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ritical Management Factors of Fluid-Applied Membrane Waterproofing Work for building basements

지하층 도막방수공사의 중점관리요인

  • 권해림 (광운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 ;
  • 유정호 (광운대학교 건축공학과)
  • Received : 2009.08.10
  • Accepted : 2009.09.25
  • Published : 2009.12.20

Abstract

One role of waterproofing work is to block external moisture and water. Defects in waterproofing work in building construction brings on huge repair costs for related construction work as well as for the waterproofing layer itself. However, we don't have a quantitative probabilistic management method for waterproofing work to successfully anticipate and prevent defects. From an analysis of the literature and prior research, defects in the waterproofing work in the underground parts of buildings occur frequently. We selected Fluid-Applied Membrane waterproofing work as representing waterproofing work in the underground parts of a building, and researched the general types and causes of defects.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Relative-FMEA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approach that merges the Matrix method and FMEA. From a survey of experts, we deduced the most important management factors for Fluid-Applied Membrane waterproofing work for the underground parts of buildings.

건축공사 중 인간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는 습기와 물에 대한 피해로부터 주거 생활을 보호하는 성능을 가진 것이 방수공사이다. 건축 방수공사의 하자로 인한 보수비는 방수층 자체의 보수비용뿐만 아니라 연계공종의 피해로 인한 연계공종의 보수비용 또한 추가되어, 방수공사의 전체적인 보수비용은 더욱 높아진다. 하지만, 방수공사의 하자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정량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방안이 부족한 실정이다. 기존 문헌 고찰과 사례 분석 결과, 지하층 방수공사 하자가 빈번하게 나타났으며, 여러 공법 중 도막방수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하층 도막방수공사에 대한 하자 사례분석을 하였으며,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FMEA(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기법을 변형한 R-FMEA 방법을 고안하였다. R-FMEA 쉬트에 대한 전문가 설문을 통하여 지하층 도막방수공사 하자 유형 중 가장 위험성이 큰 방수공사 하자 유형을 도출하여, 중요하게 관리되어야 하는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창희,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방수하자 현황 및 사례분석,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1권 제2호, pp.503-506, 2001
  2. 김윤성, 건설업에서의 시공 FMEA적용 방안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3회, pp.271-274, 2002
  3. 김종필, 방수하자 원인 및 대책, 쌍용건설 건설기술지, 제25권, pp. 72-77, 쌍용건설 기술연구소, 2002
  4. 대한건축학회, 건축기술지침, 공간예술사, pp.17-77, 2006
  5. 박찬종 외., 중점 안전관리 항목도출을 위한 FMEA활용 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502-506, 2006
  6. 서민우, 건축공사 하자사례/공동주택 최상층 세대누수하자, 쌍용건설건설기술지, 제39권, pp.74-77, 쌍용건설 기술연구소, 2006
  7. 서울대학교 건축부, 방수공사의 문제점 및 대책, pp.50-61, 1993
  8. 신형존, 옥상 방수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의 하자발생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6권 제3호, pp.128-134, 2005
  9. 안광욱외., 공사현장의 품질관리를 위한 방수공사의 하자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1권 제2호, pp.123-130, 2005.2
  10. 오상근 외., 지하콘크리트 구조물의 적정 방수공법 선정을 위한 평가시스템 제안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제7권 제1호, pp.99-106, 2007 https://doi.org/10.5345/JKIC.2007.7.1.099
  11. 장성주, 방수공사의 하자원인 및 대책, 대한전문건설협회/미장방수 공사업협의회 방수공사기술세미나교재, pp.58-141, 1994
  12. 홍영탁 외., FMEA를 이용한 초고층 건축시공의 공기영향요인 평가,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제20권 제10호, pp.183-192, 2004
  13. 황준, 건축물 방수결함과 대책, 시공문화사, 1996
  14. D.H.Stamatis,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ASQC Quality Press, pp.25-72, 1997
  15. Thomas Pyzdek, The Six Sigma Handbook, McGraw-Hill, 2003

Cited by

  1. Performance Evaluation of Cement Mixed Polymer Type Waterproofing Material vol.12, pp.1, 2012, https://doi.org/10.5345/JKIBC.2012.12.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