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haracteristics and Maintenance of Assemblypersons' Activity Records

국회의원 활동기록의 특성과 관리방향

  • 한은정 (명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원) ;
  • 임진희 ((사)한국국가기록연구원 학술연구처)
  • Published : 2009.07.30

Abstract

Assemblypersons' activities have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nature. The activities of assemblypersons and their assistant staffs become a motive for major work performance of Korean legislature, and are also critical public services affecting contemporary political history, history of political parties and history of assemblyperson's hometown. Moreover, their activities are also characterized by work performance in favor of assemblyperson's personal interests to effectively communicate his or her achievements during term of office to electors with a view to winning reelection after the end of 4-year term of office. Assemblyperson's organization produces various types of record in the performance of these works. From the viewpoint of public archive as a product of assemblypersons' public service performance and from their own personal viewpoints, they can create their own identity by arranging their personal records that can demonstrate their own political philosophy, policy orientation, achievements during term of office, and personal features. In addition, their personal records can have much more values and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those records are available to electors to make it possible to highlight their own images in objective and reliable manner. Conclusively, this study underlined that the efforts for assemblypersons and their assistant staffs to keep their records well could be helpful to streamline their internal works and be also helpful for personal interests of assemblypersons. And this study proposed procedures and methods for deducing and screening a list of production archives to meet a viewpoint of streamlined internal works and needs for keeping personal records, ultimately with a view to giving practical helps for these works.

국회의원의 활동은 조직적 활동인 동시에 개인적 활동의 측면을 갖는다. 국회의원과 그들을 보좌하는 직원들이 수행하는 활동은 대한민국 입법부의 주요 업무 수행의 근원이자 당대의 정치사와 정당사, 의원의 출신 지역사 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공적 업무가 되는 한편, 4년의 임기 종료 후 재선출되기 위해 임기 중의 업적을 유권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사적 이해에 따른 업무 수행이 병행되는 특징이 있다. 국회의원 조직은 이와 같은 업무 수행과정에서 다양한 유형의 기록을 생산하게 되는데, 국회의원으로서의 공적업무 수행결과물인 공공기록의 관점에서 뿐만 아니라 개인의 입장에서도 자신의 정치철학과 정책방향, 그리고 임기 중의 업적, 인간적 면모 등을 입증할 수 있는 개인기록의 정리를 통하여 자신의 정체성을 만들어갈 수 있으며, 이를 유권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이미지 부각이 가능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한층 더 중요한 가치와 의미가 확보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회의원과 보좌직원들이 기록관리를 잘하는 것이 내부 업무 효율화에 도움이 되며, 국회의원 자신의 개인적인 이익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함과 동시에 내부 효율화의 관점과 개인기록 관리의 필요성에 맞춰 생산 기록목록의 도출과 선별에 이르는 절차와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실무적 도움을 주는데 목적을 두었다.

Keywords

Cited by

  1. 국회의원 기록관리 방안 연구 vol.55, pp.None, 2009, https://doi.org/10.20923/kjas.2018.55.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