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백선혜(2004). 장소마케팅에서 장소성의 인위적 형성- 한국과 미국 소도시 문화예술축제를사례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 |
신혜란(1998). 태백.부산.광주의 장소마케팅 전략형성과정에 대한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3 |
자전거뉴스(2002. 9. 15.) 5면. 유영준 교수의 국토기행
|
4 |
홍시환(1978). 동굴의 이용에 관한 연구, '동굴', 2(3) : 17-35
과학기술학회마을
ScienceOn
|
5 |
황지영(2004). 에듀테인먼트 기반 PC 게임의 캐릭터 분석에 관한 연구: 국내 제작 사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6 |
공자원.이승곤.한진수(2001). 문화관광거리 대학로의 장소마케팅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25(1): 79-99
|
7 |
이무용(2003). 장소마케팅 전략에 관한 문화정치론적 연구- 서울 홍대지역 클럽문화를 사례,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8 |
Kotler, Philip(1997). Marketing of Places : Attracting Investment, Industry, and Tourism to Cities, States and Nations. John Wiley and Sons(Asia) Pte Ltd
|
9 |
홍후조(2000). 사이버시대 학교 교과의 성격과 전망. 교육과학연구. 31(3): 41
|
10 |
이진희(2001). 장소마케팅전략을 통한 중문관광단지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25(2): 217-236
|
11 |
Kotler P. et al.(1993). Principles of Marketing. Prentice-Hall
|
12 |
심정원(2000). 평창군 장소마케팅 계획: 이효석과 그의 작품을 소재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3 |
유영준(2005). 에듀테인먼트 콘텐츠를 통한 장소마케팅 전략 개발- 경주 문화관광을 사례로하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14 |
김정훈(2002). 문화관광축제 개최지역의 장소마케팅전략에 관한 연구. 문화관광연구. 4(1):1-23
|
15 |
정근식(1998). 지역 활성화와 장소마케팅- 일본 오이타현 유후인의 이미지 전략.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 1(1): 253-280
|
16 |
홍시환(1990). '한국동굴대관', 서울 : 삼주출판사
|
17 |
Bassett K.(1993). Urban Cultural Strategies and Urban Regeneration : a case study and critique. EPA. 25(12) : 1773-1788
DOI
ScienceOn
|
18 |
김형국 외 12인(2006). 한국의 장소판촉. 서울: 박영사
|
19 |
유영준(1997). 동굴의 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 '동굴', 49 : 31-44
과학기술학회마을
ScienceOn
|
20 |
이광희.김영준(1999). 체험관광상품 개발 활성화 방안, 한국관광연구원
|
21 |
홍시환(1987). 우리나라의 주요 관광동굴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동굴', 14(15) : 1-16
|
22 |
김형국(2002). 고장의 문화판촉: 세계화시대에 지방이 살 길. 서울: 학고재
|
23 |
김주영(2000). 부산국제영화제와 장소마케팅.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4 |
유영준(2002). 동굴자원의 체험관광 활성화 방안, '관광연구논총', 14 : 119-1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