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조경공사 설계변경의 유형분류와 특성분석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Apartment Landscape Work

  • 발행 : 2009.04.30

초록

조경공사 중 설계변경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기술적 검토사안들을 토대로 설계변경의 유형분류체계를 제시하고 유형별 발생빈도와 규모, 유형간 상관성, 현장별 차이분석을 통하여 아파트단지 조경공사 설계변경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대한주택공사 충청권지역에서 2004년부터 2006년 상반기까지의 설계변경 건을 대상으로 설계변경 시 목적 및 사유로서 언급한 사안을 중심으로 유형을 구분한 결과, 단지이미지, 경관요소, 이용자 고려, 하자방지, 시공성, 현장여건, 공종간 불일치, 상위기준, 민원방지, 설계내역, 기타의 11개 유형과 47개 세부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설계변경심사승인 횟수와 시기, 유형별 발생빈도와 변경규모 증감액, 상관관계를 조사 분석한 결과, 첫째, 단지이미지형 설계변경이 발생빈도 22%, 증감액 54.9%를 차지하는 주된 설계변경이었고, 둘째, 유형간 상관성 분석에서 단지이미지형 설계변경의 증가액이 커질수록 사유가 불명확한 기타 설계변경의 감소액이 커지는 반비례관계가 성립되는 등 공사비 증가를 상쇄하는 절감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셋째, 설계변경심사승인 건수와 최초심사승인일은 각각 2건 이내와 준공 전 90일 이내가 $52{\sim}53%$를 차지하여 설계변경 절차가 적기에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제도인 설계변경심사승인 자체가 사후 일괄적으로 처리되고 있었는데, 이는 공사비가 감소한 유형수와 비교결과 공사비 절감노력 즉, 예산문제에서 기인하고 있었다.

In the wake of categorizing the design changes occurred during the period from 2004 till the first half of 2006 in Choongcheong province area, based on purpose and reason of design changes identified by the Korea National Housing Corp, it included 11 types such as the image of the apartment complex, scenic elements, consideration by the user, prevention of the defect, constructability, site conditions, incompatibility between the activities, superordinate standard, prevention of civic complaints, design details and others, along with 47 subordinate elements. And the evaluation intended to identify the corelation between the number and time of design change approval, frequency and scale of design change by type and the cost variations indicated that; firstly, enhancing the image of the apartment complex proved to be the main reason for design changes, accounting for 22% in terms of frequency and 54.9% in terms of cost variation. Secondly, the higher the increase in cost by design change aimed at improving the image of the complex, the lower the decrease in cost by design change for uncertain reasons, dubbed the inverse proportional relations, indicating that the design changes for uncertain reasons were mostly aimed at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Thirdly, with regard to the number of design change approval and the time of the initial approval, twice or less and 90 days or less before completion of the construction work, respectively, accounted for $52{\sim}53%$, indicating the design change deliberation and approval tended to have been carried out collectively in the form of ex post facto approval, which seemed to be attributable to the attempt of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or budget problem, as a result of comparing with the cases in which the cost was reduced.

키워드

참고문헌

  1. 경희대학교 산업관계연구소(2003) 건설분야 부패방지를 위한 건설공사 설계변경제도 개선방안. 부패방지위원회 의뢰 연구용역보고서
  2. 김병수, 김경주(2004) 턴키공사 설계오류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D 24(2): 275-283
  3. 김종하(2002) 조경식재공사 설계변경 유형과 특징. 경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남경우, 서용칠, 현창택, 구교진(2006) XML적용 철골공사 설계변경프로세스 개선. 건설관리 7(1): 64-72
  5. 류주엽(1999) 설계변경용 Workflow Management System의 Build-Time 모듈 설계.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상규(2004) 조경공사의 설계변경 사례조사 및 원인분석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희찬(1997) 플랜트산업의 효율적 설계변경을 위한 시스템모형에 관한연구. 창원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석성재, 이철우, 김재근, 홍순구, 유춘번(2000) 설계변경의 경향 및 원인분석을 통한 설계 품질향상 방안. 품질혁신 1(1): 108-123
  9. 소승영(2002) 국내건설공사의 설계변경제도 개선방안. 한양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승헌(2000) 설계변경 분석을 통한 설계품질 평가모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용훈(2000) 조경공사의 설계와 시공일치를 위한 최적모형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이재섭(2006) 설계단계의 내실화가 공사기간 및 공사비에 미치는 영향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22(5): 219-226
  13. 이창수(1998) 설계변경 승인을 위한 Workflow Management System 설계.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하태환(2002) 사례분석을 통한 국내 건설공사의 설계변경 관리방안.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http://www.digitalbrain.go.kr/(기획재정부 디지털회계예산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