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45/JKIC.2009.9.6.091

Critical Management Factors of Fluid-Applied Membrane Waterproofing Work for building basements  

Kwon, Hae-Rim (광운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
Yu, Jung-Ho (광운대학교 건축공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v.9, no.6, 2009 , pp. 91-9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ne role of waterproofing work is to block external moisture and water. Defects in waterproofing work in building construction brings on huge repair costs for related construction work as well as for the waterproofing layer itself. However, we don't have a quantitative probabilistic management method for waterproofing work to successfully anticipate and prevent defects. From an analysis of the literature and prior research, defects in the waterproofing work in the underground parts of buildings occur frequently. We selected Fluid-Applied Membrane waterproofing work as representing waterproofing work in the underground parts of a building, and researched the general types and causes of defects.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Relative-FMEA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approach that merges the Matrix method and FMEA. From a survey of experts, we deduced the most important management factors for Fluid-Applied Membrane waterproofing work for the underground parts of buildings.
Keywords
Waterproofing Work; Fluid-Applied Membrane Waterproofing work; Defect; R-FMEA;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종필, 방수하자 원인 및 대책, 쌍용건설 건설기술지, 제25권, pp. 72-77, 쌍용건설 기술연구소, 2002
2 안광욱외., 공사현장의 품질관리를 위한 방수공사의 하자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1권 제2호, pp.123-130, 2005.2   ScienceOn
3 서민우, 건축공사 하자사례/공동주택 최상층 세대누수하자, 쌍용건설건설기술지, 제39권, pp.74-77, 쌍용건설 기술연구소, 2006
4 강창희,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방수하자 현황 및 사례분석,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1권 제2호, pp.503-506, 2001
5 장성주, 방수공사의 하자원인 및 대책, 대한전문건설협회/미장방수 공사업협의회 방수공사기술세미나교재, pp.58-141, 1994
6 D.H.Stamatis,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ASQC Quality Press, pp.25-72, 1997
7 Thomas Pyzdek, The Six Sigma Handbook, McGraw-Hill, 2003
8 대한건축학회, 건축기술지침, 공간예술사, pp.17-77, 2006
9 오상근 외., 지하콘크리트 구조물의 적정 방수공법 선정을 위한 평가시스템 제안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제7권 제1호, pp.99-106, 2007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10 신형존, 옥상 방수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의 하자발생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6권 제3호, pp.128-134, 2005   과학기술학회마을
11 황준, 건축물 방수결함과 대책, 시공문화사, 1996
12 서울대학교 건축부, 방수공사의 문제점 및 대책, pp.50-61, 1993
13 박찬종 외., 중점 안전관리 항목도출을 위한 FMEA활용 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502-506, 2006   과학기술학회마을
14 홍영탁 외., FMEA를 이용한 초고층 건축시공의 공기영향요인 평가,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제20권 제10호, pp.183-192, 2004
15 김윤성, 건설업에서의 시공 FMEA적용 방안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3회, pp.271-274, 2002   과학기술학회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