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onsideration on the Importation Pathway of Ancient Korean Rice(Oryzar sativar L.)

고대 한반도에서 재배된 벼의 전래 경로에 대한 고찰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Importation pathway of rice cultivar into Korea was re-established with considering ancient geo-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ororibyeo excavated from Cheongwon. It is assumed that Sororibyeo settled down in Korea by the importation pathway along the southern seashore of China through old downstream of Geumgang by a southern Korean human race when China and Korea were not yet separated each other by the Yellow Sea. This importation pathway was designated as "Old Geumgang-Sorori Rice Road", in this study. It is further inferred that Korean Peninsula was geographically isolated by ocean after the Ice Age. In consequence, Gawajibyeo, an ancient rice with little genetic variation, was evolved from Sororibyeo, which is estimated to evolve into rice cultivar in Korean Peninsula.

최근 활발한 발굴에 따른 곡물의 출토가 많아짐에 따라, 벼의 한반도(韓半島) 전래(傳來) 경로(經路)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특히 한반도(韓半島) 최고(最古) 벼인 청원 소로리(小魯里) 벼의 전래경로에 대하여 제4기 자연환경(自然環境), 생태적(生態的), 작물학적(作物學的)면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소로리(小魯里) 볍씨는, 최대빙하기(最大氷河期)이후 한반도가 중국대륙과 하나의 대륙으로 연결되었을 당시 한국조상(韓國祖上) 중 남방계(南方系)의 한 부류가 볍씨를 가지고 중국대륙 남부지역에서 해안을 따라 동북진(東北進)하다가 당시 옛 금강하류(錦江下流)를 거쳐 소로리(小魯里)로 이동하였다고 추정된다. 이를 "옛 금강-소로리 볏길(Old Geumgang-Sorori Rice Road)"이라 명명한다. 2. 유전적(遺傳的) 변이(變異)가 큰 소로리(小魯里)벼는 빙하기이후 지리적(地理的), 생식적(生殖的) 격리(隔離)가 발생함에 따라 한반도(韓半島)의 자연환경(自然環境)에 적응(適應)(자연선택(自然選擇))하게 되어 변이가 적은 고대(古代)벼(가와지(家瓦地)벼)로 종(種)의 분화(分化)(논벼, 수도(水稻))가 이루어졌다고 추정된다. 즉 한반도에서 순화단계(馴化段階)인 소로리(小魯里)벼가 재배(栽培)벼로 발전(發展)하였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Chang, T. T. 1976. The origin, evolution, cultivation, dissemination, and diversification of Asian and African rices. Euphytica 25 pp. 425-441 https://doi.org/10.1007/BF00041576
  2. Chen, Baozhang. 1997. The Finds and Preliminary Study of Rice Cultivation in the Neolithic Site at Jiahu in Henan Province. The 2nd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 On the Agricultural Arecheology. p. 37
  3. Chu Qiren, Zhang Zhenhua. 1984. Pachytene analysis on Chinese Dong Xiang Wild Rice and Its Affinity with Cultivated Rice. Acta Genetic Sinica 11(6) pp. 466-471
  4. Lee, Chun-Yung, Tae-Shik Park. 1978. Carbonized Grains form Archaeological Sites in Korea (1) Carbonized Rice from Hunamri, Seoul National Univ, Coll of Agic. Bull. 3(2)2. pp. 243-254
  5. Morishima, Hiroko., Tan Lin-Hwa & Kikuo Wasano. 1995. An Observation of Wild Rice Populations in Hainan and Yunnan, China. 東アジアの稻作起源と 古代稻作文化. 日本. pp. 98-107
  6. Park,Y.A., 1992. The changes of sea level and climate during the late Pleistonce and Holcene in the Yellow Sea region. Korean J. Quat. Res. 6, pp. 3-19
  7. Wang, Xiankun, Chuangjing Sun, Juzhong Zhang. 2003. A Discussion on the Origin of Oryza japonica in China and Sorori Rice in Korea. 亞細亞 先史農耕과 小魯里 볍씨. 충북대학교박물관,청원군. 서울. pp. 115-123
  8. 李隆助, 禹種允. 2000. 淸原 小魯里 舊石器遺蹟. 충북대학교박물관, 한국토지공사. 조사보고 제68집. 학연문화사. 서울. 613p
  9. 李隆助, 禹種允.. 2003. 世界 最古의 小魯里 볍씨의 發掘과 의미. 亞細亞 先史農耕과 小魯里 볍씨. 충북대학교박물관,청원군. 서울. pp. 27-32
  10. 김연옥. 1997. 한반도 고기후의 변화. 자연보존. 100, pp. 1-17
  11. 김용간, 석광준. 1984. 남경유적에 관한 연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평양
  12. 김욱. 2005. 미토콘드아DNA변이와 한국인 집단의 기원. 고구려재단(현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총서 13. pp. 18-58
  13. 박순직. 이종훈. 2004a. 식용작물학 I 벼와 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서울. p. 43-67
  14. 박용안, 공우석. 2001. 한국의 제4기 환경. 우리나라 제4기 육상층서와 환경.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 pp. 31-72
  15. 朴泰植. 李隆助. 1995. 고양 家瓦地 1지구 출토 벼 낟알들과 한국 선사시대 벼농사. 농업논문집 37(2) pp. 1-12
  16. 朴泰植. 李隆助. 2004b. 小魯里 볍씨 發掘로 살펴 본 韓國 벼의 起源. 한국농업사학회 제3권 2호 pp. 19-132
  17. 裴安平. 1989. 彭頭山文化的稻作遺存與中國史前農業. 農業考古. 第2期
  18. 沈峯槿. 1991. 韓國 先史時代 稻作農耕. 韓國考古學報 27집 pp. 5-58
  19. 安承模. 2000. 韓半島 벼농사 起源에 관한 제논의. 한국고대사논총 제9집. pp. 177-202
  20. 嚴文明. 1982. 韓國稻作農業的起源. 農業考古. 第 2期
  21. 嚴文明. 2003. 稻作農業的起源与小魯里稻谷. 亞細亞 先史農耕과 小魯里 볍씨. 충북대학교박물관, 청원군. 서울. pp. 95-103
  22. 吳靑雲. 1995. 大嘴子遺跡出土炭火米の 考察と 硏究. 東アジアの稻作起源と 古代稻作文化. 日本. pp. 29-132
  23. 王錫平, 王春起. 1995. 山東省棲霞縣楊家圈遺跡 出土 水稻 遺物. 東アジアの稻作起源と 古代稻作文化. 日本. pp. 143-145
  24. 袁家榮. 2005. 湖南道懸玉蟾岩遺址發見1粒1万2千年前的栽培稻. 新華社長沙 (記者明星) 2005-1-29
  25. 劉君. 1995a. 河姆渡遺跡. 東アジアの稻作起源と 古代稻作文化. 日本. pp. 115-118
  26. 劉君. 1995b. 羅家角遺址. 東アジアの稻作起源と 古代稻作文化. 日本. pp. 113-114
  27. 李燦. 1963. 稻作의 歷史 地理的 考察-起源과 傳播에 관하여. 大韓地理學會. 地理學 1. pp. 50-66
  28. 李春寧, 朴泰植. 1979. 夫餘郡 草村面 無紋土器 住居址 출토 탄화미. 松菊里(1), 국립박물관고적조사보고
  29. 李春寧. 1964. 李朝農業技術史. 韓國硏究叢書. 제21집. 韓國硏究院. 서울
  30. 李春寧. 1973. 韓國農耕起源에 관한 小考. 民族文化硏究 7. pp.1-27
  31. 任孝宰. 1990. 경기도 金浦半島의 考古學調査 硏究. 서울대학교박물관 연보 2 pp. 1-22
  32. 任孝宰. 2001. 韓國古代稻作文化의 起源. 학연문화사. 서울. p.131
  33. 張德滋. 1979. 早期稻作歷史. 中和農業史論叢. 臺灣 商務印書館. pp. 49-50
  34. 朝鮮總督府. 1924. 大正11年度 古蹟調査 報告
  35. 趙現鐘, 申相孝, 張齊根. 1997. 光州 新昌洞 低濕地 遺蹟 I. 국립광주박물관학술총서 33책 pp. 29-133
  36. 許文會. 1986. 벼의 系統分類와 東北아시아로의 傳播. 벼의 유전과 육종. pp. 425-439
  37. 許文會. 1991. 韓國 栽培稻의 起源과 傳來. 한국고고학회. 27집 pp. 6-91