최근 몇년동안 중국북방의 석회암지역에서는 북경의 석화동굴, 요녕의 사가위자동굴, 길림의 압원동굴 등과 같은 대형동굴들을 육속 발견하였다. 이는 중국북방지역에 큰 석회암동굴이 없다는 전통적인 관점을 타파하였으며 북방석회암지대에서의 동굴에 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시키고 있다.(중략)

  • PDF

월둔굴 지역의 지리환경 연구

  • 홍충렬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5 no.36
    • /
    • pp.43-53
    • /
    • 1993
  • 월둔굴은 그 성인상으로 보아 종유동굴 즉 석회동굴이다. 즉 석회암 지층이 땅 표면에 덮고 있을때, 이 땅 표면에 비가 내리면 그 빗물이 이 석회암층을 용식하면서 땅속으로 스며들어간다. 이때 땅속에 침투한 지하수의 물방울들은 그 모두가 지층인 석회암층을 누비면서 흘러들어온 빗방울 즉, 지하수의 물줄기가 흘러나아간 지하수 통로가 바로 동굴인 것이다. 이때의 동굴은 석회암층에서 형성되었기 때문에 성인상 석회동굴이다.(중략)

  • PDF

A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with Limestone and Limestone - Cave (석회암과 석회동굴의 상관성 연구)

  • 홍시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48
    • /
    • pp.9-16
    • /
    • 1996
  • 석회동굴은 유구한 지구 표면 지층의 역사를 되새겨 주는 석회암 층에서 형성되는 지하동굴이다. 바다 속에서 퇴적되어 형성된 석회암 층이 융기 작용으로 지표면에 상승되어 이른 바 석회암 지표 층을 이루고 있는 곳에서는 빗물에 의한 화학작용으로 땅 표면에서 카르스트 윤회과정의 갖가지 지형지물이 발달되는데, 이 때에 지하에 스며든 지하수의 물리 작용으로 곧 지하수류가 흘러 지나간 공동이 생기게 되고, 나아가서는 낙반 및 확장 등으로 지하동굴이 확장되는데, 2차적인 지하수 침투작용으로 석회질 용해수에 의한 2차 생성물이 형성되어 이른 바 화려한 석회동굴이 이루어진다. 그 석회암의 화학 성분 여하에 따라, 그리고 지하수의 지하 투수량에 따라 석회동굴의 양상은 달리 나타나게 된다.

  • PDF

A Study for Formation Process of Karst Cave (석회동굴의 형성과정 연구)

  • 권동희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52
    • /
    • pp.11-16
    • /
    • 1997
  • 석회동굴은 석회암지역에서 형성된다. 이들 석회동굴은 석회암의 화학성분이 용해되어 지하에 스며들어 석회동굴을 형성한다. 석회암지대의 지표면에는 돌리네, 우발라와 같은 각종 지형이 나타나는데 이들을 카르스트지형이라 부르고 이들이 계속 변질 환산되어가는 과정을 카르스트윤회라고 한다. 카르스트윤회과정에서 지표수가 지하에 스며들어 지하수통로인 지하수동 즉 석회동굴이 형성되는데 이 지하수 통로가 바로 동굴인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동굴의 천정에는 계속적으로 땅속으로 지표면에서 물방울이 스며들게 되는데 이들 석회암의 용해물방울이 땅속지하수동의 천정, 벽면에 침적되어 이른바 동굴의 2차 생성물이 형성되는 것이다.

  • PDF

월둔굴의 자원적 가치연구

  • 홍현철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6 no.27
    • /
    • pp.35-55
    • /
    • 1991
  • 원둔굴은 그 성인상으로 보아 종유굴 즉 석회동굴에 속한다. 즉 석회암지층이 땅 표면에 덮고 있을 때 이 땅 표면에 비간 내리면 그 빗물이 이 석회암층을 용식하면서 땅속으로 스며들어간다. 이때 땅속에 침투한 지하수의 물방울들은 그 모두가 지층인 석회암층을 누비면서 흘러 들어온 빗방울 즉 지하수의 물줄기가 흘러 나아간 지하수통로가 바로 동굴인 것이다. 이때 이동굴은 석회암층에서 형성되었기 때문에 성인상 석회동굴이다.(중략)

  • PDF

China's Cave Resources Distribution and Cave Research (중국의 동굴 자원과 동굴 연구)

  • Jin, Shi-Zhu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95
    • /
    • pp.23-33
    • /
    • 2009
  • This study analyzed the distribution of China's caves and cave resources in Research.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na's melting karst caves are mainly distributed in southwest widely distributed. Recently in Beijing and other northern areas found in many caves. First, China's Karst caves are mainly distributed in karst-flung southwest. Recently in Beijing and other northern areas found in many caves. Second, although China is widespread volcanic landscapes, but most of the extinct volcano, the lava caves less so. Are mainly distributed in Hainan Island, north-east there are some distribution. Third, China's recent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the cave, analysis of the paleo-environment records of cave stalagmites, cave biology, cave tourism development, environmental aspects of cave research more active.

충북의 Karst지형

  • 강승삼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4 no.5
    • /
    • pp.14-26
    • /
    • 1979
  • 최근에 와서 석회암 지형에 대한 조사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석회동굴을 중심으로 하여 관광 학술면에서 그 활동 방향이 진행되고 있으나 이와같은 동굴의 형성도 석회암지형의 발달과 관련하여 그 형성이 규명되어야 하고 동굴의 형성과 지하수면과의 관계 종유동 형성의 시간적 길이, 절리, 단층 등이 동굴형태와의 관계도 종합적인 석회암지형을 연구함으로써 지형학적, 지질학적 제문제가 해결되리라 생각된다.(중략)

  • PDF

여량산호동굴의 환경조사보고

  • 유재신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5 no.16
    • /
    • pp.61-71
    • /
    • 1987
  • 동굴지역은 고생대상부에 속하는 선계의 대석회암통의 말기인 정선석회암층이 널리 분포하고 있다. 이 석회암층은 회백색세일이 개재하고 있는 지질구조로 되고 있다. 이 지층은 지질년대를 편년에 의하여 계산하면 대략 4억∼5 억년에 해당되는 오래된 지층이다.(중략)

  • PDF

우리 나라 동굴의 지질과 환경 보전

  • 정창희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6.09a
    • /
    • pp.64-64
    • /
    • 1996
  • 석회동굴은 카르스트 지형 지역에서 지하 형성물로 나타나는 공동지역으로, 이 공동화된 공간에 2차적으로 석순, 석주, 종유석 등이 침전되어 생긴 동굴이다. 이런 카르스트 지형은 석회암 지층에서 용식작용으로 생겨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북쪽은 평안남도 동반지역과 함경남도의 남부서경지역, 황해도 서남부, 그리고 강원도 남부지역, 추가령 구조곡의 일부들이 해당한다. 그리고 남쪽은 문경 - 단양 - 제천 - 영월 - 평창 - 정선 - 삼척 - 강릉에 걸친 지역들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석회암동굴들은 그 대부분이 조선계 대석회암통의 막동 석회암 층에 분포되고 있다.(중략)

  • PDF

북한의 카르스트지형과 동굴분포와 상관성 연구

  • 홍시환;오종우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6 no.37
    • /
    • pp.13-32
    • /
    • 1994
  • 우리나라에는 반도부 지역에 석회암 지층이 널리 분포되고 있다. 석회암 지층에 동굴이 발달한다. 즉, 북한지역에서는 중앙 서부지구에 남한지역에서는 중앙 동부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석회암 지역의 지표면에서는 이른바 카르스트 지형이 발달하게 되는데 바로 이 카르스트지형의 지층에서 석회동굴이 발달하고 있다. 이제 북한지역의 석회동굴 분포를 이해하기 위하여 북한의 카르스트 지형과 석회동굴분포가 어떻게 관련되고 있는가를 살피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필자가 한국과학기술단체 총연합회의 연구기금으로 연구한 "북한의 지형연구" 중의 일부를 발췌한 논문이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