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점검지자료 기반 신호교차로 운전자 안전서비스 개발

Development of a Driver Safety Information Service Model Using Point Detectors at Signalized Intersections

  • 투고 : 2008.09.16
  • 심사 : 2009.07.30
  • 발행 : 2009.10.31

초록

본 연구는 신호교차로에 접근하는 운전자에게 실시간 안전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와 방법을 다루고 있다. 특히 신호기가 녹색-황색-적색으로 변동되는 구간에 운전자가 고의적으로 신호위반을 하거나 혹은 교통공학적 딜레마구간에 차량이 있을 때의 상황을 고려하였다. 연구에서는 신호교차로의 진입로에 다수개의 지점검지기가 설치되어 차량의 속도, 존재시각 및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지될 경우, 신호현시의 변화에 따라 상기 차량이 위험차량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모델을 평가하기 위해 미시적 시뮬레이션인 VISSIM에 지점검지기를 다수개 설치하여 유입교통량의 변화, 설계속도의 변화, 운전자 인지반응시간을 변화하여 수행하였다. 모형의 검증결과 모형의 예측값과 실제 시뮬레이션에서의 주행결과가 동일한 정분류율은 약 98.5%를 보이고 있고 실제 위험차량 중에 약 88.5% 가량을 예측하는 예측률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유입교통량의 변화, 설계속도의 변화와 운전자 인지반응시간의 변화에 따른 민감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서비스는 신호교차로의 안전을 위한 신규서비스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paper suggests a new approach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driver safety at signalized intersections. Particularly dangerous situations at signalized intersections such as red-light violations, accelerating through yellow intervals, red-light running, and stopping abruptly due to the dilemma zone problem are considered in this study. This paper presents the development of a dangerous vehicle determination algorithm by collecting real-time vehicle speeds and times from multiple point detectors when the vehicles are traveling during phase-change. For an evaluation of this algorithm, VISSIM is used to perform a real-time multiple detection situation by changing the input data such as various inflow-volume, design speed change, driver perception, and response time. As a result the correct-classification rate is approximately 98.5% and the prediction rate of the algorithm is approximately 88.5%. This paper shows the sensitivity results by changing the input data. This result showed that the new approach can be used to improve safety for signalized intersec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경찰청(2008), '교통사고통계', 승인번호 제13202호
  2. 교통개발연구원(2000), '신호교차로 내 딜레마구간 차내경고 시스템개발', 2000년도 지능형교통시스템 연구개발사업 최종보고서, 건설교통부
  3. 도철웅(1998), '교통공학원론(상)', 청문각
  4. 박주남(2002), '신호교차로 황색현시에서의 운전자 행태 및 딜레마구간 연구', 아주대학교 공학석사학위논문
  5. 오철.조정일.김준형.오주택(2007), '영상기반 실시간 후미추돌 위험도 분석기법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25권 제5호, 대한교통학회, pp.173-182
  6. 장영규(2000), '딜레마구간 제거를 위한 검지기 설계 방안 및 신호제어 전략 개발', 아주대학교석사학위논문
  7. 장정아, 장병태, 박종현(2007), 'USN기반 교통수집 기술에 관한 연구', 한국 ITS학회 제6회 추계학술대회
  8. 장정아, 장병태(2008), '자동차 안전을 위한 USN 차량무선검지센서 및 서비스 기술 개발', 오토저널 6월호, 자동차공학회
  9. Bonneson, J., and Zimmerman, K. (2006). 'Inservice evaluation of detection-control system for isolated high-speed signalized intersections.' Proc.,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85th Annual Meeting,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 FHWA(2006), 'Traffic Detector Handbook third edition Volume I', Publication No. FHWAHRT-06-108
  11. McCoy, P., and Pesti, G.(2003), 'Improving dilemma zone protection of advance detection with advance warning flashers.' Transportation Research Research Record. 1844,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pp.11-17 https://doi.org/10.3141/1844-02
  12. Azhar Al-Mudhaffa(2006), 'Impacts of traffic signal control strategies', Doctoral Thesis in Traffic and Transport Planning, Infrastructure and Planning, Royal Institute of Technology
  13. Steven L. Jones Jr. and Virginia P. Sisiopiku (2007), 'Safety treatments at Isolated High-Speed Signaized intersections: Synthesis',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ASCE, pp.523-528
  14. Sunkari, S., Messer, C., and Charara, H. (2005) 'Performance of advance warning for end of green system for high-speed signalized intersection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925,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pp.176-184 https://doi.org/10.3141/1925-18
  15. Panagiotis Papaioannou(2007), 'Driver behaviour, dilemma zone and safety effects at urban signalised intersections in Greece',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9, pp.147-158 https://doi.org/10.1016/j.aap.2006.06.014
  16. PTV(2006), 'VISSIM 4.2 Manaual', PTV Planung Transport Verkehr AG
  17. Zimmerman, K., Bonneson, J., Middleton, D., and Abbas, M. (2003). 'Improved detection and control system for isolated high-speed intersection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856,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pp.212-219 https://doi.org/10.3141/185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