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lace Marketing Plan of Ondal Cave

온달동굴의 장소마케팅 방안 연구

  • 유영준 (경주대학교 관광대학 관광경영학과)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work is to establish the plans of Gyeongju' identity through the activation of various culture tourism which for literature, narrative, experience and others in company with history tourism. And so first of all we are examined thoroughly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identity and the spot marketing in our country for establishing of this work. And then also we are carried out survey about the cases of Pyeongchang-gun where built around Hyo-seok Lee and Namwon where is too well known the tale of Chunhyang and then make surveyed the actual locale on Gongju and Buyeo in which the old capital of Baekjae. On the other hand the paper work are suggested the plans that Gyeongju' identity has been settled such as the historic culture tourism city of the various culture tourism programs by using of SWOT analysis.

많은 학자들은 현대 사회의 관광 형태를 단순히 '보는 관광'을 지나 '체험관광'의 시대로 변화했다고 주장한다. 이와 같이 기존 관광상품에 체험적 요소를 가미하려는 시도가 동굴관광에도 도입되고 있다. 정선의 화암굴과 같이 하나의 주제에 맞춰 다양한 전시관을 준비함으로써 체험관광자를 유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굴의 에듀테인먼트 관광자원으로서의 특성을 부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동굴의 특성과 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정립한 후 동굴의 역할과 에듀테인먼트 동굴의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구체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공자원.이승곤.한진수(2001). 문화관광거리 대학로의 장소마케팅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25(1): 79-99
  2. 김정훈(2002). 문화관광축제 개최지역의 장소마케팅전략에 관한 연구. 문화관광연구. 4(1):1-23
  3. 김주영(2000). 부산국제영화제와 장소마케팅.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형국 외 12인(2006). 한국의 장소판촉. 서울: 박영사
  5. 김형국(2002). 고장의 문화판촉: 세계화시대에 지방이 살 길. 서울: 학고재
  6. 백선혜(2004). 장소마케팅에서 장소성의 인위적 형성- 한국과 미국 소도시 문화예술축제를사례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신혜란(1998). 태백.부산.광주의 장소마케팅 전략형성과정에 대한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심정원(2000). 평창군 장소마케팅 계획: 이효석과 그의 작품을 소재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유영준(1997). 동굴의 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 '동굴', 49 : 31-44
  10. 유영준(2002). 동굴자원의 체험관광 활성화 방안, '관광연구논총', 14 : 119-138
  11. 유영준(2005). 에듀테인먼트 콘텐츠를 통한 장소마케팅 전략 개발- 경주 문화관광을 사례로하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이광희.김영준(1999). 체험관광상품 개발 활성화 방안, 한국관광연구원
  13. 이무용(2003). 장소마케팅 전략에 관한 문화정치론적 연구- 서울 홍대지역 클럽문화를 사례,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이진희(2001). 장소마케팅전략을 통한 중문관광단지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25(2): 217-236
  15. 자전거뉴스(2002. 9. 15.) 5면. 유영준 교수의 국토기행
  16. 정근식(1998). 지역 활성화와 장소마케팅- 일본 오이타현 유후인의 이미지 전략.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 1(1): 253-280
  17. 홍시환(1978). 동굴의 이용에 관한 연구, '동굴', 2(3) : 17-35
  18. 홍시환(1987). 우리나라의 주요 관광동굴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동굴', 14(15) : 1-16
  19. 홍시환(1990). '한국동굴대관', 서울 : 삼주출판사
  20. 홍후조(2000). 사이버시대 학교 교과의 성격과 전망. 교육과학연구. 31(3): 41
  21. 황지영(2004). 에듀테인먼트 기반 PC 게임의 캐릭터 분석에 관한 연구: 국내 제작 사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Bassett K.(1993). Urban Cultural Strategies and Urban Regeneration : a case study and critique. EPA. 25(12) : 1773-1788 https://doi.org/10.1068/a251773
  23. Kotler P. et al.(1993). Principles of Marketing. Prentice-Hall
  24. Kotler, Philip(1997). Marketing of Places : Attracting Investment, Industry, and Tourism to Cities, States and Nations. John Wiley and Sons(Asia) Pte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