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patial Model using Participant Observation - Focused on Community Facilities in Rural Villages-

참여관찰법을 이용한 공간 모델 기초연구 -농촌마을 커뮤니티시설을 중심으로-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Community facilities in most rural villages have many problems in the aspect of their size or functions as well as they are generally too superannuated to support diverse community activities; which results in a low degree of inhabitants' satisfaction with community facilities, and inconvenience for using them. Therefore, it may carefully be said that it's time to need the established studies that are necessary with consider to community facilities which can reflect inhabitants' diverse activities. In this study, 5 places which the most common events among the major monthly events of total 25 rural villages were held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place for survey; and then investigated, by means of the participant observation method, the using behavior of inhabitants who used community facilities. Focusing on size, factors, and layout that were being faced by community facilities in most rural villag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umber of users,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line and behavior, and the using behavior by group; through considering their correlation with the physical setting of community space, it deduced the problems of use; and it propose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n the basis thereof. Therefore, this study will serve in the future as useful basic materials for designing a rural village's community facilities in consideration of size, factors and layout which can appropriately support inhabitants' community activities.

Keywords

References

  1. 김봉원, 김유일, 김창배, 2001, 경기도 농촌 마을쉽터의 이용실태와 이용만족 평가, 한국정원학회지 19(36), 59-69
  2. 김성호, 2007, 참여관찰에 의한 문화 공원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마로니에공원을 사례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 박경옥, 조현주, 이상운, 2004 농촌지 역 폐교의 노인복지시설 및 주민 커뮤니티센터 활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1), 49-58
  4. 박경옥, 조현주, 이상운, 2006, 주민 커뮤니티센터활용을 위한 농촌지역 폐교 리모델링 계획,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2(4): 13-22
  5. 박창석, 1999, 농촌정주공간의 이용특성과 개선필요도 평가,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박희영, 이희봉, 2001, 거주자 생활 중심으로 본 거창 정온 종택의 전통공간의 현장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1(2), 79-95
  7. 신영선, 2007, 인지도(認知圖)를 이용한 농촌마을공간 인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신영선, 강영은, 오동엽, 임승빈, 2007, 농촌마을 커뮤니티시설 조성 및 관리를 위한 문제점 도출 및 개선방안 연구, 농촌계획학회지, 14(2), 43-54
  9. 우동주, 1995, 경사지집합주거 유형개발을 위한 현장연구 -부산시내 경사지 주거개발을 위한 방향성고찰-,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1(4), 65-80
  10. 이숙재, 이봉선, 2007, 어린이집 실외놀이공간 구성에 대한 영아와 교사의 바램 -2세 영아의 실외놀이관찰과 교사의 디자인 참여를 통한 투사적 접근-, 유아교육연구, 27(2), 77-98
  11. 이원훈, 이창수, 2007, 미래지향적인 커뮤니티 시설유형 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42(4), 95-113
  12. 이정화, 강경하, 정남수, 박공주, 윤순덕, 2005, 농촌노인의 마을 공동시설 이용실태 분석 및 개선방향, 농촌계획, 11(3), 19-27
  13. 임승빈, 2007, 환경섬리와 인간행태-친인간적 환경설계연구-, 보문당
  14. 정준현, 1994, 도시단독주택의 공간이용행태에 관한연구, 계명대학교 건축공학과 박사학위논문
  15. 정준현, 이중우, 1993, 도시 대중주택 공간이용의 행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9(10), 37-46
  16. 조순재, 임승빈, 오휘영, 1996, 농촌마을 공동시설개선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2(2): 37-44
  17. 조창완, 진양교, 1998, Time-Lapse 촬영방법을 이용한 도심 광장의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청량리 역광장을 사례로-, 한국조경학회지, 26(3), 199-212
  18. 채현택, 오세웅, 2007, 일본 농촌지역 소규모다기능재가복지시설에 관한 참여관찰 연구, 노인복지연구 38, 257-280
  19. Hillery, G., 1955, Defmition of Community Areas of Agreement, Rural Sociology Vol.20, 111-123
  20. James P. Spradley. 신재영 역, 2006, 참여관찰법, 서울 : 시그마프레스
  21. Zeizel, J. 조대성 외 3 명 역, 1996, 사용자를 위한 환경설계 연구방법, 서울: 누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