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험차량

Search Result 568,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Study on Risk Criteria of Vehicles Driven on Highway under Strong Wind Condition (강풍 발생시 고속도로 주행차량의 위험도 판단기준에 관한 연구)

  • Kim, Hyun-Gi;Kim, Kyung-Hun;Ma, Seok-Oh;Lee, Soon-He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821-824
    • /
    • 2009
  • 고속도로를 주행 중인 차량에 강풍이 작용할 경우 차량의 주행안정성 저하와 운전자의 상황에 따른 치명적인 교통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최근에 건설되거나 추진 중인 고속도로는 교량과 터널의 연속적인 조합으로 강풍발생위험에 노출되어 있어 적극적인 강풍저감 대책이 필요하다. 효과적인 방풍 시설 설치나 사전예고 시스템의 도입을 위해서는 차량의 동역학적 거동 분석, 주행 중인 차량의 위험도 판단기준 연구, 강풍위험지역의 정확한 풍속 추정기법 연구, 지능화된 방풍벽 개발, 방풍시설 설치판단 기준 제시, 합리적인 차량 속도 규제정책 등의 연구 개발이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강풍 발생 구간을 주행하는 차량의 동역학적 거동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존에 제안된 위험도 판단기준의 합리성을 제고하였으며, 운전자의 상황을 고려한 현실적인 차량주행위험도 판단기준 제시를 목표로 하였다.

  • PDF

Approaching Vehicles Alert System Based on the 360 Degree Camera (360 도 카메라를 활용한 보행 시 차량 접근 알림 시스템)

  • Yoon, Soyeon;Kim, Eun-ji;Lee, Wo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05a
    • /
    • pp.556-559
    • /
    • 2021
  • 해당 연구는 Insta evo 360° 카메라로 촬영한 Equirectangular 형태의 영상을 활용하여 보행자에게 위험한 차량을 구분한 후 실시간적으로 차량 접근 알림을 주는 시스템에 관한 연구이다. 360° 영상 속 위험 차량 탐지와 추적을 위해 파노라마와 일반도로 이미지 데이터 세트로 전이학습 된 You Look Only Once v5 (YOLOv5), 객체 추적 알고리즘 Simple Online and Realtime Tracking with a Deep Association Metric (DeepSORT), 그리고 실험을 통해 개발한 비 위험 차량 필터링 알고리즘을 활용한다. Insta evo 360° 카메라를 머리 위에 얹어 촬영한 영상을 개발한 최종 시스템에 적용한 결과, 약 90% 정확도로 영상에서 비 위험 차량과 위험 차량을 구분할 수 있고, 위험 차량의 경우 차량의 방향을 시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보행자 시야각 외부의 위험 차량에 대한 경고 알림을 주어 보행자 교통사고 발생 가능성을 줄이고, 전방위를 볼 수 있는 360° 카메라의 활용 분야가 보행 안전 시스템뿐만 아니라 더 다양해질 것으로 기대한다.

The Development of Optimal Path Model for Transport of Hazardous Materials (위험물 소송을 위한 최적경로모형 개발)

  • 조용성;오세창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508-508
    • /
    • 1998
  • 위험물 차량사고는 일반차량의 교통사고시 발생하는 인명피해, 재산피해, 교통지체 외에 부가적으로 환경적 영향에 의한 엄청난 인명 및 재산손실을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물차량사고를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로 줄이기 위해서는 위험물수송경로의 신중하고 체계적인 결정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외국의 경우, 위험물의 방출이 미치는 환경적 영향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면서 위험물 수송시 응급처리에 관한 연구, 위험물 수송에 따른 위험도 평가에 관한 연구, 위험물 수송시 고려해야할 여러 조건에 관한 연구, 위험물 수송경로 설정에 관한 연구 등이 진행되고 있다. 반면에 우리 나라는 위험물차량관리와 사고처리에 대해 실시간적인 관리를 목표로 하는 국가차원의 계획을 수립하고는 있지만, 현재 이와 관련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앞으로 산업발달에 따른 위험물수송량의 증가와 환경의식의 변화에 따라 위험물수송 및 사고처리 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험물차량의 운송경로를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여러 가지의 기준 및 목표에 따라 위험물수송경로를 설정하는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위험물수송에 수반되는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위험물차량의 통행시간, 거리, 비용 등을 최적화하여 위험물수송의 안전 및 운영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먼저, 위험물 수송경로의 기준지표로 사용될 위험도를 산정하기 위해 링크 주변노출인구, 밀도 등을 변수로 하는 모형식을 제안하고, 두 번째로 산정된 위험도를 기반으로 최적경로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상 네트웍에 본 연구에서 제안된 모형을 적용하고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최단경로와 비교·분석하였다.것은 운송거리와 운송비용이 각각 주요한 변수라는 것이다.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logilikelihood 값을 구하여 $\rho$^2분석을 시행하였다. 여기서는 각 품목별로 $\rho$^2값이 약 0.15~0.3의 비교적 높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으므로 모형의 설명력이 어느 정도 있다는 것이 아울러 증명이 되었다.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에서는 영업용 차량간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곧 영업용 화물차량을 적재중량별로 구분하는 것이 별 의미가 없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자가용 차량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회사는 다른 운송전문업체에 화물운송을 의뢰하게 되므로 출하중량에 따라 화물차량을 구분하는 것에 대해서 그다지 큰 고려를 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가 있다.적합함을 재확인함. 6. 혼잡초기를 제외한 혼잡기간 중 대기행렬길이는 밀도데이터 없이도 혼잡 상류부의 도착교통량과 병목지점 본선통과교통량만을 이용하여 추정이 가능함. 7. 이상에 연구한 결과를 토대로, 고속도로 대기행렬길이를 산정할 수 있는 기초적인 도형을 제시함.벌레를 대상으로 처리한 Phenthoate EC가 96.38%의 방제가로 약효가 가장 우수하였고 3월중순 및 4월중순 월동후 암컷을 대상으로 처리한 Machine oil, Phenthoate EC 및 Trichlorfon WP는 비교적 약효가 낮았다.>$^{\circ}$E/$\leq$30$^{\circ}$NW 단열군이 연구지역 내에서 지하수 유동성이 가장 높은 단열군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사실은 3개 시추공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추공 내 물리검층과 정압

  • PDF

Estimation of Risk and Optimal Route to Transport Hazardous Materials -Application to Metropolitan Area- (위험물 수송을 위한 위험도 및 최적경로산정 -수도권 사례를 중심으로-)

  • 조용성;오세창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7 no.1
    • /
    • pp.75-89
    • /
    • 1999
  • 위험물차량사고는 일반차량의 교통사고시 발생하는 인명피해, 재산피해, 교통지체 외에 부가적으로 환경적 영향에 의한 엄청난 인명 및 재산손실을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물차량사고를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로 줄이기 위해서는 위험물수송경로의 신중하고 체계적인 결정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험물차량의 수송경로를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여러 가지의 기준 및 목표에 따라 위험물수송경로를 설정하는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위험물수송에 수반되는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위험물차량의 통행시간, 거리, 비용 등을 최적화하여 위험물수송의 안전 및 운영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먼저, 위험물 수송경로의 기준지표로 사용될 위험도를 나타내기 위해 사고율과 피해가능규모를 구하도록 사 고건수, 링크 주변노출인구, 링크상의 노출인구, 밀도 등을 변수로 하는 모형식을 제안하고, 두 번째로 위험물 수송을 위한 최적경로를 산출하기 위해 위험도와 통행시간을 목적함수로 하는 다목적계획모형을 제안하였고 기존의 최적경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최적경로를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제 수도권지역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형을 적용하고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최단경로와 비교.분석하였다. 모형적용결과, 링크주변인구만을 고려하는 기존 모형에 비해 링크상의 인구를 함께 고려함으로써 좀더 실제적으로 교통상황을 충분히 반영한 피해규모를 산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위험도와 통행시간에 0.5의 비중을 주는 다목적모형이 기존의 위험도모형에 비해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최소 4%, 최대 12%의 통행시간 개선의 효과가 있음을 나타냈다.

  • PDF

Risk Analysis of Travelling Vehicles by Cross Wind (횡풍에 의한 주행 차량 위험도 해석)

  • Lee, Il-Keun;Jo, Byung-Wan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3 no.3
    • /
    • pp.139-146
    • /
    • 2011
  • Travelling vehicles on roads may slip or overturn due to strong cross wind. This paper presents the path deviation equation and the overturning equation of vehicle, and the process of evaluating the cross wind risk. Case studies for cars and trucks are carried out. It explains the mechanism why the deviation occurs according to the types of vehicles. It shall help to prepare the measures for reducing the risk of travelling vehicles in high wind speeds.

Study of Risky Driving Decision Device using DGPS/RTK (DGPS/RTK를 이용한 위험운전 판단장치 성능검증에 관한 연구)

  • Oh, JuTaek;Lee, SangY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3D
    • /
    • pp.303-311
    • /
    • 2010
  • There have been various forms of systems such as a digital speedometer or a black box etc. to meet the social requirement for reducing traffic accidents and safe driving. However that systems are based on after-accident vehicle data, there is limit to prevent the accident before. So in our previous research, by storing, analyzing the Vehicle-dynamic information coming from driver's behavior, we are developing the decision-device which could provide driver with Alerting-Information in real-time to enhance the driver's safety drive. but the performance valuation is not yet executed. Finally, this study developed positional recognition system by using the DGPS for pre-developed risky driving decision device. The result of test analyzed with the same that the aggregated vehicle dynamics data in DGPS and dangerous risky driving decision device. If the performance of risky driving decision device is verified by precisely positional recognition system, the risky driving management of vehicle would be effected.

Development of a Critical Value According to Commercial use Vehicle(BUS) (사업용 차량(버스)의 위험운전 임계값 개발)

  • Oh, Ju-Taek;Lee, Sang-Yong;Kim, Young-Sam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1 no.3
    • /
    • pp.85-95
    • /
    • 2009
  • According to the accident statistics published by the National Police Agency in 2007, the number of commercial vehicle accidents explains 3.5 percent of the total number of traffic accidents of the year. Compared to other types of vehicles commercial vehicles may provide more serious damages to both driver himself and passengers. Thus, they generate more serious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There have been various forms of systems such as a digital speedometer or a black box to meet the social requirement for reducing traffic accidents and improving safe driving. However, since the current systems are based on the data often accidents happened, there are lots of limitations to control drivers in real-time. Also, the current speedometers provide drivers with only speeds of vehicles and RPM information regardless of actual dangerous drive behaviors. Therefor, they lack of the effectiveness in terms of safety. In this research, real-time information systems for improving driver safety based on automatic risky driving behaviors, and thresholds to determine risky driving patterns were studied.

  • PDF

Recognition of Dangerous Driving Using Automobile Black Boxes (차량용 블랙박스를 활용한 위험 운전 인지)

  • Han, In-Hwan;Yang, Gyeong-S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5 no.5
    • /
    • pp.149-160
    • /
    • 2007
  • Automobile black boxes store and provide accident and driving information. The accident and driving information can be utilized to build scientific traffic-event database and can be applied in various industri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ecognition system of dangerous driving through analyzing the driving characteristic patterns. In this paper, possible dangerous driving models are classified into four models on the basis of vehicle behaviors(acceleration, deceleration, rotation) and accident types from existing statistical data. Dangerous driving data have been acquired through vehicle tests using automobile black boxes. Characteristics of driving patterns have been analyzed in order to classify dangerous driving models. For the recognition of dangerous driving, this study selected critical value of each dangerous driving model and developed the recognition algorithm of dangerous driving. The study has been verified by the application of recognition algorithm of dangerous driving and vehicle tests using automobile black boxes. The presented recognition methods of dangerous driving can be used for on-line/off-line management of drivers and vehicles.

Random Backoff Scheme of Emergency Warning Message for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s (차량 간 통신에서 충돌을 완화하기 위한 랜덤 백오프 방안)

  • Byun, Jae-Uk;Kwon, Sung-Oh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7 no.3B
    • /
    • pp.165-173
    • /
    • 2012
  • In this paper, we propose a random backoff scheme for Emergency Warning Messages (EWMs) in the vehicle-to-vehicle environment. The EWMs are disseminated from a vehicle that detects an emergency situation to other vehicles in a multi-hop fashion. Since the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based on IEEE 802.11 adapts CSMA/CA, the density of vehicles increase the probability of collisions between transmissions. Moreover, in the presence of background traffic, the EWM should have a higher priority than that of other messages in neighboring vehicles. To that end, we propose the Distant-Dependent Adaptive Backoff (DDAB) scheme, which set a different contention window for random backoff depending on the distance from the sender to the receiver. In the case when a vehicle is expected to located in the outskirts of the communication boundary, the proposed scheme makes the contention window size small in order to compete the background traffic transmission. Otherwise the contention window is set to a large number to reduce the collision possibility among the EWM transmissions. Via simulations, we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performs better than the previous schemes for EWM.

A Study on the Suitability Analysis of Tunnel Access Control for Hazardous Materials Transport Vehicles on the Expressway (위험물질 수송차량의 고속도로 터널통행규제 분석 연구)

  • Hong, Jung Yeol;Choi, Yoon Hyuk;Park, Dong J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7 no.3
    • /
    • pp.18-31
    • /
    • 2018
  • Since accidents of hazardous material transport vehicle on roadways cause severe damage in the form of disaster, foreign countries have long been engaged in systematic management and establishment of relevant laws and policies for the road safety. Recently, over 10-kilometer long tunnel, such as Inje-Yangyang Tunnel and Geumjeongsan Tunnel, has been opened on the expressway and the production of various hazardous materials is increasing with the development of chemical technology. However, road laws related to the safe operation of hazardous materials transport vehicles are still lacking, and policy measures for managing them have not been specified. It is an important task to recognize the risk of accidents of hazardous material transport vehicles and to secure road safety by establishing a management plan for road manager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feasibility of the traffic regulation of expressway tunnel in South Korea and suggested a direction for manag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the primary data for the revision of law related to hazardous materials transport vehicles on roadways and the derivation of optimal route of hazardous materials transport veh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